프랑스 전역이 긴축정책 저지를 위한 총파업으로 다시 한 번 멈춰 섰다. 교사·철도기사·약사·공공의료 인력에 더해 고등학생들까지 거리로 나서며,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새 총리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내각이 추진 중인 재정 긴축안에 강력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2025년 9월 18일, 로이터 통신과 여러 유력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날 파업·시위에는 최대 80만 명이 참여할 것으로 내무부가 추산했다. 주요 지하철 노선 다수는 통근 시간대를 제외하고 종일 운행이 중단됐고, 고등학생들은 ‘긴축에 맞서 학교를 봉쇄하라
’라는 피켓을 들고 교문 앞을 막았다.
■ 노동계가 요구하는 3대 핵심 사안
① 전 정부가 수립한 재정 건전화 계획 전면 철회
② 공공서비스 예산 확대 및 초고소득층 증세
③ 정년 연장(연금 수급 요건 강화) 조치의 즉각적 폐지
집회 현장에 나온 버스 운전사이자 CGT 노조 대표 프레드는 “
정부와 마크롱 대통령이 노동자를 경시하는 태도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33세 교사 가에탕 르게이는 “공공자금이 대기업이나 초부유층에 대한 세제 혜택이 아닌 교육·의료·교통 등 필수 서비스로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재정적자·EU 3% 기준이란?
EU 재정협약은 회원국 재정적자를 국내총생산 대비 3%로 제한한다. 프랑스의 2024년 적자는 이 기준의 두 배에 근접해 있어, 정부는 2026년까지 큰 폭의 지출 삭감을 예고한 상태다.
그러나 하원에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르코르뉘 총리는 야당 협조 없이는 예산안을 통과시킬 수 없다. 그의 전임자 프랑수아 바이루가 440억 유로 규모 지출 삭감안을 내놨다가 의회 불신임으로 물러난 전례가 있어, 새 총리는 ‘타협’을 시사하고 있다.
■ 주요 분야별 타격 상황
교육 — 초등교사 노조 FSU-SNUipp는 전국 교사 3명 중 1명, 파리 지역 교사 2명 중 1명이 파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철도 — TGV 고속열차 대부분은 정상 운행했으나, 지역·통근 노선은 ‘심각한 차질’을 빚었다. 남동부 툴롱 인근 고속도로는 시위대로 인해 교통이 정체됐다.
에너지 — 국영 전력사 EDF의 원전 ‘플라마빌 1호기’ 출력이 오전 한때 1.1GW 감소, 전력 공급이 소폭 줄었다.
보건·약국 — USPO 약사 노조가 실시한 자체 설문에서 약국 98%가 하루 휴업 의사를 표명했다.
■ 농민·문화계로 번지는 연대
농민단체 ‘콩페데라시옹 파이잔’도 동시 행동에 나섰다. 노르망디 1066년 정복사를 수놓은 70m 길이 ‘바이외 태피스트리’의 영국 대여 일정마저 파업 여파로 연기됐다.
■ 치안 당국 대응
브뤼노 레타이오 내무장관 대행은 “과격 시위자 8,000명이 충돌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전국에 배치된 경찰·헌병은 8만 명에 달하며, 폭동진압 부대·드론·장갑차도 대기한다. 이미 20여 명이 현장에서 체포됐다.
전문가 시각
경제학자들은 “GDP 대비 5% 안팎인 현재 적자를 3% 이하로 낮추려면 대규모 세수 확충이나 성장률 반등 없이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고 진단한다. 반면 노동계는 긴축이 소비·투자를 동시에 위축시켜 ‘경기 역풍’을 불러올 것으로 우려한다.
정치적으로도 마크롱 대통령은 2026년 총선과 2027년 대선을 앞두고 노조·청년층 지지율 이탈이라는 중대 시험대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향후 수주 간 예산 수정안 협상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 스와프(교환)’가 이뤄질지가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 9월 말: 정부, 2026년 예산 초안 제출 예정
• 10월 초: 하원 예산안 1차 표결
• 노조 측은 “타협 없는 추가 총파업”을 경고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