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7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 충격과 AI 열풍 속 단기 변동성 확대

서두: 관세·AI·실적의 3중 파도, 단기 시장을 흔들다

미국 증시는 이번 주 연준의 완화적 기조에도 불구하고 무역 관세 재점화, AI 관련 종목 급등락, 실적 시즌 변동성이라는 3중 파도에 직면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관세 인상 카드를 꺼내 들면서 단기 위험 프리미엄이 재부상했고, 동시에 AI·반도체 생태계는 실적 기대와 정책 리스크가 교차하며 극단적 주가 변동을 연출했다. 이에 따라 향후 3거래일 내외(통상 1~5거래일 범주) 시계열에서 S&P 500·나스닥·다우존스는 모두 상·하단 박스권 변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Ⅰ. 최근 시장 키워드 10선

  1. 관세 상향(인도·EU·일본)
  2. 연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94%
  3. AI 서버·GPU 수주 공백
  4. 스트리밍 플랫폼 빅딜(ESPN–WWE)
  5. 디즈니·우버·Shopify 실적 서프라이즈
  6. SMCI·AMD 실적 쇼크
  7. 유럽 증시 3년 저점 재확인
  8. 달러 인덱스 재반등 vs 실질금리 둔화
  9. WTI 반등·금 횡보
  10. 기업 자사주 매입 재개(우버 200억 달러)

Ⅱ. 거시 환경 진단

지표 최근 발표치 콘센서스 대비 단기 시장 영향
7월 ISM 서비스업 PMI 50.1 ▼ 1.4p 경기 둔화 신호 → 채권금리↓ → 성장주 재평가
서비스물가 세부(Prices Paid) 69.9 ▲ 2.4p 인플레 경계 → 연준 “한 번 더 확인”
6월 무역적자 -602억 $ 적자 축소 GDP 상향 → 달러 강세 버팀목
주간 신규 실업수당 22만건(e) 견조 노동시장 완만 + 연준 인하 여지
10년물 국채금리 4.20% -10 bp 5일간 성장주 P/E 방어

Ⅲ. 섹터·실적 스냅샷

1)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 AI 서버 모멘텀 둔화

  • 4Q EPS 0.41 $ (컨센서스 0.44 $ miss)
  • 가이던스 미스 → 주가 -17% 장전 급락
  • 단기 영향: AI 테마 상단 밸류에이션 압축 → 관련 ETF (VG SFYF, SOXX) 이익실현 우세

2) AMD — GPU 수출 규제 + 가이던스 보수적

  • 중국향 MI308 출하 차질 언급
  • 주가 -6% → SOX 지수 단기 하방 견인

3) 디즈니·Shopify·우버 — 소비·디지털 피벗 서프라이즈

디즈니 EPS 1.61 $ (+9%), Shopify 주가 +20%, 우버 자사주 200억 $ → 소비 탄력 체크포인트


Ⅳ. 기술적 분석: 주가지수 & 변동성

S&P 500 지수(일봉)

  • 20일선 (5,098) ↘ 50일선 (5,066) 벌어짐 축소
  • RSI 38 → 단기 과매도 진입
  • 중요 지지: 5,010 – 5,030 (4월 고점대)
  • 중요 저항: 5,180 (20일선), 5,235 (최근 피보나치 38.2%)

VIX(시카고 옵션 변동성 지수)

  • 11pt → 14pt 급등 후 13pt 안착
  • 단기 5일 내 VIX 12~16 상단 박스 전망

Ⅴ. 수급 & 파생 포지셔닝

시카고선물거래소(CME) E-mini S&P500 선물 선물옵션 포지션(8/6 청산 기준)에서 비상업적 순숏 +8만 계약으로 두 달 만에 최대치다. 이는 ① 관세 헤드라인 ② AI 하드웨어 실적 쇼크 ③ 연준 블랙아웃(잭슨홀 전) 불확실성을 반영한 헤지성 숏으로 해석된다. 반면, ETF 현물 (VOO, QQQ)에서는 일일 +31억 $ 순유입이 발생해 기관 롱온리 재편입→숏·롱 엇갈림이 특징이다.


Ⅵ. 단기 전망(향후 3 거래일 가정)

베이스라인 시나리오(확률 60%)

  • VIX 14 선 하향 안정
  • S&P 500 5,030 ~ 5,140 박스 = 기술적 반등 + 관세 헤드라인 대기
  • AI 테마 → 하방 경직(엔비디아 분기 말 수요 확인)
  • USD DXY 103.5 ~ 104.3 강보합, 10Y 4.15% ±5 bp

리스크 시나리오(확률 25%)

  • 트럼프 “EU 투자 불이행 → 35% 관세 즉시 발효” 트윗
  • S&P 지수 4,980 급락(2%) → VIX 17 점프
  • 소비재·산업재 섹터 알파 음전환

호재 시나리오(확률 15%)

  • 잭슨홀 사전 연준 “9월 + 12월 2차례 25 bp 인하 시사”
  • S&P 500 5,200 터치, 빅테크·핀테크 단기 랠리

Ⅶ.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 팁

전략 1 | 헷지드 메가캡 바스켓
① 롱 : GOOGL, AMZN, MSFT → AI 서비스 측면
② 숏 : SMCI(단기), INDU ETF(산업재 관세 익스포저)
③ 옵션 : SPY 5,000 ATM 훗주 풋 매수로 추락 위험 대응

전략 2 | 관세 회피 소비 테마
① E-commerce Shopify (글로벌 셀러 전가 + AI 스토어)
② 우버 — 소비 경기 민감도 낮고 자사주 매입 팬텀효과
③ 리오프닝 관광주 중 EU 노출 적은 RCL, NCLH 선별

전략 3 | 단기채 + 디펜시브 배당 (변동성 국면)
① 3-M T-Bill 수익률 5.40% 락인
② 미국 통신 (VZ, T) 5%+ 배당 → 금리 하락 시 캐피털게인 기대
③ 금 ETF (GLDM) – 실질금리 ↓ + 달러 강보합 박스 헷지


Ⅷ. 체크리스트 (향후 3 영업일)

  • 목 03:00 PM ET — 연준 위원 비공식 발언(증시 폐장 직후 기사화 가능)
  • 목 08:30 AM ET — 주간 실업수당(예상 22만건)
  • 금 10:00 AM ET — 미시간 소비심리(1차치)
  • 금 장전Nvidia GTC 티저 발표 (추가 GPUroadmap 가능)

Ⅸ. 결론 및 조언

단기적으론 관세 헤드라인이 리스크 프리미엄을 확대하나, 연준 인하 기대·실적 양극화가 동전의 양면처럼 시장을 지배한다. S&P 500 5,030 지지가 무너지지 않는다면 『반등 → 헤드라인 → 되돌림』의 비정형 패턴이 일시 지속될 전망이다. 투자자는 ① 섹터 회전 속도② 수급 기반 헷지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급락 종목의 ‘떨어지는 칼날’ 접근보다는, 호실적·자사주 매입·저관세 노출 성장주를 분할 접근하며, 변동성 확대한 만큼 ETF & 옵션 헷지도 병행할 것을 권고한다.

2025년 8월 7일 새벽, 뉴욕·서울 동시 작성
최진식 (경제 칼럼니스트 & 데이터 분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