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두│지난밤 월가 브리핑
12일(현지 시각) 뉴욕증시는 7월 CPI 서프라이즈 부재에도 불구하고 장중 변동성을 키우며 혼조 마감했다. CPI 전년 +2.7%(컨센서스 2.8%), 코어 +3.1%(3.0%)는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수준이었지만, ▲금리 인하 기대 재점화와 ▲관세·지정학 변수가 뒤섞여 시장은 방향성을 확정짓지 못했다. 장 마감 직전에는 옵션 만기 수요, 매파·비둘기파 연준 인사 발언이 교차하며 S&P500이 -0.08%, 나스닥100이 -0.22%로 소폭 하락했다.
동일 시각,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4.27%로 3bp 하락, 달러인덱스는 0.2% 약세, WTI 유가가 관세 이슈와 원유 재고 감소 전망을 반영해 1.6% 상승했다.
■ 최근 시장 핵심 이슈 (3줄 요약)
- CPI ‘골디락스’ 결과: 0.2% m/m → FOMC 9월·10월 인하 베팅 70%대 재상승.
- 관세·정치 변수 복합: 트럼프發 관세·연준 소송 압박, 파월 의장 ‘데이터 주도’ 원칙 확인.
- 단기 실적·기술적 경계: S&P500 5,550부근 이중 천장, 7월 고점 대비 차익 실현 물량 대기.
■ 매크로・정책 분석
1) 인플레이션 트렌드
항목 | 전월비(m/m) | 전년비(y/y) | 콘센서스 |
---|---|---|---|
헤드라인 CPI | +0.2% | +2.7% | +2.8% |
근원 CPI | +0.3% | +3.1% | +3.0% |
에너지 -1.1%, 식품 0%가 헤드라인 둔화를 견인했다. 단 주거비(쉘터) 0.2%, 교통서비스 0.8%는 끈끈하다. 관세가 집중된 의류·가구는 아직 파급이 제한적이지만 10~11월부터 본격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
2) 연준 시나리오
- Base(70%) : 9월 25bp 인하, 10월 동결. ‘보험성 선제 완화’.
- Hot CPI(20%) : 9월·10월 동결, 12월 1회 인하. 관세발 2차 충격 확인 시.
- Soft CPI(10%) : 9·10·12월 3회 연속 인하. 고용·소매판매 급랭 동반 조건.
■ 뉴스 플로우 & 투자심리 체크
아래는 지난 48시간 월가 ‘헤드라인 트리거’와 AI 기반 긍·부정 스코어이다.
뉴스 키워드 | 긍정(%) | 부정(%) | 단기 파급 |
---|---|---|---|
트럼프, 파월 소송 언급 | 22 | 78 | 채권·달러 변동성 ↑ |
테슬라 로보택시 뉴욕 진출설 | 64 | 36 | 메가캡·AI 테마 모멘텀 유지 |
스티펠 ‘경기 급랭 경고’ | 30 | 70 | 밸류에이션 리프라이싱 압력 |
ETF 금·대형주 쌍끌이 자금 유입 | 68 | 32 | 리스크 헤지+빅테크 버팀목 |
■ 단기(1~5거래일) 증시 전망
1) 기술적 위치
- S&P500 5,550 쌍봉 → 5,420 20일선 → 5,340 50일선 순.
- 나스닥100 20일선乂50일선 괴리 +6%로 과열권.
- VIX 12.7p, 1개월 만기 변동성 콜 오픈이 급증(헤지 수요).
2) 파생시장 시그널
• 8/16 만기 옵션 5,400 SPX 풋 OI가 4.3만 계약으로 콜 대비 1.6배. → CPI 후 첫 지지선으로 5,400 부각.
• QQQ 3배 레버리지 ‘TQQQ’ 3일 자금 유입 +7억 달러 → 리스크온 뒷받침.
• 반대로 SOXS·NFXS 등 인버스 ETF 대규모 유출 지속 → 공매도 커버링 진행.
3) 이벤트 캘린더
- 8/13(화) PPI, NFIB, SAP·McKesson 200일선 하회 후 리바운드 여부.
- 8/14(수) 스타벅스·애브비·먼데이닷컴/치폴레 투자 지정학성 리포트 반복 노출.
- 8/15(목) 주간 실업수당·소매판매·옵션 만기 전 대형 델타 헤지.
- 8/16(금) 미시간대 소비심리, FOMC 블랙아웃 돌입.
4) 베어·불 확률 시나리오(가중평균)
시나리오 | 조건 | 확률 | S&P500 타깃 |
---|---|---|---|
Risk-On | PPI·소매 予想 부합, 연준 비둘기 멘트 | 45% | 5,550 돌파 → 5,620(전고점 리테스트) |
Range | 매크로 혼조·옵션 만기 변동성↑ | 35% | 5,420~5,500 박스 |
Risk-Off | PPI+0.4%↑, 트럼프·파월 갈등 격화 | 20% | 5,340(50일선) 테스트 |
■ 단기 섹터·테마 포지셔닝
✔️ 매수 우위
- 방어적 가치 : 유틸리티(XLU), 헬스케어(XLV). SAP·MCK 200일선 이탈 → 숏 커버 + 배당수요.
- AI 인프라 Niche : 엔비디아, 온세미·모놀리식파워 등 전력 반도체 – SOXS 유출로 숏 커버.
- 원자재 헤지 : 금·은(GLDM 등), 브라질·호주 금리 인하→실물 자산 선호.
✔️ 중립
- 소비재 : 치폴레·스타벅스 투자의견 상향으로 방어적 반등, CPI 이후 매출 데이터 확인 필요.
- 금융·보험 : 장단기 금리차 재스티프닝 기대가 Mixed, 대형 은행 배당 유입 지속.
✔️ 경계
- 경기민감 산업재 : 스피릿·트럭 OEM 등 ‘관세·노동’ 이슈 직격탄. 다임러·볼보 소송 불확실성.
- 헬스케어 중소형 바이오 : 변동성 장세에서 현금흐름 부재 종목 디스카운트 재개 감안.
■ 초단기(1~3일) 트레이딩 아이디어
- GTLB 커버드콜 : 42.5달러 11/21콜 프리미엄 9%+ 내재변동성 68% → 변동성 매도 우위.
- VST 전력유틸리티 : 피터 린치 모델 93% 고득점, 경기 둔화 방어 + 성장성 겸비.
- SAP : 200일선(239달러) 하회 후 RSI 28, 기술적 반등 노림.
- ONON : 관세 우려 완화·실적 가이던스 상향 → 35달러 지지선 트레일링 스탑.
- GLDM : CPI 발표 후 금리 인하 기대 확대 → 금 ETF 유입 추세 동승.
■ 결론 & 투자 조언
7월 CPI는 ‘충분히 따뜻한’ 결과로 단기 급락 리스크를 완화했으나, 연속 인플레이션 둔화가 전제되지 않는 한 5,550선 돌파 후 추가 랠리는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 이틀 뒤 발표될 PPI·소매판매·실업수당이 중요 2차 확인(flag confirmation) 이벤트다.
투자자들은 (1) 20일선(5,420) 첫 방어선, (2) 50일선(5,340) 절대 손절선을 설정하고 청산·헤지 시나리오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만기·복리 위험을 인식하고 초단기 트레이딩에만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포트폴리오 운영 Tip
① 현금·단기채 비중 10~15% 유지 – CPI, 관세, 선거 리스크 변동 대비.
② 프리미엄이 감소한 변동성 매도 전략(GTLB·SPX 단기 스트랭글·수익률 누적) 병행.
③ 섹터 로테이션 : 성장주 과열·방어주 저평가 간 균형 재조정.
④ 비가시성 이벤트 헤지 : 달러인덱스 콜, 금 ETF 일부 편입.
향후 1~5거래일, 시장은 ‘숨 고르기 ↔ 저가 매수’가 교차하는 Range 거래가 우세할 전망이며, 변동성 지표가 재차 15p대를 상회한다면 20일선 수성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이상, 매일경제 칼럼니스트 & 데이터 분석가 최진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