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키네틱스, 전환사채 발행 규모 6억5천만 달러로 증액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사이토키네틱스(Cytokinetics Inc., 티커: CYTK)가 2031년 만기 전환우선사채(Convertible Senior Notes) 발행 규모를 기존 5억5천만 달러에서 6억5천만 달러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9월 17일, RTT뉴스·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회사는 사모 방식(private placement)으로 연 1.75%의 고정금리를 적용한 이번 전환사채를 발행하며, 발행·납입(settlement)일은 2025년 9월 19일로 예정돼 있다.

이번 증액된 발행 규모는 원래 계획이었던 5억5천만 달러를 1억 달러 상회하는 수준이다. 회사 측은 초기 매입자(initial purchasers)에 대한 할인 및 수수료, 기타 발행 비용을 차감한 후 순수입(net proceeds)이 약 6억3천2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첫 매입자들이 추가 매입 옵션(option to purchase additional notes)을 전부 행사할 경우 순수입은 최대 7억2천9백4십만 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

주목

전환우선사채란 무엇인가?

전환우선사채(Convertible Senior Notes)는 일정 기간 후 발행사가 지정한 전환가액에 따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다. 채권 투자자는 안정적인 이자 수익(interest income)을 확보하면서도 주가 상승 시 자본이득(capital gain)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 사채는 다른 부채보다 상환 순위가 높은 ‘Senior’로 분류돼 파산 시 변제 우선순위가 비교적 앞선다.

일반 투자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최근 미국 바이오·테크 업계에서 자금 조달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는 구조다. 특히 성장 단계에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연구개발(R&D) 및 임상시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빈번히 발행한다.


자금 사용 계획

사이토키네틱스는 순수입 중 약 4억250만 달러를 기존 사채 교환 거래(note exchange transactions)에서 현금 지급분으로 사용한다. 나머지 자금은 다음과 같이 배분될 예정이다.

신약 후보 ‘아피캠텐(aficamten)’의 상업 출시 준비
② 아피캠텐 개발 프로그램 확대 및 파이프라인 강화
③ 2027년 만기 잔여 사채(2027 notes) 조기 상환 혹은 만기 상환 대응
일반 운영자금(working capital)

특히 아피캠텐은 비후성 심근증(HCM) 치료제로 개발 중이며, 상업적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돼 이번 조달 자금이 임상 3상 마무리 및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준비에 집중 투입될 전망이다.

주목

재무적·전략적 함의

이번 전환사채 발행으로 회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cash & equivalents)은 단숨에 6억 달러 이상 늘어난다. 고정금리 1.75%는 동일 만기 일반 회사채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이는 ‘전환 옵션’이 투자자에게 부여하는 주가 상승 기대감을 반영한다. 다만 향후 보통주로 전환될 경우 주식 희석(share dilution) 리스크가 존재한다.

시장 관점에서 보면, 사이토키네틱스는 파이프라인 리스크를 감수하면서도 임상·허가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선제적으로 확보했다. 이는 경쟁사인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의 HCM 치료제 ‘맥캄티(Mavacamten)’과의 시장 선점 경쟁을 의식한 행보로 읽힌다.


회사 및 주가 현황

사이토키네틱스는 1997년 설립된 근육 생물학 전문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근육 수축 단백질과 척수·심장·골격근 질환에 특화된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 중이다. 최근 52주 주가 범위는 25.98~110.25달러로 변동성이 컸으며, 애널리스트들은 아피캠텐 상업화 시 연매출 20억 달러 이상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FDA 허가 지연이나 임상 실패, 경쟁 약물 출시가 회사 가치에 중대한 하방 리스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전환사채 발행은 ‘현금 쿠션’을 두텁게 만들어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된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① 2025년 9월 19일: 전환사채 발행·납입 완료
② 2026년 하반기: 아피캠텐 신약허가신청(NDA) 예고
③ 2027년: 2027년 만기 잔여 사채 상환 혹은 전환 여부 결정

투자자들은 아피캠텐의 임상 데이터 발표와 FDA 심사 일정, 그리고 전환사채가 실제로 주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주가 경로)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 2025 Cytokinetics Inc. 모든 권리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