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중국 정부가 서비스 소비와 관광 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놓았다. 이번 대책은 상무부·문화관광부를 포함한 9개 부처가 공동 발표한 것으로, 비자 제도 개선과 여행 편의 인프라 확충을 핵심 축으로 한다.
2025년 9월 1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일방적 무비자 입국 대상 국가를 확대해 외국인 관광객 유입을 획기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동시에 통신·숙박·결제 시스템을 전면 개선해 “머무르기 편한 중국”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학사 일정 조정이 눈길을 끈다. 정부는 봄·가을 방학 도입을 검토해 현재 7·8월 긴 여름방학과 1·2월 겨울방학을 일부 분산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이는 연중 고르게 여행 수요를 분산해 관광업계의 계절적 편중 현상을 완화하고, 소비 지출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9개 부처 공동 성명은 “1)관광객이 중국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출국하는 순간까지 교통·통신·결제·숙박·안내 서비스 전 과정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일방적 무비자 입국(unilateral visa-free entry)이란, 상대국이 중국인에게 비자 면제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중국이 먼저 일정 기간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현재 중국은 일부 동남아·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2050년까지 세계 관광객 1위 목적지로 도약하겠다는 중장기 비전을 재확인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결제 인프라 개선을 주목하고 있다. 알리페이·위챗페이 등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외국인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국제 신용카드 연동 범위를 확대하면 관광객의 체류 기간과 소비 규모가 동시에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배경 설명
중국 관광산업은 2020년 이후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23년 하반기 국경 재개방 이후 회복세가 나타났으나, 외국인 방문객 수는 팬데믹 이전 대비 약 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번 대책은 환율 안정·내수 진작·고용 확대 등 여러 경제정책과 맞물려 서비스 경제 전반에 긍정적 파급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전문가 진단
중국사회과학원 관광연구센터 왕샤오쿤 부주임은 “봄·가을 방학 도입은 단순한 학사 조정이 아니라 관광·항공·숙박·리테일 분야 전반에 걸친 수요 분산책”이라며 “항공권 가격 급등·숙박 대란 같은 성수기 병목 현상을 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영향
항공사·온라인여행사(OTA)·호텔 체인 등 상장기업들은 정책 시행 즉시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서비스 품질 관리·지역별 인프라 격차 같은 과제도 남아 있어, 정부와 민간의 지속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향후 일정
9개 부처는 구체적 세부 시행 규칙을 2025년 말까지 발표할 예정이며, 지방정부별로 시범 도시를 지정해 제도 효과를 검증한 뒤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