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일 중기 시황분석 – 빅테크 이후 ‘AI 설비투자 대격전’이 남긴 것

■ 서론: 10월을 정리하며, 11월 중기 흐름을 읽다

10월 마지막 거래주간이 막을 내렸다. S&P500 지수는 월간 기준 2.2% 하락했고, 나스닥100 지수는 3.1% 하락했다. 빅테크 어닝 시즌이 투자심리를 좌우한 한 달이었다. 10월 마지막 주에만 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메타·아마존이 실적을 발표했고, 장단기국채 금리가 동시에 출렁이며 금리·AI·실적 세 축이 얽혀 전형적인 ‘불확실성 프리미엄’을 형성했다.


Ⅰ. 거시 환경 리뷰

1) 국채·금리 동향

  • 미 10년물 수익률: 10월 고점 5.02% → 월말 4.08% (▲20bp 변동)
  • 미 2년물 수익률: 5.15% → 4.92% (▲23bp 변동)
  • 연준 FOMC(10/30): 3.75~4.00%로 25bp 인하, 파월 의장 “12월은 백지(white paper)”

장단기 스프레드는 -84bp에서 -84bp로 큰 변동이 없었지만, 단기물 상승폭이 더 적어 ‘기술적 스티프닝’이 나타났다. 이는 중기 내 장기금리 재상승 가능성단기금리 추가 인하 베팅 축소가 동시에 반영됐다는 뜻이다.

2) 달러·외환시장

달러지수는 10월 고점 108.1에서 106.3으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200일 이동평균선(103.8) 위에 머문다. 캔자스시티·댈러스 연은 총재 등 매파 연준 위원이 “인하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달러 숏 포지션을 제한한다.

주목

3) 원자재·에너지

자산 10월 고점 월말 월간 등락
WTI(12월물) $89.7 $80.6 -10.1%
Gold(12월물) $4,063 $4,018 -1.1%
코코아(ICE) $6,230 $6,015 -3.4%

오일은 OPEC+ 감산 연장에도 미국 하루 1,300만 배럴 생산과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로 압박받았다. 금은 달러·금리 동반 약세에 숨 고르기 국면이다.


Ⅱ. 섹터·실적 리뷰

1) 빅테크 실적 총평

표 1 — 빅테크 3분기 핵심 지표

기업 매출 YoY EPS 서프라이즈 CapEx 가이던스 주가(10월 변동)
MSFT +13% +11% FY26 +45% -3%
GOOGL +11% +8% $91–93B ↑ -2%
META +23% +19% $70–72B ↑ -10%
AMZN +13% +24% $125B ↑ +17%

메시지: 매출·EPS는 대체로 ‘비트 앤드 레이즈’, 그러나 CapEx 상향 = 비용 우려로 주가 반응이 엇갈렸다.

2) 에너지·산업재

셰브론, 엑슨모빌 모두 EPS 컨센서스 상회. 다만 유가 하락, 정제 마진 축소로 순이익 YoY 감소. 투자 포인트는 LNG·가이아나 심해 유전·퍼미언 분지 퍼블리셔저원가 생산 자산 보유력이다.

주목

Ⅲ. 기술적 지표와 수급

1) S&P500 기술차트

S&P500 차트

  • 200일선(4,180p) 하향 돌파 후 재돌파 시도 중
  • MACD, RSI 모두 ‘과매도 해소·중립권’
  • 옵션 스큐(skew)는 0.4 → 0.2로 하락, 풋 헤지 감소

2) 시장 베타·섹터 강도

10월 말 5거래일 관찰 결과, 저베타(β<0.8) 슈퍼마켓·헬스케어가 S&P 대비 +2.4% 아웃퍼폼했고, 하이베타(β>1.3) 반도체·자동차가 -3.8% 언더퍼폼. 푸드·스테이플 방어주로 자금이 피신한 모습이다.


Ⅳ. 11월~12월 중기(2~4주) 시나리오

시나리오 A — ‘완화적 착시’ 반등 (확률 45%)

  1. 11월 첫째 주 ISM·고용지표가 ‘숨 고르기’ 수준 → 연준 매파 고립
  2. 장기금리 4.0% 재차 하회, 달러 약세 전환
  3. 하이베타 성장주 단기 숏커버 → 나스닥100 15,000p 재돌파
  4. 전술 제언: SOXX·ARKK·QQQ 단기 트레이딩 롱, 랠리 시 12월 콜스프레드 이익실현

시나리오 B — ‘금리 재상승’ 조정 지속 (확률 35%)

  1. 10월 CPI(11/14) 근원 +0.4% 이상 → 10년물 4.3% 재상승
  2. 달러지수 107 재돌파 → 원자재·신흥국 리스크 확대
  3. S&P500 4,050p 2차 테스트, VIX 22 연중 고점 근접
  4. 전술 제언: HYG·LQD 풋옵션·금 ETF(IAU) 분할 매수, 나스닥 인버스(NASDAQ SQQQ) 헷지

시나리오 C — ‘연착륙 확인’ 상단 돌파 (확률 20%)

  1. 11월 FOMC 의사록(11/21)에서 위원 다수가 “추가 인하 논의”
  2. 12월 미국 정부 셧다운 타결, CapEx 랠리 재가동
  3. S&P500 4,400p·나스닥100 15,400p 연중 고점 갱신
  4. 전술 제언: FANG+ ETN, 클라우드·사이버보안(FTNT, CRWD) 비중확대

Ⅴ. 데이터·뉴스 근거 분석

1) 연준·경제지표

시카고 PMI 43.8 > 예상 42.3 → 제조 경착륙 우려 완화. 다만 50 하회 지속은 기업 투자 둔화를 의미한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셧다운 여파로 왜곡 가능성이 커져 통계 신뢰도 낮아진다.

2) AI 설비투자 vs. 실물경제

빅테크 4사의 2025년 CapEx 상향분만 240억 달러다. GDP 대비 비중은 0.1%P. 컴퓨터·전자 부문 설비투자 증가율은 4분기 25%→1분기 18%→2분기 6%→3분기 반등 9% 예상. 이는 비제조 고정투자 사이클이 이미 바닥을 통과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옵션·파생 시그널

하이일드 CDX 스프레드: 480bp → 505bp (10월 고점) → 493bp (월말). 풋·콜 볼(BXY 스프레드)은 3.2→2.5로 좁혀 ‘공포 과매수’가 완화됐다.


Ⅵ. 전략 로드맵

1) 포트폴리오 배분 예시

자산군 비중(기존) 비중(제안) 변경 사유
S&P 대형주 40% 35% 변동성·경로 리스크
나스닥 성장주 15% 20% 단기 반등 포지셔닝
배당 방어주 15% 15% 인컴 유지
국채 ETF 20% 20% 금리 피크아웃 대기
금·원자재 5% 5% 지정학 헤지
현금 5% 5% 기회대기

2) 섹터·테마 톱픽

  • AI 인프라 : NVDA, AVGO, ANET → 11월 re:Invent·SC23(슈퍼컴퓨팅) 앞두고 모멘텀
  • 재생에너지·전력 : FSLR, NEE → 유가 하락·정책 모멘텀 병행
  • 대형은행 : JPM, BAC → 장단기 스프레드 완만한 스티프닝 시 로아액 확대

Ⅶ. 리스크 체크리스트

  1. 12월 FOMC 추가 인하 불발 시 ‘금리 재가격’ 쇼크
  2. 정부 셧다운 장기화 → 실업률·소비 급락 리스크
  3. 중동·우크라이나 지정학 확전 → 브렌트 95달러 재상승
  4. AI 투자과잉 경고 → 빅테크 CapEx 가이던스 하향
  5. 달러 인덱스 108 돌파 시 신흥국·원자재 매도 압력

Ⅷ. 결론 및 투자 조언

현재 미국 증시는 1) 금리 피크아웃 기대 vs. 2) 경기·실적 둔화·CapEx 부담이 맞서는 혼조 국면이다. 중기(향후 약 한 달) 관점에서 ‘불확실성 완화 랠리’ 가능성이 45%로 가장 높지만, 연준·정부 셧다운·지정학 변수로 경로 리스크가 크다.

따라서 1) 단기 반등에는 트레이딩 관점의 콜스프레드·선물 미니롱, 2) 하락 변동성 재확대 시를 대비해 풋 헤지를 동시에 운용하는 ‘양날 포지셔닝’을 권장한다. 특히 빅테크 AI 설비투자 사이클은 종목별 체력 차이가 분명해, CapEx 대비 현금흐름 비율·영업이익률 추이를 철저히 따져 옥석을 가려야 한다.

본 칼럼은 특정 종목·상품 매매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며,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 오피니언이다. 투자 결정과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음을 명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