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8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정상외교 불확실성과 AI·소매 실적이 교차하는 단기 분수령

■ 서두 요약

지난 주말 뉴욕·워싱턴·브뤼셀을 오간 정상외교 라운드와 2분기 어닝시즌 막판 대형 리테일 실적, 그리고 연준 위원들의 연쇄 발언이 맞물리며 뉴욕증시는 방향성 탐색 국면에 진입했다. 본 칼럼은 ①러–우 전쟁 휴전 협상 소식, ②잭슨홀 심포지엄 및 FOMC 의사록, ③대형 리테일·반도체·AI 인프라 섹터 실적의 세 갈래 이벤트를 합성해 향후 단기(數일) 흐름을 전망한다.


1. 최근 시장 상황과 핵심 변수

1) 지정학·정책 – 트럼프·젤렌스키·EU 정상 회담

시장 반응: 선물시장에서 S&P500 선물은 -0.06%, 나스닥 선물은 -0.12%로 소폭 약세 전환.
리스크 프리미엄: 미 10년물 채권금리 4.31% (-0.4bp), 금 선물 -0.08% 약보합.
관전 포인트: (i) 안보보장 모델 구체화 여부, (ii) 유럽의 추가 재정 조달 규모, (iii) 러시아·우크라이나 양측 휴전선 동결 가능성.

2) 거시·통화 – 잭슨홀·FOMC 의사록

Fed chart
8월 21~23일 열리는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 재포착 여부’와 ‘정책 중립금리 경로’에 대해 업데이트할 전망이다. 직전 주 발표된 7월 PPI는 헤드라인 0.6% YoY로 시장 예상치(0.4%)를 상회, 9월 금리 인하 베팅을 84%→56%로 후퇴시켰다.

3) 마이크로 – 소매·AI 실적 허들

발표 일정 티커 시장 컨센 핵심 변수
8/20 (화) HD EPS $4.77 프로 고객·리모델링 수요
8/21 (수) TGT EPS $1.44 재고 턴·DEI 이슈 매출 영향
8/22 (목) WMT EPS $2.15 저가 식품·헬스케어 부문 성장
8/27 (화) NVDA EPS $5.42 데이터센터 수주잔고·중국 수출

소매 빅3의 가이던스와 NVDA 실적은 소비·AI 주도 섹터 랠리 지속성을 시험하는 시험대다.


2. 데이터 기반 체크포인트

① 유동성·금리 스프레드

  • 리버스 레포(RRP) 잔액 $1.36T → $1.29T (1주 감소) : 단기유동성은 서서히 시중으로 회귀.
  • 미 2년-10년 국채 스프레드 -47bp : 역전폭 완화세 → 침체 가격화 강도 약화.
  • BBB-BAA 회사채 스프레드 179bp (+6bp WoW) : 크레딧 리스크 미세 확대.

② 파생·수급

  • VIX 14.8 (+0.9) : 심리적 저점 구간 헤드라인 리스크에 탄력.
  • CFTC S&P E-mini 펀드 순포지션 -19.4K→+3.2K : 기관이 단기 숏 커버링.
  • ETF 자금 흐름 – AI 테마 (+5.4B 달러), 에너지 (+2.1B), 무역협상 수혜 중국 (-1.3B).

③ 기업 어닝 리비전

팩트셋 기준 S&P500 2025E EPS 상향률 +1.8% (WoW). 정보기술(+4.2%), 에너지(+3.1%) 상향 폭이 전체 지수를 견인. 방산·원자재는 지정학 프리미엄으로 매출 추정치 상단 유지.


3. 섹터별 심층 분석

1) AI 인프라 & 반도체

엔비디아 : 모건스탠리 목표주가 206달러(↑). GPU 점유율 85%→90% 레벨업 가능.
• 단기 모멘텀 : 실적 발표 후 24h 옵션 IV +12p 반영, 주가 ±8% 포함.
• 리스크 : 美 대선·안보 관련 중국 수출 규제 재강화.
관련 테마 : AMZN-테라울프 32억 달러 백스톱, GOOGL-카이로스파워 SMR 전력 PPA → 데이터센터 전력 확보 경쟁으로 AI 인프라 스프레드 확대.

2) 소비 & 리테일

월마트 : 저가 식품·제네릭 의약품 주도 매출 레진 +4~5%.
타깃 : DEI 역풍·관세 부담 → 마진 턴어라운드 지연.
홈디포/로우스 : 고정금리 모기지 6.5% → DIY 수요 방어, 프로 고객 리노베이션 사이클 피크아웃 우려.
• 단기 체크포인트 : Same-day delivery (아마존) → DoorDash·Instacart 밸류에이션 압축, 그러나 번스타인·도이체 ‘매수’ 의견 유지.

3) 헬스케어 & GLP-1

노보 노디스크 498달러 → 가격 인하 499달러 (현금 결제 환자 대상) • 단기: 굿알엑스 +30% 급등. • 중기: GLP-1 아웃소싱 수요 증가, 리베이트 압박 완화.

4) 에너지 & 원자재

WTI 62.2달러, 브렌트 66.1달러 슈퍼메이저 LNG 확대 투자 발표(쉘·토탈·엑슨) → 천연가스 선물 3.2% 상승. 방산주(라인메탈·BAE Systems) 지정학 프리미엄 재부각.


4. 단기 시나리오 & 전략

시나리오 A – 휴전 기대 지속 & 잭슨홀 비둘기(확률 35%)

  • S&P500 4,780 선 재시도, 나스닥 AI 대장주 주도 단기 랠리.
  • VIX 12 대 재진입, 10년물 금리 4.2% 하향 안정.
  • 전략 : SOXX·AI ETF 트레일링 스탑 5% 로 추세 추종, 리테일 어닝 긍정 가이던스시 XLY 단타 매수.

시나리오 B – 협상 교착 & 잭슨홀 매파(확률 45%)

  • S&P500 4,600 ~ 4,640 지지 테스트, 나스닥 대형 기술주 3~5% 조정.
  • WTI 65달러 상향 돌파, 에너지·방산 상대강도 (RS) +10p.
  • 전략 : XLE·ITA 단기 스윙, TIPS ETF(예: TIP) 분할 매수, QQQ 풋 1개월물 델타 0.25 헤지.

시나리오 C – 평화협정 기대 붕괴 & 매파 재확인(확률 20%)

  • S&P500 4,500 이탈, 나스닥 -7% 내외 급락.
  • VIX 20 돌파, 10년물 4.45% 상승.
  • 전략 : 현금 20% 이상, GLD +5%, 방산·에너지 롤오버, 이익 실현 우선.

5. 결론 · 투자 조언

이번 주 ‘정상외교 + 잭슨홀 + 어닝 피크’가 교차하며 뉴욕증시는 방향성 확정 전 마지막 변동성 구간에 진입했다. 러–우 휴전 로드맵이 가시화되고 파월 의장이 비둘기 신호를 준다면 위쪽 (시나리오 A) 돌파가 가능하다. 반대로 협상 교착과 매파 메시지가 맞물리면 여름 랠리 피로가 누적된 기술주 중심으로 3~7% 하락이 순식간에 전개될 수 있다.

포트폴리오 제언은 다음과 같다.

  • 핵심 성장주(반도체·AI) 비중은 유지하되, 9월 FOMC 전까진 조정 시마다 분할 매수 원칙을 고수.
  • 방어·배당 섹터(헬스케어·인프라) 는 GLP-1 실적 모멘텀→ 현금흐름 방어.
  • 방산·에너지 섹터를 β 헤지 수단으로 5~7% 편입해 지정학 변수 대응.
  • 단기 헤지 : VIX 15 이하에서 1개월 만기 S&P500 ATM 풋 십일 중 3~4일 롤링.

무엇보다 이번 주 핵심은 헤드라인 노이즈에 휩쓸리지 않고, 잭슨홀 이후 가격이 방향성을 확인한 뒤 스텝업하는 것이다. 변동성은 기회이자 함정이다. 수급·심리·펀더멘털이 교차하는 현재 구간에서는 자금 관리와 리스크 포지셔닝이 수익률을 결정한다.

© 2025 경제 칼럼니스트 최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