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3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 쇼크와 고용둔화가 던진 단기 시장 시나리오

🔎 서두 요약

지난 48시간 동안 뉴욕증시는 트럼프發 고율 관세, 7월 고용 쇼크, 그리고 대형 기술주 실적 변동성까지 삼중 파고에 직면했다. 관세 최종안(평균 15%대)비농업 고용 7만3,000명(+전월 대폭 하향)이 맞물리며 단기(향후 한 주 안팎) 위험자산 심리는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그러나 세부 데이터를 뜯어 보면 헬스케어·AI 전력 인프라·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등 구조적 수요 업종은 되레 자금 유입이 가속되는 양상도 확인된다. 본 칼럼은 관세→물가·성장·연준 경로를 재구성하고, 1) 실적·거시 지표 캘린더, 2) 섹터·자산군별 수급, 3) 파생시장 손익분기 가격대까지 다층적으로 분석해 ‘다음 거래주’ 방향성을 가늠한다.


1. 거시 변수 브리핑

이슈 핵심 수치/일정 시장 1차 반응
글로벌 최저관세 10% + 흑자국 15~35% 8월 7일 0시 발효 다우 ▼1.2% / S&P ▼1.6% / 나스닥 ▼2.0%
7월 비농업 고용 +73k (컨센서스 +180k)
전월 수정 -133k
FF 선물 9월 인하 확률 40%→83%
헬스케어 고용 +73.3k(전체 증가분 100% 담당) 의료 리츠·바이오서비스 ETF 강세
빅테크 실적 아마존 영업이익 가이던스 하단 155억 달러(컨센 194억 달러) AMZN ▼7% · XLK ▼1.1%

2. 관세-인플레-연준 트리거 맵

  1. 관세→수입물가 직접 충격
     ∙ 9월부터 PPI +0.3~0.4%p 가산 예상
     ∙ 소비재 마진율 60~90bp 하락 시뮬레이션
  2. 수요 둔화 vs 비용 상승
     ∙ 7월 소매·카드 데이터 YoY +1%로 급속 위축
     ∙ 가격 전가 여력 ↓ →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 ↑
  3. 연준 반응함수
     ∙ 블랙록 릭 리더 “9월 50bp 인하 베팅”
     ∙ Fed Watch: 9월 ≥25bp 인하 가능성 83%

결론적으로 관세 때문의 인플레 재상승고용 둔화가 동시 출현하면, 연준이 빠르고 크게 움직일 유인이 생긴다. 채권 10Y 4.21% 지지선이 단기 레인지 하단으로 부상.


3. 섹터·테마 체크포인트

3-1 방어주 견조 구간

  • 헬스케어 고용 +7.3만UnitedHealth/DaVita 등 관리의료 MCO 수급 우세, XLV 상대강도 +1.4%
  • 데이터센터 리츠 (Equinix ▼17.7% 급락 후 엘리엇 매집) → 단기 저점 구간.

    단기 벨트 매수 아이디어

    ‘EQIX 8/30 700–660 풋스프레드 매도’

3-2 AI 인프라 증설 캡엑스 모멘텀

MS·META 2025E CapEx 합계 1,480억 달러. 아마존 연 1,180억 달러 예상. → 전력·구리·전력반도체 수요 방어적 성장 지속.

3-3 관세 민감 소비재

월마트·타깃 밀크플레이션 지표 + 관세 30% = 주당 EPS −3~5% 하방 압력.


4. 옵션·파생 수급 스냅샷

VIX 20선 돌파 후 19.4로 재차 눌림. 그러나 콜·풋 스큐(skew)는 4개월 최고치.

  • AMZN 8/29 215·200 풋 크레디트 스프레드 연환산 22%
    → 주가 215 달러 지지 시 390달러 프리미엄 확정
  • S&P ESU5 4,900 선물 풋/콜 ratio 2.4 → 단기 공포 과매수 경고

5. 데이터 캘린더(8/5 ~ 8/9)

날짜 지표/이벤트 컨센서스 단기 시나리오
8/5(월) ISM 서비스 지수 52.5 <50 → 매도 과속 해소 / >53 → 속도조절 랠리
8/6(화) FOMC 위원 스피치 3건 매파 톤 → 채권 약세 압력 재개
8/7(수) 관세 실시 D-Day 평균 15.2% 물류주·해운 운임 변동성 확대
8/8(목)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8k ≥260k → 인하 기대첨가, 달러하락
8/9(금) PPI·TIPS breakeven PPI YoY +2.2% PPI 재상승 시 스태그 내러티브 강화

6. 전망 및 전략 제언

6-1 지수 레벨 전략

  • S&P 지수 4,930–5,0105월 저점+채권 10Y 4.2%와 중첩 → 1차 지지권.
  • 4,840 이탈 시 CTA 트리거 구간, 낙폭 과대 종목 리버설 스캘핑 기회.

6-2 섹터 피킹

  1. 데이터센터 리츠 (EQIX·DLR) & 전력 유틸리티 : AI 캡엑스, 방어적 성격 동시 보유.
  2. 헬스케어 서비스 (UNH·HCA) : 고용 증가가 수익 가시성 뒷받침.
  3. 소비 필수재 (KMB etc.) : 관세 전가 난이도 중간, 배당 3%선 매력.
  4. 중간재·의류 OEM : 관세 문의 폭탄 & 실적 가이던스 하향 리스크, 단기 언더웨이트.

6-3 통화·채권

달러 DXY 104선 반락 ↔ 시리아·흑해 리스크 급등 시 105.5 까지 일시 피크 가능. 10Y 4.20% 지지·4.06% 저항 레인지 예상.


7. 결론·투자 지침

① 관세·고용 쇼크는 단기 변동성 촉발 요인이지만, 헬스케어·AI 전력 인프라·데이터센터처럼 구조적 수요·방어적 성격을 겸비한 섹터는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다.
② 연준 50bp 인하 ‘리더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장단기 금리 레벨 reset이 지수 저점 매수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③ 향후 7거래일 핵심 이벤트는 8/7 관세 발효·8/8 실업수당 청구·8/9 PPI이다. 일별 변동 구간을 활용한 스프레드·헤지(풋 스프레드·버터플라이)가 유효하다.
④ 단기 관세 충격이 과도하다 판단될 경우, S&P ESU5 4,900 풋 매도 + 에너지·리츠 콜 스프레드 동시 구축으로 델타 중립α를 노린 전략이 합리적이다.

— 경제 칼럼니스트 최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