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6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AI·유가 삼중 변수 속 단기 변동성 분수령

■ 시장 상황 5분 브리핑

미국 증시는 8월 첫 주를 ‘엇갈린 온도차’ 속에서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5,678선에서 기술적으로 이중 천장을 시도하며 하루 만에 +1.47% 반등했다가, 이튿날 ISM 서비스업 가격지불 지수 69.9 쇼크로 −0.57% 되밀리는 등 고점 공포와 완화 기대가 교차했다. 나스닥100은 빅테크 실적 덕에 연중 최고치(18,672p)를 터치했으나, 관세·연준 인선·유가라는 세 개의 매크로 잔물결이 매수세를 제동하고 있다.

■ 이번 주 핵심 헤드라인 6가지

  1. 트럼프식 3단 관세 예고 – 의약품 25→150→250% 로드맵·반도체 추가 관세 윤곽
  2. AI 서프라이즈 vs 밸류 부담 – 팔란티어·엔비디아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주가는 조정
  3. Oil $10 Shock? – 트럼프 “WTI 10달러 더 빠지면 러 전쟁 멈춘다” 발언 여진
  4. 차기 연준 의장 레이스 – ‘두 케빈’(워시·해싯) 확률 급등, 섀도 체어 가능성 재부상
  5. T-노트 10년물 입찰 – 8월 6일 430억 달러 발행, 장기금리 4.22% 피봇라인
  6. 루시드·코인베이스 대규모 자금조달 – 전환사채·생산 가이던스 하향 쇼크

■ 거시·정책 체크포인트 3선

1) 관세 변수 – 단기 락인(이익 실현) 압력

트럼프 대통령은 CNBC 인터뷰에서 의약품 관세를 최대 250%까지 올릴 수 있다고 언급했다. ① 시장 깊이 얕은 제네릭 제조사(TEVA, VTRS) 주가는 공급망 우려로 이틀간 평균 -6%. ② 반대로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엘리 릴리·애브비는 상대적 수혜 기대. ③ S&P500 의약품 섹터 비중 14% → 관세 시나리오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EPS 0.8% 하방요인.

2) 금리 변수 – 의장 인선 잡음

칼시 예측시장 데이터(8/5 15:00 ET 기준)에 따르면, 케빈 워시 35%, 해싯 35%, 월러 15%, 그 외 15%. 중립·매파 스펙트럼을 정량화한 Fed Pivot Beta(최진식 계산)는 0.31 → 0.38로 급등. 단기적으로는 “파월 下 금리 인하” 기대가 뚜렷하지만, 의장 교체 이슈는 연준 독립성 불확실성을 높여 채권 변동성을 확대한다.

3) 유가 변수 – $70 브레이크라인

자산 현재가 1주 변동 기술적 지지·저항
WTI 9월물 $65.40 -4.2% $63.90 / $70.80
브렌트 10월물 $67.95 -3.8% $66.50 / $72.10

WTI 60달러선 하락 시, S&P 에너지 EPS 4.5% 감소·헤드라인 CPI -0.12%p 기여. 에너지 하락=디플레 압력=채권 강세 → 성장주 단기 탄력 재점화 시나리오.

■ 실적 리뷰와 단기 매매 포인트

① 팔란티어 (PLTR)

  • 매출 10억330만 달러(+48%), GAAP 흑자 0.13달러 – 연간 가이던스 상향
  • 우려: 2026F PSR 74배, AI 수주 백로그 62%가 정부 고객 → 정책 예산 지연 가능성
  • 트레이드 아이디어: $155 저항대-돌파 실패 → $128 단기 숏 / $120 지지 확인 후 $150 콜 스프레드

② 얌! 브랜즈 (YUM)

  • 동점포 매출 미국 KFC -2.1%, 피자헛 -1.9% → 가맹료 EBITDA 압박
  • 배당 수익률 2.05% 재돌파, 투자자들은 소프트 랜딩 헤지로 배당주 회귀

③ 코인베이스 (COIN)

  • 20억 달러 전환우선채 → 지분희석 7%p, BofA 타깃 $140 → $121 하향
  • 비트코인 옵션 Skew 지표 급락, BTC -3% 당일 코인베이스 -5% 베타 1.6 유지

■ 1~5일 초단기 시나리오 트리

변수 긍정(+) 부정(-) 확률(내부 추정) 지수 영향
WTI 60달러 붕괴 CPI 둔화 → 채권 호재 에너지 EPS ↓ 30% S&P +0.4%p
트럼프 관세 확대 구체화 미국 생산주 수혜 소비·물가 상방 45% S&P ‑0.6%p, Russell 2000 -1.2%
10년물 입찰 흥행 금리 -7bp 금리 +5bp 55% 나스닥 +0.7% / -0.5%

■ 포트폴리오 전략

① 섹터 폴(Optionality Long-Only)
리스크온: XLK 35%, XLY 12%, SMH 10%
리스크오프: XLU 10%, XLV 8%, BIL 5%
• Hedge: S&P 선물 -7%, VIX Call 1개월 ATM 2%

② 개별 종목 스윙(1~5영업일)

  • Nvidia: $115 지지 확인 시 $125 타깃 숏-스트랭글 (IV 55%)
  • Walmart: 7일 신규 실업수당 + 관세 뉴스 팝업 시 필수소비 로테이션 롱
  • Lucid: 전환우선 사채 추종 숏커버 트레이드, $4.20 → $4.80 리바운드 기대

■ 결론 및 조언

당장 5거래일 안에는 ① 에너지 급락 이벤트, ② 10년물 입찰 결과, ③ 트럼프 관세 레토릭이 지수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나는 “강세-이익 실현 혼조장”을 전망한다. 빅테크 EPS 모멘텀이 꺾이기 전 단기 조정은 매수 기회지만, 관세 불확실성과 금리 4%대 고착은 현금 10% 보유를 정당화한다. 독자들은 실적 청사진보다 정책·금리 헤드라인에 더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숫자’보다 ‘문장’이 움직이는 장세이기 때문이다.

— 2025년 8월 6일, 최진식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