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9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고용냉각·관세 변수 속 ‘기술주 재점화’ 시나리오

■ 서두: 최근 시장 상황 압축 브리핑

지난주 말 뉴욕증시는 부진한 8월 고용보고서가 촉발한 연준 조기 완화 기대경기 침체 공포가 충돌하며 혼조로 마감했다. S&P500은 –0.32%, 다우는 –0.48% 하락했으나, 나스닥100은 +0.08% 반등해 기술주 중심으로 저가매수가 유입됐음을 시사했다.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4.09%까지 급락하며 5개월 만의 저점에 근접했고, 연방기금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를 100% 반영하기 시작했다.


■ 핵심 이슈 Top 5

주목
  1. 고용시장 냉각: 8월 비농업 신규고용 +22k(컨센서스 +75k)·실업률 4.3%로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
  2. 관세 불확실성: 트럼프 행정부 ‘상호주의 관세’ 위헌 소송이 대법원으로 이관, 최대 5,000억 달러 환급 가능성.
  3. 스페이스X·에코스타 주파수 딜(170억 달러): 통신/우주 섹터 재편 촉발, T모바일·버라이즌 주가 동반 하락.
  4. S&P500 구성 변화: 로빈후드·앱러빈 편입, 자금 재배치로 러셀·나스닥 지수 내 기술주 비중 확대.
  5. 중국 8월 무역지표 둔화(+4.4%) & 日 이시바 총리 사임: 아시아 리스크 프리미엄 재부상.

■ 매크로 데이터와 차트로 보는 현재 위치

지표 최근치 3개월 평균 시장 컨센서스 해석
비농업 고용(8월) +22k +29k +75k 고용냉각→연준 완화 여지
평균시급 YoY +3.7% +3.9% +3.8% 임금 압력 완화
ISM 제조업 PMI 47.9 48.3 48.0 경기 수축 지속
10Y 국채금리 4.09% 4.43% 안도랠리, 밸류에이션 지렛대

자료: BLS·ISM·FRED·Bloomberg, 9월 8일 종가 기준


■ 뉴스 인용 & 요약

“약한 고용 성장과 완화된 임금 상승은 연준이 속도 조절에 나설 공간을 넓혀 준다.” — 리치 애스플런드, 나스닥닷컴

“대법원이 관세를 무효화하면 3,750억~5,000억 달러 환급이 필요해 재정 충격이 불가피하다.” — 스콧 베센트, 美 재무장관

위 두 발언은 통화완화·재정혼란이라는 정반대 방향의 정책 기대·우려를 동시에 키우며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높인다.

주목

■ 단기(향후 거래일~1주 가량) 시장 시나리오

① 기준 시나리오(확률 55%) – 탄력적 반등

  • 국채금리 4.0% 부근 안착 → 기술·성장주 밸류에이션 재평가
  • PPI·CPI가 전월 수준 내 유지 → 9월 FOMC ‘보험성 인하’ 기정사실화
  • 나스닥100 18,400선 돌파 시 알고리즘 매수 가속, S&P500 5,200선 회복 시도

② 대안 시나리오(확률 30%) – 관세·정치 리스크 재부각

  • 대법원 심리 일정 앞당겨지며 관세 무효화 가능성 40% 이상 반영
  • 국채 발행 증가 전망→10Y 금리 4.3% 재반등→밸류에이션 압축
  • S&P500 5,050 지지선 테스트, 러셀2000 상대 약세 심화

③ 위험 시나리오(확률 15%) – 고용 충격 2차 파장

  • 실업보험 청구·컨퍼런스보드 고용지수 급락 → 경기침체 담론 급부상
  • VIX 18p 상회, 금융·에너지 등 경기민감 업종 급락
  • 나스닥 기술주로 일시 피난, 그러나 전 지수 조정 폭 확대(–5% 내외)

■ 섹터·종목 레벨 분석

1) 기술(Overweight)

  • 로빈후드·앱러빈 S&P500 편입 → 패시브 자금 유입 추정 25억 달러
  • Nvidia·Broadcom 병목 논쟁 속 AI 네트워크 스위치·HBM 공급사로 Marvell·Micron 수혜 예상

2) 통신/우주(Neutral→Positive)

  • 스페이스X-에코스타 스펙트럼 딜: Starlink “Direct-to-Cell” 상용화 로드맵 가속
  • 기존 이통 3사 주가 압박 지속되나, AST SpaceMobile·Iridium 등 위성통신 pure play 수급 유입

3) 헬스케어(Selective)

  • 서밋 테라퓨틱스 3상 데이터 불확실성 → 폐암 파이프라인 다각화된 Amgen·Merck 상대적 방어력 기대

■ 데이터 드리븐 매매포인트

아래 퀀트 스크리너단기 실적 모멘텀↑ + 중장기 이익개선 + 저변동성 조건으로 추출한 8개 종목이다.

Ticker 업종 5일 수익률 EPS 3Q 컨센 β(6M)
MARV 반도체 +4.2% +17% 0.92
MU 메모리 +5.8% 흑자전환 1.15
HOOD 핀테크 +9.1% +35% 1.05
APP 애드테크 +8.4% +28% 1.21
STLA 자동차 +3.0% +12% 0.88
ABNB 여행 +2.6% +19% 1.02
NKE 소비재 +1.8% +7% 0.76
DHR 진단장비 +2.1% +9% 0.80

(단위: β= S&P500 대비 6개월 표준편차, 자료: FactSet)


■ 이벤트 캘린더

  • 9월 10일(화) – 3년·10년 국채 입찰,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
  • 9월 11일(수) – PPI(8월), 애플 아이폰16 발표 이벤트
  • 9월 12일(목) – CPI(8월), 주간 실업보험청구
  • 9월 13일(금) – 미시건대 기대인플레이션지수(예비치), 옵션만기 ‘쿼드러플 위치’ 전 주

■ 전망·전략(칼럼)

단기 국면에서 시장은 “나쁜 뉴스=좋은 뉴스” 논리를 재가동할 유인이 충분하다. 고용둔화·임금안정 → 연준 완화 시그널 → PER 재평가라는 전통적 전개다. 그러나 필자는 이번 사이클이 2019년·2020년과 질적으로 다르다고 본다.

첫째, 재정 불안 변수다. 미국 GDP 대비 재정적자는 7%를 넘어선다. 만약 관세 무효화로 5,000억 달러 환급이 현실화되면, 국채 순증발 규모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어 장기금리 상단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

둘째, 지정학 리스크. 러시아 추가 제재 ‘2단계’가 발동될 경우 에너지·곡물 가격 스파이크가 CPI 둔화 경로를 교란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구조적 고용 전환. AI·자동화로 “입사 → CEO” 전통 사다리가 무너진다는 CNBC 기사는 소비·주택 수요 축소, 중장기 생산성 변화 등 변수가 어지럽게 얽혀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번 랠리를 전술적(Trading) 반등으로 정의하고, ▷금리민감 성장주 ▷퀄리티 실적주 ▷위성·방산 등 뉴테마주포지션 스케일링을 권한다. 반면 고배당 디펜시브는 금리 반락기에 상대적 퍼포먼스 하락이 잦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결국 핵심 체크포인트는 ① 9월 CPI YoY 3%대 재진입, ② 대법원 관세 심리 일정, ③ 중국·일본 정책 공백 장기화 여부다. 세 변수가 모두 그린라이트를 점등할 경우, S&P500 5,300~5,350 박스 상단 돌파가 열리지만, 어느 하나라도 흔들릴 경우 4,950~5,050대 테스트가 순식간에 재현될 수 있다.


■ 결론 & 투자 조언

단기적으로 ‘완화 기대+기술주 저가매수’ 모멘텀이 우세할 전망이다. 다만 재정·관세·지정학 3대 리스크가 병존하는 만큼, 세 가지 전략이 요구된다.

  1. 포지션 경량화: 목표가 도달 시 래더식(ladder) 차익실현, 미체결 주문 사전 배치.
  2. 섹터 로테이션: 금리 하락 = 성장주 강세 → SOX·IGV ETF 비중 확대, 반대로 XLP·XLU 일부 축소.
  3. 헤지 재정비: VIX 15 이하 구간서 3개월 만기 S&P 숏 콜 스프레드·금선물 소량 롱으로 tail risk 완화.

투자란 확률 게임이다. 이번 단기 국면 역시 확률적 사고가 필수다. 연준·재정·관세·지정학 중 최소 두 변수가 우호적이면 ‘리스크-온’ 선택이 통할 수 있지만, 그 반대 조합도 열흘 안에 충분히 등장할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 자산 배분의 무게중심을 잃지 않는 것이 변동성 시대의 첫 번째 생존 법칙이다.

※ 본 칼럼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각자 판단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