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YO/도쿄 – 일본 재무성이 18일 공개한 무역통계에 따르면, 8월 일본의 총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0.1% 감소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미국이 부과한 고율 관세가 자동차·부품 등 제조업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한 결과다.
2025년 9월 1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1.9% 감소를 예상했으나 실제 낙폭은 그보다 작았다. 7월 낙폭(−2.6%)과 비교하면 둔화된 셈이나, 관세 부담이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품목·지역별로 보면, 対미국 수출이 13.8% 급감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対중국 수출도 0.5% 줄어 동반 부진을 보였다.
반면 수입은 전년 대비 5.2% 감소해 시장 전망치(4.2% 증가)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따라 8월 무역수지는 2,425억엔 적자(약 16억6,000만 달러)로 집계돼, 애널리스트 컨센서스(5,136억엔 적자)보다 적은 규모로 나타났다.
“미국이 7월 말, 일본산 수입품 거의 전 품목에 대해 베이스라인 15% 관세를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자동차(27.5%)와 기타 품목(25%)에 예고됐던 초고율 관세보다는 낮아진 수치지만, 기존 2.5% 관세에 비하면 여전히 수배 높은 수준이다.”
현재 일본 완성차 업체들은 초기에는 가격 인하를 통해 관세 충격을 흡수했으나, 수익성 훼손이 심화되며 점진적으로 현지 판매가를 올리고 있다. 업계 전반에서는 ‘가격 인상 전가’와 ‘판매량 방어’ 사이에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경제 파급효과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7~9월(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수출 부진 탓에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일본은행(BOJ)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미·일 무역환경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밝혔다.
※ 베이스라인 관세란, 특정 국가·품목에 일괄 적용되는 기본 관세율을 뜻한다. 협상·분쟁 결과에 따라 추가 할증 또는 감면이 이뤄질 수 있으나, 통상적 최저선 역할을 한다.
환율 참고: 1달러 = 146.39엔(보도 시점 기준).
전문가 시각
자동차 업계의 ‘가격·물량·마진’ 삼중고는 이미 현실화됐다. 수익성 악화가 장기화되면 전기차·자율주행 등 R&D(연구개발) 투자 여력도 위축될 수 있다. 반면 엔화 약세가 일정 부분 수출 단가 상승을 상쇄하고 있어, 향후 환율 흐름이 관세 부담을 어느 정도 완충해 줄 가능성도 있다.
다만 미국 소비 둔화와 결합될 경우, 일본 제조업 생태계 전반에 2차·3차 하청업체까지 파급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와 업계는 현지 생산 확대, 공급망 재편 등 중장기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