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미국 고용보고서, 고용시장 성장세 ‘급제동’ 예고

미국 고용시장 둔화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7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Non-Farm Payrolls, NFP)10만 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4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폭이며, 6월의 14만7천 명, 올 상반기 월평균 13만 명 증가와 비교해도 크게 줄어든 수치다. 동시에 실업률은 4.2%로 0.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7월 31일(현지시간)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노동통계국(BLS)은 8월 1일 오전 8시 30분(미 동부시간) 해당 보고서를 공개할 예정이며, 결과가 예상치에 부합할 경우 고용시장 둔화 흐름이 한층 뚜렷해질 전망이다.

고용 창출 속도는 확연히 느려지고 있으나, 구직자 공급 역시 줄어들어 노동시장은 전반적으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7월 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직접 밝힌 평가다. 그는 기준금리를 지난해 12월 이후 동결한 배경을 설명하며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BNY 멜런의 미주 담당 거시전략가 존 벨리스는 산업별 고용편중을 경고했다. 그는 “경기순환(cyclical) 업종이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고, 비경기순환(acyclical) 업종마저 감원을 시작하면 고용시장이 본격적으로 약화됐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회복 국면에서 일자리를 이끈 외식·여가·보건 부문이 올해 들어 성장 모멘텀을 잃고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월간 고용지표는 ‘깜짝 상회(서프라이즈)’가 잦은 특성을 보여 왔다. 시장조사기관 TS 롬바드취업공고 데이터 플랫폼 ‘링크업(LinkUp)’고빈도 데이터(high-frequency data)를 분석한 결과, 7월 NFP가 19만9천 명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고빈도 데이터란 전통적인 정부 통계보다 짧은 주기로 수집·업데이트되는 민간 데이터를 의미한다*.

* 고빈도 데이터란? 예컨대 채용 공고, 카드 결제, 온라인 택배 물량 등 일·주 단위로 집계되는 민간 데이터를 가리킨다. 정책 결정과 시장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활용되지만, 표본 구성이나 계절 조정 방식이 정부 통계와 달라 변동성이 큰 편이다.

비농업부문 고용(Non-Farm Payrolls)은 농업을 제외한 제조·서비스·공공 부문의 종사자 수 변화를 집계한다. 이는 미국 경제 전반의 노동수요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 또 실업률(Unemployment Rate)은 노동력 조사에서 ‘일할 의사가 있으나 일자리를 찾지 못한 인구’ 비중을 뜻한다. 두 지표는 연준의 통화정책과 직접 연결되기에 투자자와 정책입안자가 주목한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필자는 연준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실업률이 4.2%로 소폭 오르더라도 장기 자연실업률(4.0% 안팎)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세가 한 자릿수로 떨어지거나, 실업률이 4.5%를 상회할 경우 연준의 ‘소프트랜딩(경기 연착륙)’ 시나리오가 흔들릴 수 있다.

또한 업종별로 고용 창출이 보건·공공 서비스 등 구조적으로 수요가 꾸준한 분야에 집중되고, 제조·건설·유통 등 소비 및 투자 민감 업종이 침체된다면, 하반기 실물경제는 ‘K자형’ 양극화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 관점에서 7월 고용보고서는 연준의 9월 또는 11월 회의에서의 금리 인하 여부를 가늠할 핵심 단서다.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면 채권 금리가 하락하고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설 수 있으며, 반대로 서프라이즈가 나오면 ‘고금리 지속’ 기대가 강화돼 대형 기술주 중심의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결국, 이번 고용보고서는 투자자·정책당국·기업 모두에게 경고등이자 로드맵 역할을 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