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3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금리-관세 불확실성 속 ‘현금 부자’와 AI 인프라가 견인할 단기 랠리

서론 ┃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출렁이는 ‘불안한 낙관’

뉴욕 3대 지수가 잇달아 사상 최고치를 갱신한 가운데, 시장 내부에서는 낙관과 불안이 공존하고 있다. S&P 500은 올해에만 24% 상승했지만, 기술적 과열 신호(RSIㆍMACD)가 동시에 점멸하고 있다.
단기(1~5거래일) 시계를 좁히면, 매크로 변수보다는 정책 일정·섹터별 모멘텀이 지수 방향성을 주도할 전망이다.


1. 최근 시장 상황 요약

  • 금리 기대 – CME FedWatch 기준 다음 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이 74%로 상승.
  • AI·반도체 수요Nvidia·Super Micro Computer 등 AI 인프라 체인이 실적 상향 랠리 지속.
  • 관세 리스크 – 트럼프 정부의 39% 징벌 관세 확대 가능성이 가구·럭셔리 소비 섹터를 압박.
  • 노동지표 둔화 – 8월 비농업 신규고용 2.2만 건, 실업률 4.3%로 경기 냉각 신호.
  • eSIM·eVTOL 규제 – 애플 아이폰 에어 중국 출시 연기·FAA 파일럿 프로그램 출범 등 규제 변수 부각.

2. 매크로 브리핑 ┃ ‘완만한 냉각’ + ‘정책 가속’의 함수

지표 발표일 전월 이번 수치 시장 컨센서스 해석
8월 CPI(전년비) 9/11 3.2% 3.1% 3.2% 물가 진정
8월 PPI(전년비) 9/12 2.3% 2.0% 2.1% 기업단가 완화
8월 신규고용 9/06 18만 2.2만 12만 쇼크→연준 인하 명분
실업률 9/06 4.1% 4.3% 4.1% 경기 냉각 우려

경기 지표는 ‘스태그플레이션’ 대신 ‘완만한 디스인플레이션’ 경로를 시사한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경기 소프트 랜딩 시나리오가 단기 랠리를 정당화하고 있다.


3. 섹터·뉴스 심층 분석

3-1. AI 인프라 : 투자 사이클 2막이 열린다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는 Nvidia 블랙웰 서버를 ‘대량 출하’했다. AI 서버 수요는 2024~2026년 연평균 35% 성장이 전망된다. 단기 촉매는 다음과 같다:

주목
  1. 9/17 Nvidia GTC 런던 세션 – 신규 HBM4 로드맵 공개 가능성.
  2. 9/18 FOMC 결과 – 금리 인하 시 성장주 밸류에이션 상향.
  3. 9/19 옵션 만기 – 숏 스퀴즈 위험 확대.

단기 뷰: AI 체인(반도체·서버·쿨링) 스프레드 매수. 종목: NVDA·AVGO·SMCI·DLR.

3-2. 소비·부동산 : 관세와 금리가 엇갈린다

RH 실적 쇼크는 관세 39% 리스크의 실험실이다. 하지만 고급주택 지표(NAHB 지수)가 저점을 통과하면 주택 연동주(Lowes, Home Depot, Wayfair)의 테크니컬 반등 여지가 크다.

3-3. eVTOL·모빌리티 : 정책 모멘텀 가속

FAA 파일럿 프로그램에 Joby·Archer가 즉각 합류했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관공서-민간 합작으로 전환점을 맞았다. 단기 트레이딩: JOBY·ACHR 옵션 콜 스프레드.

3-4. 빅테크 규제·M&A

  • 마이크로소프트 – Teams 분리 판매 수용, 과징금 리스크 해소 → 단기 탄력.
  • 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 – WBD 인수설 부각, 미디어 합종연횡 촉발.
  • 오픈AI·Nvidia – 영국 AI 인프라 ‘수십억 달러 투자’ 협상, 국부펀드·미국 정책 훈풍.

4. 1~5거래일 단기 시나리오

시나리오 확률 지수 레인지(다우/나스닥) 투자 포인트
① 완화적 FOMC + AI 랠리 지속 55% 다우 39,800~40,300 / 나스닥 17,100~17,450 AI 체인·현금 부자(FCF) 스윙 매수
② 매파적 파월 + 차익실현 30% 다우 38,900~39,300 / 나스닥 16,600~16,900 방어형 ETF(SPLV)·단기채 T-Bill 롤오버
③ 관세 불확실성 재점화 15% 다우 38,500 하향 이탈 / 나스닥 16,400 하향 가구·럭셔리 숏, AI·헬스케어 롱의 롱숏

5. 전략 제언 ┃ ‘현금·AI·리걸 리스크 회피’ 삼각형

5-1. 포트폴리오 핵심 (예시 100만 달러)

  • 현금 부자 배당+자사주 상위주 : MSFT, AAPL, NFLX → 40%
  • AI 인프라 초과수익 : NVDA, AVGO, SMCI, DLR → 25%
  • 방어적 고정수입 : 6개월 T-Bill Ladder → 15%
  • eVTOL 초기 성장주 : JOBY, ACHR → 5%
  • 차익·헤지 : QQQ 풋, XLP 롱 → 10%
  • 현금 : 5%

5-2. 주의·변수

• 9/17-18 FOMC 발언 수위
• 9/20 옵션만기 – 알고리즘 변동성
• 트럼프 관세 재협상 결과 – 소비재 주가 영향


6. 결론 ┃ ‘현금이 왕, AI가 여왕’인 장세

경기 둔화에도 현금흐름이 풍부한 기업(웨이페어ㆍ스포티파이ㆍ페덱스)과 AI 인프라 섹터가 지수 레벨을 방어할 확률이 높다. 반면 관세·규제·노동 비용 변수에 노출된 소비 관련주는 숏 또는 중립이 적절하다. 단기 1~5거래일 관점에서 ‘완화적 FOMC + AI 실적 상향’이 우세해 지수 레코드 갱신 가능성이 50%대 중반이다. 다만 레버리지 과다 노출은 피하고 현금·단기채 확보로 변동성 장세를 흡수하는 전략이 필수다.


(본 칼럼은 필자 최진식의 개인적 의견으로, 투자 손실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