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8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소비심리 둔화 속 ‘관세·잭슨홀’ 쌍둥이 변수

◆ 서두 요약
미국 뉴욕증시는 8월 셋째 주를 사상 최고치 재경신경계성 혼조가 교차한 채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5거래일 동안 두 차례나 장중 신고점을 찍었으나, 주 후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급락10년물 국채금리 반등이 겹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여기에 트럼프–푸틴 알래스카 회담, 8월 말 잭슨홀 심포지엄, 그리고 베트남·EU·인도 관세 협상 지연 등이 겹쳐 단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조짐이다.


1. 최근 시장 상황 정리

구분 8/16 종가 주간 변동 YTD
S&P500 6,458.12 +0.9% +10.1%
나스닥100 19,476.33 +1.3% +15.8%
다우존스 41,613.44 -0.2% +6.7%
10년물 금리 4.318% +7bp +21bp
WTI(10월물) $61.98 -1.8% -8.4%

소비심리 악화에도 불구하고 AI·주택건설주 중심의 매수세가 지수 방어.
▲ 9월 FOMC 25bp 인하 확률은 85%로 여전히 높지만, 물가·임금 불확실성으로 베팅 강도는 약화.
▲ 시스템·퀀트 펀드는 주식 비중 ‘매우 높은’ 단계(15년 백분위 71%)로 진입.


2. 이번 주(8/19~) 핵심 이슈

2-1. 잭슨홀 심포지엄 & 파월 연설

  • 8/22(목) 저녁 첫 세션 개막, 8/23(금) 11:00 ET 파월 의장 기조연설 예정.
  • 시장 관심 : ‘데이터 의존’ 문구 유지 vs. 9월 인하에 조심스러운 거리두기.
  • 점검 포인트 : 서비스 물가·임금·관세가 인플레 다시 끌어올릴지 여부.

2-2. 트럼프–젤렌스키–유럽 6개국 워싱턴 회담

  • 8/18(월) 오후 백악관 집결, ‘제5조 유사’ 집단안보 문안 초안 공개 가능성.
  • 러–우 휴전·평화협상 전개에 따라 에너지·방산주 변동성 확대.

2-3. 관세 협상 데드라인

  • EU·베트남·인도와 15% 포괄 관세 세부안 확정 시한이 8월 넷째 주로 연기.
  • 백악관–USTR–의회 간 온도 차 여전, 법원 IEEPA 판결도 9월 초 예정.

3. 경제지표·연준 시그널 종합 분석

3-1. 소비·물가·제조업 ‘엇갈린 그림’

① 7월 소매판매 +0.5%(전망 0.6) > 6월 상향(0.9)으로 실질 수요 둔화–회복 혼재.
② 7월 수입물가 +0.4%로 에너지·식품 기여, 원가압력 재점화 우려.
③ 산업생산 ‑0.1%·엠파이어 제조업 +11.9 : 제조→둔화, 지역→반등.

3-2. 인플레이션·금리 스프레드 체크

  • 10년 BEI 2.39% – 목표 범위 상단 근접.
  • 2s10s 스프레드 ‑18bp(곡선 스티프닝 중) → 침체 베팅 뒤로.
  • FedWatch : 9월 인하 85%, 10월 추가 인하 40% – 점차 완만해지는 곡선.

4. 섹터·테마별 모멘텀

4-1. AI 인프라 & 반도체

엔비디아(NVDA) 실적 발표 8/21 After-close : 중국 H20 매출 가이던스 주목. Piper Sandler 목표가 225달러(중국 비즈니스 55~65억 달러 반영).
AMD·Micron 관세 여파로 주간 변동성 ↑.

4-2. 주택건설주

PulteGroup·Lennar·D.R. Horton : 10년물 4.3%에도 주문 견조, 단기 관세 구간에서 매수세 유입. 노동시장 냉각 + 모기지금리 20bp↓ 시 랠리 추가 가능.

4-3. 헬스케어(버핏·텝퍼 효과)

버크셔·아팔루사, 2분기 UnitedHealth 대규모 매수 확인 → 다우 방어. 숏커버 주의.

4-4. 방산 & 에너지

러·우 협상, 북극 자원 개발 모멘텀. Leonardo +600%, Rheinmetall +1,500% 누적 급등 → 재료 소진 vs. 제2랠리.


5. 기술적 트리거와 단기 매매 구간

5-1. S&P500 일간 차트

  • 상단 : 6,520선(상승 채널 상단) – 잭슨홀 ‘비둘기’ 시도달 가능.
  • 하단 : 6,300선(20일선ㆍ옵션 맥시멈페인) – 소비심리·관세 쇼크 시 테스트.

5-2. 변동성 지표

VIX 11.8(연중 최저권) → 8/21~8/23 옵션 만기+잭슨홀 이벤트로 14~15 반등 예상.


6. 리스크 체크리스트

  1. IEEPA 위헌 판결 → 관세·거래 제재 공백, 시장 혼란.
  2. 잭슨홀 매파적 시그널 → 9월 인하 odds 급락, 금리·달러↑.
  3. 트럼프–젤렌스키 회담 결렬 → 에너지·방산 테마 단기 급락.
  4. 허리케인 ‘에린’ 북상 → 정제·운송 차질, WTI 단기 스파이크.

7. 포트폴리오 전략 제언

7-1. 포지션 밸런싱

  • 코어 : S&P 동일가중 ETF 60%, 헬스케어·IT 대형주 20%.
  • 전술 : VIX 콜 스프레드(9월물 14·20)·달러 약세 베팅 10%.
  • 헤지 : 10년물 선물롱·골드 콜 10% (잭슨홀 리스크 방어).

7-2. 테마형 트레이딩 아이디어

섹터 대표 티커 트리거 목표가(TP) 손절(SL)
AI 인프라 NVDA 8/21 실적 & ‘중국 가이던스’ $235 $195
주택건설 DHI 모기지금리 7%→6.8% $175 $148
헬스케어 UNH 버핏 13F 모멘텀 $640 $580

8. 결론 및 투자자 조언

단기적으로 잭슨홀 발언·관세 세부안·휴전 협상이 동시 노출되며 이벤트 리스크가 극대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실적 상향·금리 인하 기대·글로벌 유동성 삼각 축이 여전히 하방을 견고히 지지한다. ‘과도한 안전마진 확보 후 탄력적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

이번 주 시장을 흔들 두 가지 질문 ① 파월은 연준의 ‘디지털 스탠스’까지 언급할까? ② 트럼프의 ‘평화 협정’은 단순 쇼인가, 시장 재료인가?

투자자는 변동성 확대 국면을 현금 확보·핵심 우량주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하되, 옵션·선물 헤지로 단기 쇼크를 관리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 2025 Choi, Jinsik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