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4일
중기(3~4주) 시황 인사이트
Ⅰ. 서두 요약 ― 관세·고용 쇼크가 던진 네 가지 질문
7월 말부터 8월 첫 주까지 미국 주식시장은 ①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재부과, ② 7월 비농업 고용 쇼크, ③ 연준 내부 이견 표출, ④ 실적 시즌 희비라는 네 갈래 변수를 동시에 맞이했다. 지수 자체는 조정 국면에 진입했지만, 방어주와 특정 성장 테마(Generative AI·헬스케어)가 오히려 상대 강세를 보이며 섹터 로테이션이 가속화됐다.
- S&P 500: 3주 연속 하락, 주요 지지선 5,320p 시험
- 나스닥 100: 기술 대형주 조정폭 –8.7 % (7/15 고점 대비)
- 러셀 2000: 경기 민감 소형주 –11.2 % 급락, 단기 베어마켓 진입
- 10년물 국채금리: 4.35 → 4.03 % 급락, 금리 인하 베팅 확대
- WTI 유가: 중국 수요 둔화 + 관세 불확실성 → $67 선 붕괴
- 금: 안전자산 선호로 트로이온스당 $3,410 재돌파
Ⅱ. 거시 변수 정리 ― Data Recap
지표 | 발표치 | 예상치 | 전월/전분기 | 코멘트 |
---|---|---|---|---|
7월 비농업 고용 | +73k | +180k | +147k ▶ +14k(수정) | 팬데믹 이후 최저 증가폭, 前月·前前月 합계 –258k 하향 |
7월 실업률(U-3) | 4.1 % | 4.0 % | 4.0 % | 슬랙 확대, 구직참여율 소폭 하락 |
6월 CPI YoY | 2.7 % | 2.8 % | 3.0 % | 견조한 둔화, 헤드라인·근원 동반 하락 |
ISM 제조업 PMI | 48.2 | 49.5 | 50.1 | 재고·신규수주 부진, 2개월 연속 수축 |
관세 2차 발표 | 10 ~ 41 % | — | 평균 10 % | 철강·반도체·의약품 추가 부과, 평균 실효 16 % |
Ⅲ. 뉴스 플로 하이라이트
- 블랙록 릭 리더 “9월 50bp 인하까지 열렸다” — FedWatch 83 % → 88 % (25bp 가능성)
- 버크셔 해서웨이 2Q 영업이익 –4 %; 관세 리스크 재경고
- 테슬라 오토파일럿 배심원 평결 $3.29bn 징벌배상 → 자율주행 리스크 프리미엄 확대
- 피그마 IPO 첫날 +250 %… 단기 IPO 열풍 vs 거품 논쟁
- 에퀴닉스 — 엘리엇 액티비스트 참여, 데이터센터 리츠 재평가
- 헬스케어 고용 7월 +73.3k → 경기방어주 수급 유입
- 연준 쿠글러 이사 전격 사임 → FOMC 공석 확대, 트럼프 지명 카드 주목
Ⅳ. 섹터별 중기(3~4주) 투자 포인트
1) IT 메가캡 — ‘AI = 캡엑스 리스크’ 소화 국면
• 아마존 캡엑스 1,180억 달러 → 단기 EPS 희석 vs AI 인프라 선점
• MS·GOOGL AI 서버 투자 가이던스 상향 => | 기업채 발행 확대 |
• Fwd PER 조정폭 –7 % (7/15대비) → 추가 조정 시 레벨2 매수 구간
2) 헬스케어 — 고용 선순환·관세 Non-Impact 섹터
- 주요 제약·바이오 수입 원재료 비중 12 %로 관세 민감도↓
- 고용 지표 → 의료서비스 수요 유지 → AFFO 성장률 6 % 전망
- 중기 포트 비중 20 % → 7월 대비 +4 % 상향 제안
3) 산업·원자재 — 관세 헤드윈드
•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상분 → GM·포드 마진 가이던스 –70bp
• 원자재 ETF (PICK, SLX) 단기 언더퍼폼 예상
• 풋 스프레드 (예: SLX $63/$57 9/20만기)로 하방 헤지
4) 리츠·데이터센터 — 엘리엇 액티비즘·AI 추론 테마
• EV/EBITDA 갭 DRL 29배 vs EQIX 24배 → 리레이팅 여지 18 %
• 관세 영향 경미, 국채금리 하락 시 듀레이션 베타 +1.4
5) 스몰캡·로컬 소비 — 신중 접근
• Russell 2000 매출 해외 비중 21 % → 관세 직접 타격
• 9월 Fed 결정 전까지 중립(Neutral) 유지
Ⅴ. 가격·현금흐름 모델 업데이트 (Top-Down)
[가정] ① S&P 500 2025E EPS $255 (7월 컨센서스 $260 → 하향 –2 %)
② 하반기 EPS 모멘텀 –1.5 %, 연말 P/E 19배 가정
③ 10년물 금리 4.0 %, ERP 3.5 %
[결과] 목표가 → 5,090p (–5.2 %)
베어 케이스 (P/E 18 × EPS $245) : 4,410p (–17.1 %)
불 케이스 (P/E 21 × EPS $260) : 5,460p (+1.4 %)
▶ 중기 구간 (오늘 ~ 9월 FOMC) 타깃 밴드 4,700 ~ 5,200p
Ⅵ. 리스크 체크리스트 (8월 4주 ~ 9월 3주)
- 관세 3차 공고 — 반도체·의약품 추가 여부
- 8월 CPI·PPI — 서비스 임금 전달효과
- 8월 고용보고서 — 10만 명 붕괴 시 50bp 인하 베팅 급가속
- 잭슨홀 심포지엄 — 파월 ‘고용 둔화’ 어조 수위
- FOMC 공석 인선 — 매파/비둘기 교체 구도
- 기업 밸류체인 실적 가이던스 — AI 서버, 디스플레이, 리테일 B2B
Ⅶ. 중기 투자 전략 (체크리스트 + 실행 매뉴얼)
① 포트폴리오 전술 배분
- 현금·단기 T-Bill → 중기 비중 20 % → 30 %(+10 ppt)
연 4.9 % 수익률, 변동성 헤지 원천 - 헬스케어 ETF (XLV) → 15 % → 19 %(+4 ppt)
고용 모멘텀·관세 방어 기여 - 데이터센터 리츠 + 반도체 장비 → 13 % 유지
EQIX 스프레드 트레이드 (+), ASML/AMAT 바텀피싱 - 메가캡 AI → 25 % → 22 %(–3 ppt)
캡엑스 불확실성 완화 시 재확대 - 원자재·산업 ETF (PICK, XLI) → 9 % → 6 %(–3 ppt)
② 차익·헤지 전략
• 풋 스프레드 (SPX 5,000/4,700 10/18 만기) → 프리미엄 12.5 → 손실 한도 정해놓고 보험
• 양매도(iron condor) : 금 ETF (GLD) 185/195 on both sides → 변동성 완만화 베팅
③ 이벤트 드리븐 매매
이벤트 | 종목/ETF | 전술 | 타깃가·손절가 |
---|---|---|---|
9/18 FOMC 50bp Cut 확률 > 60 % | XLK Calls | ATM 콜 10/18 만기 (델타 0.45) | +30 % / –20 % |
관세 3차 발표 (반도체 포함) | SMH Put Spread | 182/165 9/20 | 100 % / –50 % |
헬스케어 고용 추세 유지(8월) | UNH 주식 | 추격 매수 | $580 / $525 |
Ⅷ. 중기 전망 요약 (3줄)
- 관세와 고용 쇼크 탓에 레인지 하단(4,700p) 테스트 가능성이 높다.
- 다만 헬스케어·AI 인프라와 같은 구조적 성장·방어 섹터가 피난처 역할을 하며 지수 급락을 제한할 전망이다.
- 9월 FOMC 전까지는 현금 30 % 내외 확보와 리스크별 헷지가 최선의 대응이다.
Ⅸ. 결론 & 투자자 행동 지침
1) 관세·고용·연준 모든 변수가 9월 초까지 2차례 이상 데이터로 검증된다. ‘인내’가 수익이다.
2) 헬스케어·데이터센터·AI 서버 추론 섹터는 수급 이탈보다 유입이 우세하다. 기간·가격 조정 시 기회로 활용.
3) 옵션 헤지 비중을 3 % → 5 %로 확대해 변동성 ‘찔끔 베팅’보다 구조적 보험 전략을 택하라.
4) 달러 강세 전환이 예상보다 빨리 출현할 수 있으므로 환 헤지 ETF(UUP) 에 최소 2 % 안배.
요컨대, ‘중기 보수·장기 낙관’이 8월장 생존 키워드다. 2차 관세와 고용 쇼크를 과민 해석하기보다는, 밸류에이션과 현금흐름 모니터링을 병행하며 리밸런싱·현금·헤지 세 축을 조율하는 것이 합리적 대응임을 강조한다.
작성 : Market Insight Lab / 데이터 & 리서치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