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유드 글로벌 로지스틱스, 나스닥 최저 호가 규정 위반 통지…180일 내 주가 회복해야

나스닥 상장 물류기업인 제이유드 글로벌 로지스틱스(Jayud Global Logistics Limited, 티커: JYD)가 최저 호가 규정을 위반했다는 통지를 받았다. 이번 통지로 회사 주가는 재상장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중대한 과제를 안게 됐다.

2025년 9월 1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나스닥은 회사 ordinary share(보통주)가 30거래일 연속으로 1달러 아래에서 거래된 사실을 근거로 불이행 통지를 발송했다.

나스닥 상장 규정 Rule 5550(a)(2)는 상장 증권의 최저 호가를 1주당 1달러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규정한다. 나스닥은 2024년 6월 6일 통지를 발송했으며, 회사는 2024년 12월 3일까지 — 총 180일의 유예기간 — 내에 결함을 시정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JYD는 나스닥 캐피털 마켓에서 기존 티커를 유지한 채 거래를 계속할 수 있다.

주목

재상장 요건을 회복하려면 주가가 최소 10거래일 연속으로 1달러 이상에서 마감돼야 한다. 만일 기한 내에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회사는 다른 초기 상장 요건을 만족한다는 전제 하에 추가 유예기간을 받을 수 있다. 그렇지 못하면 상장폐지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이번 통지는 회사의 영업 활동이나 주식 거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회사 측은 보도자료에서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본사가 위치한 선전(Shenzhen)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제이유드는 국제 화물 운송·공급망 관리 등 종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 12개 성에 시설을 보유하고 6개 대륙 16개국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회사는 최근 롱강 전자상거래 운영센터(Longgang e-Commerce Operation Center)가 공식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이 센터는 소형 해외 직구 물량을 하루 최대 200컨테이너까지 처리한다는 목표를 세우며 전자상거래 물류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제이유드는 자기자본 요건 미달로 인한 별도의 통지도 받았다. 나스닥 자본시장 규정에 따라 회사는 45일 내에 시정 계획을 제출해야 하며, 현재 자본 확충·재무구조 개선 등 다양한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주목

북미 시장 진출

전략적 확장의 일환으로 회사는 미국 물류 업체인 HYTX Warehouse Inc. 지분 51%를 인수했다. 이를 통해 미·중 통관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창고·육상 운송·라스트마일 배송을 아우르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재무지표 및 투자자 시각

InvestingPro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기준 제이유드의 시가총액은 약 $1,356만달러다. 그러나 1년 주가 총수익률(Price Total Return)이 -80.82%를 기록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은 -3.19%로, 본업에서 적자를 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최근 12개월 매출은 23.64% 감소했으며, 회사가 현금을 빠르게 소진하고 있다는 점도 투자 위험 요인으로 지목된다.

용어 해설

최저 호가 규정(Minimum Bid Price Rule): 나스닥은 투자자 보호와 시장 건전성을 위해 상장 주식의 호가가 1달러 미만으로 장기간 지속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를 위반하면 상장폐지 경고를 받는다.

유예기간(Grace Period): 규정을 위반한 기업이 조건을 회복할 수 있도록 부여되는 기간으로, 위 기사에서는 180일이 적용됐다.

총이익률: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뺀 뒤 매출로 나눈 수치로, 본업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주가 총수익률: 배당과 주가 변동을 합산한 연간 투자 수익률을 의미한다.


전망

제이유드는 규정 준수를 위한 추가 조치와 동시에 자체적인 성장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유예기간 내 주가 복원자기자본 확충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상장폐지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 그러나 북미 시장 확장, 전자상거래 물류 강화 등 전략적 행보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경우 투자 심리가 회복될 가능성도 있다. 투자자들은 유동성, 수익성, 시장 점유율 변화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