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0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인플레이션 재부상 속 단기 변동성 촉발될까

2025년 8월 10일(일) 미국 증시·거시경제 종합 진단

경제 전문 칼럼니스트·데이터 분석가 최진식


1. 서두 요약

지난주 S&P 500 지수는 6,400선 재돌파 직전(6,398p)에서 주간 2.4%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시장은 고용 쇼크(7월 NFP 하향 수정)와 통계 신뢰성 논란(BLS 국장 해임)에도 불구하고 연준 조기 인하 기대·AI설비 투자 붐·빅테크 주도 랠리를 이유로 ‘위험자산 재러브콜’을 이어갔다. 그러나 이번 주(8/12~8/16)는 CPI·PPI·소매판매 등 핵심 지표가 줄줄이 대기해 있어 1~5거래일 안에 변동성 급등(Volatility Spike) 가능성이 다시 부각된다.

핵심 포인트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인플레이션 재점화?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9월 인하 배제 → 주식·채권 동시 압박
  • 관세·휴전 외교 변수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 회담, EU 역제안 등 → 에너지·방산·원자재 변동성 확대
  • 초대형주 집중 리스크 : 시총 상위 6개 종목이 S&P 500 상승분 80% 이상 견인 → 조정 시 낙폭 심화 가능
  • 계절성 약세 : 1990년 이후 8월 평균 수익률 −0.3% → ‘Sell the Rip’ 경계 필요

2. 최근 시장 동향 세부 분석

2-1) 주가·섹터 퍼포먼스

지수 주간 수익률 YTD P/E(12M Fwd)
S&P 500 +2.4% +18.7% 22.3배
나스닥 100 +3.7% +28.1% 28.0배
러셀 2000 +1.1% +7.9% 17.4배

상위 6종목(애플·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알파벳·아마존·메타)이 지수 상승 폭의 82%를 책임졌다. 동일가중 S&P 500은 주간 +0.6%에 그쳐 집중도 리스크가 더욱 심화됐다.

2-2) 채권·환율·상품

  • 10년 만기 국채수익률 : 4.08% → 4.18%(+10bp) — 디플레이션 우려 완화 & 재정적자 확대
  • WTI : 63.88달러(보합) — 휴전 기대 vs. 관세 리스크
  • 금 12월물 : $3,463 (-0.8%) — 관세 해명 기대에 최고치 일부 반환
  • 달러인덱스 : 98.0 (-0.22%) — 금리 인하 베팅

2-3) 거시·정책 뉴스 플래시

① 노동지표 수정 충격 : 5·6월 NFP −46만 명 하향 → 연준 인하 기대↑ / 스태그플레이션 경계
② 관세 드라마 : 트럼프, 인도·중국·브릭스 수입품 고율 관세 경고 → 산업·소비자 심리 압박
③ 백악관–애플 딜 : 1,000억$ 美투자 & 관세 면제 → 애플 시총 일주일 4,000억$↑
④ 러·우크라 휴전 회담 : 알래스카 개최 예고 → 에너지·방산 테마 변동성


3. 경제 지표 칼렌더 & 컨센서스

발표일 지표 전월 컨센서스 관전 포인트
8/12(화) CPI(전년비) +3.2% +3.3% 3% 초반 유지 시 인하 베팅 연장, 3.5% 이상이면 단기 쇼크
8/12(화) CPI(근원) +3.0% +3.1%
8/14(목) PPI(전년비) -0.5% -0.4% 원가 압력이 소비자단으로 번질지 주시
8/14(목) 실업수당청구(4주평균) 233k 238k
8/15(금) 소매판매(MoM) +0.4% +0.1% 가계 소비 탄성 vs. 고금리 부담

4. 주요 뉴스 흐름과 단기 시사점

4-1) ‘알래스카 회담’ — 에너지·방산 시나리오

휴전 낙관(원유↓·방산↓)과 관세·합의 실패(원유↑·방산↑)가 동시 존재. Event Risk는 8/15 회담 전후 48시간이 최대.

4-2) 관세·백악관 정책 변수

  • 애플–백악관 : 관세 면제 → 부품주·EMS주 Short squeeze
  • 금 관세 해명 : 안전자산 트레이드 단기 조정, 금 ETF 매물 출회 가능
  • IRS 수장 해임 : 행정부의 규제·세무 집행 변동성 → 은행·PEF 주가 영향

4-3) 실적 시즌 잔여 빅 이벤트

8/21 엔비디아, 8/22 딜로이트·줌 발표. 엔비디아 가이던스 AI 광풍 연장 or 피크아웃 분수령.


5. 기술적 레이더(1~5일)

지수별 피봇(현선물 기준)

저항 R2 저항 R1 현물 지지 S1 지지 S2
S&P 500 6445 6400 6398 6310 6255
나스닥 100 19430 19220 19185 18750 18500
러셀 2000 2255 2230 2222 2175 2150

MACD·RSI(14) 모두 과열권이지만, 빅테크 집중 매수가 계속되는 한 강세 캔들 지속 확률 높다. 다만 6255(S&P 선물) 종가 이탈 시 단기 조정(-3~-5%) 경계.


6. 1~5일 단기 전략 제언

6-1) 주식

  • 지수 트레이딩 : CPI 직전 롱 60%·캐시 40%. CPI가 3.4% ≤일 때 롱 20% 축소.
  • 섹터 초점 : 경험상 소프트랜딩>리세션 기대가 우세하면 → 산업(IT Hardware)·에너지(휴전 불발 대비 헤지) 복합 노출.
  • 주도주 리밸런싱 : 애플·엔비디아 수익 일부 헬스케어 대형주(J&J, 머크)로 회전, 시총 집중 완화.

6-2) 파생·옵션

VIX 12p대 콜 스프레드(8/28 만기 15–20C) 스윙 노려볼 만. CPI + 알래스카 이벤트 → 15~18p spike 확률↑.

6-3) 채권·FX·원자재

  • 10년 금리 4.2% 돌파 시 단기 쇼트 커버링 경계.
  • WTI 61~64달러 구간 하단 매수·상단 차익, 회담 결과 따라 58·68 달러 폭 뚫을 가능성.
  • 금 : 조정 시 $3,420 1차 매수, $3,550 돌파 후 당일 고점 위 추격금지.

7. 결론 및 투자 조언

이번 주는 거시(인플레이션) × 정책(관세·휴전) × 기술적 과열의 삼중 분기점이다. S&P 500이 사상 최고치를 넘어선다면 FOMO(기회상실 공포) 매수가 지수 하방 경직성을 높이겠지만, 빅테크 실적·가이던스가 추가로 둔화하면 지수 레벨다운 원투펀치(밸류에이션·실적)가 언제든 표면화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구성 제언(비중 %)

  • 대형 성장주 40 — FANG+ : 절대 수익(Alpha) 유지
  • 방어주(헬스케어·필수소비) 20 — 상대가치 믹스
  • 에너지·산업 15 — 휴전 불발·재정투자 대비
  • 채권(3~5년 국채·기업채) 15 — 금리 피크→인하 헤지
  • 현금·단기MMF 10 — Event Risk 대응

마지막으로 “과열장에서는 포모보다 포쇼어(FoSure) — 확실성 중심이 낫다”는 오래된 시장 격언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 2025 최진식.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