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 충격과 고용 둔화, AI 투자 급류 속 단기 주식시장 항로

서두 요약

7월 마지막 거래일 뉴욕증시는 반도체·제약주 급락트럼프발(發) 고관세 경고, 고용 둔화 조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상승분을 반납했다. S&P500과 나스닥100이 단기 고점에서 0.5% 내외로 밀렸고, 다우지수는 한 달 만에 4만 선 아래로 내려섰다. 그러나 메타·마이크로소프트·애플·엔비디아 등 빅테크는 일제히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고, 생성형 AI를 겨냥한 설비투자(캡엑스) 확대가 이어졌다. 7만3천 명 추가 고용이라는 ‘냉랭한’ 고용보고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을 앞당길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Ⅰ. 최근 시장상황 총람

  • 지수 변동 – 7월 31일 S&P500 −0.37%, 나스닥100 −0.55%, 다우 −0.74%
  • 섹터 흐름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2.9%, 제약 업종 ETF −1.8%; 반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ETF +1.4%
  • 금리·채권 – 미 10년물 국채수익률 4.365%(−0.6bp), 2년물 4.77%(−3bp)
  • 경제지표 – 7월 비농업 고용 7.3만 명(예상 11만)·실업률 4.2%(+0.1%p), 6월 근원 PCE 2.8%(YoY)
  • 통화정책 기대 – 연방기금선물 시장, 9월 25bp 인하 확률 42%·10월 36%
  • 거시 변수 – 트럼프 ‘트랜십 상품 40% 관세’ 행정명령 예고·EU 자동차 관세 15% 잠정 합의·中 인민은행 거시건전성委 출범

Ⅱ. 단기(향후 1주) 매크로 이벤트 캘린더

일자 지표·이벤트 시장컨센서스 잠재 영향
8/2 금 미국 ISM 제조업/신규 공장주문 50.2 / −0.6% 제조경기 기류 확인, 경기둔화 우려 재점화 가능
8/5 월 FOMC 위원 4인 연설 매파·비둘기 혼재 금리 인하·관세 리스크에 대한 가이드
8/6 화 애플·아마존·AMD·Pfizer 실적 컨퍼런스콜 빅테크 설비투자·AI 트랙션 기술·헬스케어 업종 변동성 확대
8/7 수 트럼프 관세 1차 행정명령 발효 트랜십 40% 고율 단기 위험회피·달러강세·수입주 급락 가능
8/8 목 중국 7월 무역·CPI 수출 YoY −4.5% 중국 수요 지표→원자재·반도체 체인 영향

Ⅲ. 경제지표·연준 분석

1. 고용보고서: ‘스톨 스피드’ 경고등

7월 비농업 고용 7.3만 명 증가는 팬데믹 회복 이후 최저치다. 임금상승률(평균시급 YoY 3.8%)은 둔화했으나 여전히 인플레 목표(2%) 상단을 견인한다. JOLTS(구인·이직) 미지표 첨단산업 구인건수는 넉 달 연속 감소했다. 이는 금리 동결 장기화 시 노동시장 훼손→급격한 고용 쇼크로 이어질 위험을 뒷받침한다.

2. 관세발 인플레이션 vs. 수요 둔화

트럼프 행정부의 ‘트랜십 상품 40%’·’EU 15%’ 관세는 자동차·럭셔리·의류에 국지적 물가압력을 주지만, 글로벌 공급망 위치를 미국·멕시코·아세안 쪽으로 재배열하게 돼 장기적으로는 총수입단가 안정화 효과도 거론된다. 시장은 관세=단기 물가 스파이크 & 수요 훼손 조합으로 해석, 연준의 선제 완화 논리를 강화할 수 있다.

3. 단기 통화정책 시나리오

  • 베이스(55%) – 9월 첫 25bp 인하, 12월 추가 25bp: 고용 냉각·관세 인플레 균형 대응
  • 매파 리스크(25%) – 9월 동결·11월 관세 파급 확인 뒤 인하: 물가상승 반등 시
  • 비둘기 리스크(20%) – 9월 50bp 빅컷: 고용·ISM·CPI 연쇄 쇼크, 실업률 4.3% 넘어설 경우

Ⅳ. 실적·섹터별 뷰

1. 빅테크: AI 설비투자 급증이 ‘단기 조정, 중기 기회’ 논리

애플 – 3분기 EPS 1.57달러, 매출 940억 달러. 관세 8억 달러→11억 달러 예상 불구, 서비스·중화권 회복으로 이익률 방어. AI·모바일기기 엣지 컴퓨팅 투자 확대.
아마존 – 3분기 영업이익 가이던스 155억~205억 달러(하단 서프라이즈 불발)로 주가 −7%. 그러나 AWS 커밋먼트 24.5% YoY, AI 훈련 수요 견조.
엔비디아 – 8/15 실적 전망 주당 1.14달러, 데이터센터 매출 24% QoQ 예상. 18일 잭슨홀 직후 고용량 GPU 발표 루머.
레딧 – 2분기 광고 매출 23%↑, 3분기 5억 4천만 달러 가이던스. AI 기반 광고 ‘딥씽크’ 출시.

2. 소비·리테일: 고관세·실질임금 디커플링

디즈니·맥도널드 다음 주 실적: 스트리밍 가입자·동일점포 매출 개선 기대. 관세로 인한 의류·가전 소매가격 상승 우려에도 경험·외식 수요는 방어적 성격.

3. 헬스케어·바이오: GLP-1 보험적용 시범 사업

리제네론 듀픽센트·노보노디스크 웨고비, 메디케어·메디케이드 5년 파일럿→단기 보험편익 선반영. 단, 약가 협상·후발 카피(catbiosimilars) 위험.

4. 에너지·원자재: 유가 박스권 vs. 저원가 광구

엑슨(순익 71억$)·셰브론(하향 EPS 1.45$) 모두 유가 70~80$ 범위에서 가이아나·Permian 저원가 자산으로 방어. 트럼프 관세→중동산 원유 선호→WTI-브렌트 스프레드 역전 리스크.


Ⅴ. 기술적 흐름·퀀트 포지셔닝

  • S&P500 50일선 5,475p, 100일선 5,360p: 현 지수 5,511p에서 1% 이내.
  • 상·하단 변동성 밴드(3거래일) – 상단 5,575p(직전 고점), 하단 5,390p(5월 저점).
  • 파생 포지션 – Vol Control·Risk Parity 펀드 주식 편입률 평균 52%(역사 평균 47%). 8월 첫 주 변동성 상승 시 80억~120억 달러 주식 매도 수급 출회 가능.

Ⅵ. 단기(향후 1~5거래일) 시장 시나리오

시나리오 A – ‘연준 베이스+기업 실적 양호’ (확률 45%)

조건 – ISM 50선 유지·AWS/애플 실적 프리미엄 지속·트럼프 관세 세부 지시 완화
S&P500 5,580~5,650p 상단 돌파, 나스닥100 19,900p 테스트. 성장주(소프트웨어·인터넷) 오버웨이트.

시나리오 B – ‘관세 쇼크+고용 실망 추가’ (확률 35%)

조건 – 8/7 행정명령 고율 유지·잭슨홀 FOMC 인하 시점 불확실성 강조
5,360p 지지선 리테스트·나스닥100 19,300p. 소비재·산업재 언더퍼폼. 방어주(필수소비재·유틸리티) 상대적 강세.

시나리오 C – ‘빅테크 포지션 청산+순환주 로테이션’ (확률 20%)

조건 – 빅테크 캡엑스 부담→마진 우려 부각·에너지·금융 리밸런싱
지수 5,450p 박스권, 로우베타 배당주+은행주 상대 우위.


Ⅶ. 투자 전략 및 실천적 조언

1. 리스크 관리 원칙

  1. 높은 옵션 변동성(VIX 14→17) 급등시에 커버드콜·풋옵션 헷지 병행
  2. 포트폴리오 내 현금·T-Bill 비중 10~15% 확보 – 고용지표 서프라이즈(쇼크) 대비
  3. 환헤지 – 달러강세 장기화 시 해외투자 ETF USD 결제 비중 축소

2. 섹터·테마별 아이디어

  • AI 인프라 & 저전력 반도체 – 엔비디아·AMD·서버 전력 솔루션 업체 MPS 선별 매수
  • 관세 회피 공급망 – 멕시코·아세안 제조 ETF·미국 내 설비투자 수혜 장비주
  • 고배당 방어주 – 배당성향 4% 이상 필수 소비재, 유틸리티 비중 확대
  • 비상자금 테마 ETF – 돈시장 MMF·단기국채 ETF 활용, 리밸런싱 유동성 확보

3. 이벤트 드리븐 트레이딩

프리마켓 모멘텀 – 아마존/모더나 단기 과매도 구간 −10% 이상 리버설 전략
중국 CPI·무역 – 원자재·금속 ETF 숏커버링 포인트 탐색, Copper/BHP 반등 후보


Ⅷ. 결론

단기는 ‘관세·고용·AI 투자의 3대 변수’가 지수 레인지(5,360p~5,650p)를 결정한다. 고용 둔화가 금리 인하 기대를 부르고, 관세 충격이 인플레 재점화를 야기하되, 빅테크의 압도적 현금흐름과 AI 인프라 캡엑스가 하단을 지지하는 구도다. 분산·헷지·현금 비중 확보를 기본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종목관세 리스크 피벗에 주목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변동성은 기회’라는 원칙 아래, 데이터·이익·정책 3대 축을 교차 검증하며 한 주를 준비하시길 바란다.

최진식, 미국 매크로·데이터 전문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