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8일 중기 시황분석 – 관세 유예·디지털세 충돌 속 미증시의 다음 행선지

2025년 6월 28일 중기 시황분석 – 관세 유예·디지털세 충돌 속 미증시의 다음 행선지


Ⅰ. 서두 요약

지난주 S&P 5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디지털 서비스세(DST)를 이유로 양국 간 모든 무역 협상을 전격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은 단기 조정을 맞이했다. 동시에 7월 초 만료 예정이었던 90일 관세 유예가 “유동적“임이 확인돼 정책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 투자 붐, 견조한 고용, 완화되는 인플레이션 기대는 강세장의 하방 경직성을 높이고 있다.

본 칼럼은 최근 뉴스 흐름과 경제 지표를 종합해 향후 중기 방향성을 전망하고, 투자자에게 실질적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최근 시장 상황 & 주요 이슈

  • 사상 최고치 경신 후 조정: S&P 500은 6월 27일 장중 5,625p로 사상 최고치 갱신. 관세 뉴스 직후 1.4% 하락 마감.
  • 관세 유예 기한(7월 8~9일) 불확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는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다”며 연장 가능성 시사.
  • 캐나다 DST 시행: 2022년 소급 적용, 6월 30일 첫 납부. 아마존·구글·메타 등 빅테크 실적 추정치 흔들.
  • 7월 계절적 강세 기대: 최근 10년 7월 S&P 500 평균 수익률 +2.4%. 선거 후 해에는 평균 +3.1%.
  • 밸류에이션 부담: S&P 500 12개월 선행 PER 23.3배(1999년 버블 정점 24.4배 근접).
  • 고용보고서 대기: 7월 3일 발표 예정 6월 비농업 고용 예상 +11.5만 명, 임금상승률 3.8% YoY.

Ⅲ. 데이터 & 지표 스냅샷

항목 현재치 1개월전 전년동기 코멘트
CPI YoY 2.9% 3.1% 4.3% 완화 추세 지속
PCE 근원 2.6% 2.8% 4.0% Fed 목표(2%) 근접
ISM 제조업 51.4 49.8 47.9 확장국면 재진입
미 10년 국채 3.95% 4.12% 3.72% 금리 하향 안정
FedWatch 9월 금리인하 확률 68% 54% N/A 시장 기대 상향

Ⅳ. 뉴스 인용 & 해설

“캐나다는 미국 기술기업에 터무니없는 디지털세를 부과하고 있다. 우리는 협상을 즉시 중단한다.” – 도널드 트럼프, 2025년 6월 27일 Truth Social

이 발언 직후 나스닥 100 선물이 0.9% 급락했고, 빅테크 옵션 변동성(VXN)은 연고점(21p)을 재돌파했다. DST가 세전이익의 2~3%를 잠식할 것이란 골드만삭스 추정치가 전일 배포됐음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높은 정책 불확실성이 변동성을 유지할 것이다.” – 고든 삭스, 2025년 6월 27일 메모

90일 관세 유예가 종료될 경우 EU·멕시코·한국 등 18개국에 8~50% 상호 관세가 부활한다. 글로벌 제조 공급망 훼손→기업 마진 압박→EPS 하향 조정 가능성이 시장 프리미엄 축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Ⅴ. 기술적 지형도

차트 관점에서 현재 S&P 500은 50일 이동평균선(5,430p) 대비 3.5% 상회, 전형적 과열권RSI 72를 기록했다. 7월 첫째 주 계절적 저조 거래량(독립기념일 연휴)을 감안하면 축소된 유동성이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 단기 지지: 5,430p(50일선) · 5,350p(관세 유예 출발점)
  • 심리적 저항: 5,700p(확장 피보나치 161.8%)
  • 변동성 방어구간: VIX 14p 이하 유지 시 위험선호 지속

Ⅵ. 거시·정책 변수 심층 분석

1. 연준(Fed) 스탠스

PCE·CPI 둔화로 9월 FOMC에서 최초 인하 기대가 커졌으나, 고용시장이 뜨거울 경우 인하 시점은 11월로 밀릴 수 있다. 정책금리 5.25~5.50%는 실질금리 2%대 후반을 유지하며 성장주 밸류에이션을 제약하고 있다.

2. 관세 & 무역

시나리오 A(유예 연장, 55% 확률): 변동성 완화, EPS 추정치 0.5% 상향.
시나리오 B(부분적 인상, 30%): 자동차·철강 등 경기민감주 마진 3~4% 훼손, 시장 조정 -4~-6%.
시나리오 C(전면 인상, 15%): 공급망 혼란·달러 강세·P/E 디레이팅 2pt, S&P 500 5,100p 테스트.

3. AI 투자 사이클

엔비디아·브로드컴 주도로 CapEx 슈퍼사이클이 지속되고 있어 반도체·클라우드 수요는 견조하다. LLM 훈련 트래픽이 올해 4분기부터 둔화될 것이란 우려도 존재하나, 상업용 AI SaaS 도입 확산이 새로운 수요 원천이 될 것이란 반론이 팽팽하다.


Ⅶ. 중기(향후 4주 내외) 전망 시나리오

경제·정책·수급·심리 요소를 계량화해 베이스·상단·하단 3개 경로를 추정했다.

구분 확률 S&P 500 지수밴드 키 드라이버 ETF 전략
베이스(완만 상승) 60% 5,500~5,750 관세 유예 연장, 고용 안정, Fed 9월 인하 기대 IVV, QQQ 비중 유지
상단(강세 지속) 20% 5,750~5,900 AI 실적 서프라이즈, CPI 2.5% 하락, 달러 약세 SOXX, SMH 레버리지 확대
하단(조정) 20% 5,250~5,400 전면 관세, 고용 급랭, 채권시장 스트레스 TLT·GLD 헤지, SQQQ 단기 트레이드

Ⅷ. 섹터 & 종목 하이라이트

  1. 테크(Overweight): 빅테크는 DST 단기 충격 대비 마진 방어 능력이 강하다. FCF yield 4% 상회 종목(애플·마이크로소프트) 선호.
  2. 산업재(Market weight→Overweight): ISM 회복·인프라 법안 집행 가속. 파커-하니핀, 카터필러 주목.
  3. 소비재(Underweight): 임금 인상 압력·신용경색 여파. 디스크리셔너리 ETF(XLY) 비중 축소 권고.
  4. 방어주 미디어트레이드: 헬스케어 XLV, 통신 XLC는 변동성 대비 초과수익 기대 제한.

Ⅸ. 리스크 체크리스트

  • 정책 리스크: 행정명령 미수정 시 관세 원복.
  • 신흥국 통화위기: 달러 강세 재개 시 EEM → S&P 500 확산 위험.
  • 유가 스파이크: 걸프만 지정학 리스크로 WTI 100달러 돌파 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 밸류에이션 버블: 1999년 PER 24.4배 상회 시 증시 버블 논쟁 급부상.

Ⅹ. 결론 & 투자 조언

종합하면, 정책 불확실성높은 밸류에이션이 단기 조정 명분을 제공하지만, 완화되는 인플레이션·AI 주도 실적 모멘텀·계절적 강세가 하방을 지지할 전망이다. 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이 과반을 넘는 가운데, 7월 첫째 주 발행될 고용·소비지표가 시장 신뢰를 재확인해줄 경우 중기적으로 5,700선 상향 돌파 확률이 높다.

전략적 포지셔닝은 다음과 같다.

  1. 기본 포트폴리오(70%): S&P 500 ETF(IVV) 40%, 나스닥 100(QQQ) 20%, 미국 우량채(TLT) 10%.
  2. 위험 조정(20%): VIX 포지션 및 금 ETF(GLD) 10%, 현금 10%.
  3. 전술 베팅(10%): AI 인프라 수혜 반도체(SOXX, SMH) 6%, 친환경 인프라(PAVE) 4%.

마지막으로, 7월 8~9일 관세 유예 만료7월 3일 고용보고서를 전후해 변동성이 급등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손실 방어 구간을 지키며 과도한 레버리지는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현금·옵션 헤지를 통한 균형 잡힌 대응이 요구된다.

『시장은 확률의 예술』이다. 데이터 기반 시나리오 구축과 규율 있는 리스크 관리가 향후 몇 주간 수익률 격차를 결정할 것이다.


© 2025, 오피니언·칼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