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8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상호주의 관세’ 충격 속 단기 랠리의 명암

서두 요약

미국 증시는 전일 기업 실적 호조연준 인하 기대를 동력 삼아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0시를 기해 전면 시행된 ‘상호주의 관세’와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도체 100% 관세 경고가 겹치면서, 단기적으로는 정책 충격실적 모멘텀이 상충하는 복합 장세가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체 자산으로의 자금 이동, 유동성 환경 변화가 1주일 안에 지수 변동성을 키울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본 칼럼은 최근 쏟아진 40여 건의 뉴스와 경제지표를 ①정책·무역, ②실적·섹터, ③거시·유동성, ④기술적 포지셔닝 네 축으로 분석하고, 향후 단기(1~5영업일) 주가 흐름을 전망한다.

1. 정책·무역 섹터별 영향 분석


1-1. 상호주의 관세 전면 시행

8월 7일 0시부로 발효된 상호주의 관세는 미국 기준 관세율을 종전 2.3%(2024년 평균)에서 평균 17%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브라질·인도 50%·스위스 39%·캐나다 35%가 고율 관세 그룹에 포함됐다.

국가 관세율 미 수입 비중 주요 품목
브라질 50% 1.6% 철강·단백질 식품·가죽
스위스 39% 0.8% 정밀기계·제약·시계
인도 25→50%(순차) 2.2% 의약품·의류·보석
EU 평균 15% 15.4% 자동차·항공부품·기계
  • 경기순환주(소재·산업재) – 조세 비용 전가가 제한적이어서 마진 압축 경고등이 커졌다.
  • 필수소비재 – 스위스·EU 관세 영향으로 경쟁 구도 재편, 고가 프리미엄 브랜드에 가격 인상 여력.
  • IT·통신 – 반도체 100% 관세 가능성이 공급망 리쇼어링 모멘텀을 부각, 미국 내 설비 보유 기업(삼성, TSMC, GF) 상대적 수혜.

1-2. 401(k) 대체자산 편입 행정명령

퇴직연금 시장(8.7조 달러)에 사모펀드·암호화폐·부동산이 본격 편입될 길이 열렸다. 단기적으로는

  1. 대체자산 펀드로의 자금 재배분 → 성장주·벤처 벨류에이션 지지
  2. 암호화폐 자금 유입 기대 → BTC 상승/나스닥 변동성 확대

2. 실적·섹터별 핵심 포인트


2-1. 빅테크·AI

Eli Lilly가 GLP-1 약물 판매 호조로 가이던스를 상향했고, Duolingo는 AI 기반 DAU 폭증으로 30% 급등했다. ‘AI 파워드 수요’ 스토리가 주가에 재차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3~4거래일 동안:

  • 나스닥100 선물 15,400선 상단 돌파 시 옵션 커버 랠리 가능 (콜감마 +4.1).
  • 단, 비중축소 의견이 나온 캐터필러·캠벨스프 등 리오프닝·식료품 주에는 차익 매물 대기.

2-2. 산업·소재

머스크·타르가 리소스의 ‘넘버 비트(Numbers Beat)’가 확인되며 물동량·가스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다. 그러나 관세 불확실성이 클수록 선박·파이프라인 운임이 단기 고점부근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2-3. 소비재·헬스케어

GLP-1 치료제 수혜로 헬스케어 섹터의 상대강도가 6개월 만에 상향 추세로 돌아섰다. 팀호튼·버거킹 실적을 발표한 Restaurant Brands는 국제부문 매출이 방어력을 제공하나 미국 내 치킨 싸움이 으로 작용하고 있다.

3. 거시·유동성 분석


3-1. 경제지표·연준

뉴욕 연은 5년 기대 인플레이션 2.9% → 연준 2% 목표와 괴리 확대

채권선물은 9월 FOMC 25bp 인하 확률 95%를 여전히 반영하지만,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올라 관세발 비용 인상 리스크가 거세지면 인하 기대는 1~2주 내 15~20%포인트 축소될 소지가 있다.

3-2. 기술적 포지셔닝

델타 원 데스크 자료 기준, CTA(추세추종) 포지션은 S&P500 15% 익스포저에 불과해, 지수가 5,600p 돌파 시 차입 매수 증가분(~320억 달러)이 유입될 전망이다. 반대 방향으로 5,460p가 깨지면 숏 가속 구간이 열릴 수 있다는 점도 유념.

4. 1~5영업일 단기 전망


4-1. 베이스라인 시나리오(확률 55%)

조건 : ① 관세 후폭풍 헤드라인 없음, ② 연준 인사 ‘9월 동결+데이터 의존’ 스탠스 유지, ③ 실적시즌 잔여 빅테크(Arm, Rivian 등) 컨센선스 부합

전망 : S&P500 5,580~5,645 박스 상단 테스트, 나스닥100 15,500선 상향 이탈. 섹터 수익률은 AI·헬스케어·유틸리티 강세 vs. 철강·의류·식품 조정.

4-2. 리스크 시나리오(확률 30%)

조건 : ① EU·인도·브라질 보복 관세 헤드라인, ② PPI·CPI 서프라이즈, ③ 10년물 금리 4.35% 상향 돌파

전망 : S&P500 5,460 일차 지지 붕괴 → 5,340 테스트, 변동성지수(VIX) 20p 근접. 리밸런싱 매물로 경기순환주 낙폭 과대.

4-3. 서프라이즈 강세(확률 15%)

조건 : ① 인플레이션 둔화 확인, ② 미국·EU 협정으로 관세 3개월 유예, ③ 머스크·릴리 등 대형주 옵션 콜감마 누적

전망 : 나스닥100 15,800선 단기 돌파, S&P500 위클리 신고점 경신(5,700+). 콜옵션 매수 → 델타헤지로 매수세 확대.

5. 투자 전략 & 결론


5-1. 자산배분 아이디어

  • 경기 방어형 : GLP-1 핵심 밸류체인(릴리, 노보 노디스크, 삼성바이오 로직스).
  • 관세 수혜 : 미국내 파운드리(글로벌파운드리), 철강 리쇼어링 전략주(뉴코, 클리블랜드-클리프스).
  • 대체자산 플레이 : 상장형 P/E ETF(PROC 등) + 비트코인 현물 ETF(BITB, IBIT) 모멘텀 트레이드.
  • 헤지 : USDJPY 숏(BOJ 긴축 가능성) + 10y 미 국채 롱(단기 인하 기대 불식시 반대편 헷지).

5-2. 최진식의 한줄 코멘트

“관세와 AI, 둘 중 하나가 금주 시장을 지배할 것이다. 헤드라인에 휘둘리기보다 펀더멘털과 포지션 사이클을 함께 보라.”

© 2025 MacroInsight by 최진식 –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