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두 – 뉴욕증시, ‘관세·AI·스태그플레이션’ 삼중 충격 속 단기 조정
지난 5일(현지시각) 뉴욕증시는 S&P 500 –0.49%, 다우 –0.14%, 나스닥 100 –0.73%로 동반 하락했다. ① 러·우 전쟁 장기화 속 관세·제재 확대, ② 7월 ISM 서비스업 지수 하락(50.1)과 가격지수 급등(69.9), ③ AI 수혜주 실적 온도 차가 맞물리며 스태그플레이션 공포가 부각됐다.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4.20%대로 올라섰고, 달러지수(DXY)는 102선 중반을 회복했다.
이슈 | 내용 | 단기 영향(1주) |
---|---|---|
관세 리스크 | 트럼프, 의약품·반도체 수입관세 최대 250% 시사 | 인플레이션·원가 압박 ↑ |
연준 정책 기대 | FF 금리선물 9월–25bp 인하 확률 92% | 장기물 금리 완만한 하락 가능 |
AI 모멘텀 | 팔란티어(+7%)·아리스타(+13%) vs 슈퍼마이크로(–15%) | 종목별 변동성 확대 |
원자재 가격 | WTI 65달러·브렌트 68달러—5주래 최저 |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
2. 인용 & 요약 – 핵심 발언 모음
“국채 수익률이 치솟아도 달러가 생각만큼 강세를 못 보이는 이유는 관세발 인플레와 경기 둔화가 동시에 반영된 디플레이션적 강달러이기 때문이다.” – 시티 US 매크로 노트
“AI 서버 수요는 아직 견조하지만, 엔비디아 우선 배정 구조가 바뀌지 않으면 2차·3차 밸류체인에 소재한 OEM의 마진 압박은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다.” – 바클레이스 반도체 리포트
3. 데이터 심층 분석
3-1. 거시 지표
- ISM 서비스업 지수: 5개월 만에 50선 턱걸이. 고용·신규주문이 둔화됐지만 가격지불지수가 69.9로 급등—연준 목표 달성 난항.
- 6월 무역적자: –602억 달러(1년 9개월 만 최저). 실질 성장률(GDPNow) +3.2%p 중 0.8%p를 삭감—성장엔 중립, 물가엔 완화.
- 달러·금리: 10년물 4.20%, 2년물 4.46%로 베어 플래트닝. 달러지수 102.4—위험회피 + 정책 기대로 딜레마.
3-2. 섹터별 실적 키워드
- AI 인프라: 팔란티어·아리스타 어닝 비트, 슈퍼마이크로·AMD 가이던스 미스 → 단기 매수/매도 트리거.
- 산업재: 캐터필러·이튼 실적 둔화 → 관세 + 원재료 상승분 마진 전이 지체.
- 소비재: 매치그룹 AI 전략, 스냅 광고 ARPU 부진 → 경기 민감형 플랫폼 실적 차별화.
4. 전망 – 향후 1주(단기) 미국 주식시장 로드맵
4-1. 베이스라인 시나리오(확률 55%)
• S&P 500 5일 이동평균(5DMA) 5,460선 지속 공방
• 유가·식료품 하락 → 인플레 기대치 주춤, 기술주·고배당 방어주 동시 순환매.
• 8월 8일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 건± → 연준 연내 2회 인하 기대 유지.
4-2. 리스크 시나리오(확률 30%)
• 트럼프 MFN 약가 정책 세부안 공개 → 제약·바이오 섹터 –3% 급락. 10년물 금리 4.30% 상향 돌파 시 나스닥 100 변동성 지수 +10%포인트.
4-3. 긍정 시나리오(확률 15%)
• 8월 7일 BOE·RBI 동시 완화적 스탠스 → 달러지수 101 이하 하락.
• 엔비디아 분할 후 첫 주 회복세로 AI 밸류체인 단기 반등폭 8~12%.
5. 전략 포트폴리오 제안
5-1. 섹터·테마 배분(비중)
- 고품질 빅테크 (30%): MSFT·GOOGL – 실적 방어력, 클라우드 AI.
- 미국 국채 ETF(20%): IEF·TLT – 9월 전후 금리 인하 베팅 헤지.
- 방어적 소비재·헬스케어(15%): JNJ·PG – 관세·약가 뉴스 단기 디스카운트 이용.
- 에너지 단기 롱(10%): XOP – 유가 60달러 초반은 OPEC+ 재감산 자극 구간.
- 캐시 & 옵션 전략(25%): 변동성 매수·커버드콜 혼합.
5-2. 트레이딩 아이디어
- 팔란티어(PLTR) – 18달러 지지 시 22달러 단기 스윙, 손절 16.8달러.
- 슈퍼마이크로(SMCI) – 장중 680달러 이탈 시 600달러 선 분할 매수, 반등 목표 780달러.
- SPY 스트래들 – 8월 14일 CPI 전후 양방 변동성 확대 노림.
6. 결론 – 투자자 체크리스트 & 조언
① 정책 이벤트 캘린더: 8/6 中 무역지표, 8/7 BOE·RBI, 8/8 미 신규실업. ② 관세·제재 헤드라인의 장중 속도전을 대비하라. ③ 실적 이후 주가 과잉반응은 평균회귀 속도가 빨라졌다—숫자보다 가이던스·밸류 체크. ④ 달러·유가·실업지표 3대 매크로 변수로 단기 방향성 가늠. ⑤ 리스크 관리: 시간외 거래 변동성 확대에 주의, 스탑로스·옵션 헤지 병행.
© 2025 최진식.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이 목적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