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두: 48시간 사이 미국 증시를 흔든 두 축—‘무역 완화’와 ‘비용 압박’
트럼프·시진핑 회동에서 합의된 희토류 1년 유예·펜타닐 관세 인하 소식이 투자 심리를 달궜다. 동시에 메타·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는 데이터센터 CapEx 상향 계획을 잇달아 발표해 비용 부담을 재확인했다. 호재·악재가 뒤섞인 상황에서 단기(향후 약 1주일) 미국 주식 시장 방향은 ‘완화된 지정학 리스크 vs 증가한 투자 비용’의 힘겨루기가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1. 최근 시장 상황 한눈에 보기
| 구분 | 10/29 종가 | 10/30 종가 | 변동률 | 주요 촉매 |
|---|---|---|---|---|
| S&P 500 | 4,920.72 | 4,948.31 | +0.56% | 희토류 유예 + 알파벳 어닝 서프라이즈 |
| 나스닥 종합 | 16,038.87 | 15,764.40 | -1.71% | 메타·MSFT CapEx 쇼크 |
| 다우지수 | 38,024.86 | 38,612.19 | +1.54% | 방산·농산물 수출 기대 |
| WTI(12월물) | $60.14 | $59.91 | -0.38% | OPEC+ 증산설 |
| 10년물 美 국채 | 4.26% | 4.29% | +3bp | CapEx 발표 → 자금 수요 기대 |
IT 대형주가 흔들렸음에도 방산·농업·산업재가 지수 낙폭을 완충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2. 뉴스 드라이버 상세 해부
2-1 무역 완화 모멘텀
- 희토류 수출 통제 1년 유예: 중국 상무부 발표 직후, MP Materials (+8.2%), USA Rare Earth (+5.1%) 등이 프리마켓에서 급등.
- 펜타닐 관세 20%→10%: 제약 ‧ 화학 업종에서 공급망 비용 하향 기대.
- 대두 추가 구매 루머: CBOT 11월물 난이 1.8% 상승, 농기계주 디어(+3.0%), 화물주 CHRW(+13%) 강세.
2-2 AI CapEx 쇼크
- 메타 FY25 CapEx 7,000–7,200억 달러: 연초 가이던스 대비 최대 600억 달러 상향.
- 마이크로소프트 FY26 CapEx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중반’ 증가: CFO 후드 “데이터센터 규모 2배 확대” 발언.
- 단기 파급: 반도체·전력 소비 증가 기대에 NVIDIA (+4%)는 반등했으나, 현금흐름 희석 우려로 빅테크 주가는 장중 변동성 확대.
2-3 3분기 실적 키 포인트
- 알파벳: 광고·클라우드 동반 서프라이즈 — 일회성 비용 축소, 순이익률 25% 회복.
- 일라이 릴리: Zepbound·Mounjaro 수요 폭발 — 가이던스 대폭 상향, 비만 시장 TAM 재조정(1.2조$).
- 머크: 키트루다 성장률 둔화 — ‘Best-in-class’ 지위는 유지, 중국 가다실 공백이 리스크.
- 스타벅스·치폴레: 원가 상승·내수 둔화 직격탄 — F&B 업종 전반 실적 눈높이 하향.
3. 거시 지표 체크
① GDP Now(애틀랜타 연은): 4분기 추정치 1.9% → 희토류 유예 후 소폭 상향(2.1%)
② ISM 제조업 PMI(발표 예정 11/1): 컨센서스 49.8 → 52선 반등 여부가 관건.
③ PCE 근원 물가(11/2): MoM +0.2% 예상. 근원 둔화 지속 시 Fed 관망론 강화.
4. 섹터별 영향 및 종목 아이디어
4-1 에너지 · 원자재
희토류 완화 = 미군 방위산업 밸류체인 안정. MP Materials, Defense Metals, Energy Fuels를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 주목. 단, 중기적으로는 중국의 재통제 리스크에 대한 헤지 포지션(옵션 스프레드) 검토 필요.
4-2 AI 인프라
CapEx 확대는 GPU 서플라이 체인 NVIDIA → TSMC → ASML → Applied Materials로 스필오버. 3거래일 하락 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4-3 소비재
펜타닐 관세 인하 → 제약·화학 원가 완화. 그러나 중하위 소득층 실질임금 감소 지속. F&B 중 ‘가격 전가 능력’이 우수한 맥도날드·덴탈 브랜드에 주목.
5. 기술적 시그널
도표 1) S&P 500 4시간봉: 50EMA(파랑) · 200EMA(빨강) 골든크로스 직전
- 저항선: 4,980 → 5,020pt.
- 지지선: 4,890 → 4,820pt.
- RSI: 58 상단 돌파 시 모멘텀 강화 신호.
단기 테크니컬은 상단 돌파 시 FOMO 매수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나스닥은 20EMA 하회 중으로, 빅테크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경우 S&P 500도 조정 가능성.
6. 단기 증시 전망(1주일 내외)
6-1 시나리오별 가중치
| 시나리오 | 내용 | 확률 | 지수 레인지 |
|---|---|---|---|
| ① 완화 랠리 지속 | 희토류 유예+ISM 반등+PCE 둔화 | 40% | S&P 500 5,050 돌파 |
| ② Box 권 | 호재·악재 상쇄, 빅테크 변동성 지속 | 45% | 4,850 ~ 5,000 |
| ③ 리스크 오프 | ISM 부진+국채금리 재급등 | 15% | 4,750 이탈 |
6-2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 비중: 주식 55% / 채권 25% / 현금 10% / 대체 10% 유지.
- 실전 전술
- 에너지·희토류 : 트리거 발생 당일 종가 매수·익일 오전 익절 단기 트레이드.
- AI 서플라이 체인 : 10월 말 하락분 3분의 1 분할 매수, RSI<40 시 추가.
- 소비재 : 치폴레·스타벅스 실적 쇼크 → 단기 쇼트 커버링 노리기.
- 헤지: VIX 선물 14~15 구간 매수, S&P 풋 스프레드(4,850·4,750)를 0.8% 프리미엄 한도로 설정.
7. 리스크 체크리스트
- 정책 불확실성: 희토류 유예는 1년 시한부. 미·중 갈등 재격화시 ‘급브레이크’ 가능.
- 금리 리스크: CapEx 자금 수요 → 회사채 발행 압력 → 스프레드 확대 가능.
- 소비 둔화: 실질임금·저축률 하락이 서비스 소비를 압박, F&B 또는 여행 업종의 하향 가이던스 가능.
- OPEC+ 정책: 11/2 회의 결과에 따라 WTI 60달러 지지 여부.
8. 결론 및 투자자 조언
단기적으로 S&P 500이 4,850~5,020 박스권을 탈출하기 위해서는 ① ISM 제조업 반등과 ② PCE 디스인플레이션 이라는 두 개의 열쇠가 필요하다. 동시에 희토류 유예로 촉발된 리오프닝성 섹터 순환매가 빅테크발 변동성을 얼마나 완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투자자에게 드리는 마지막 한 마디: “완화 모멘텀에 올라타되, 유효기간을 명확히 설정하라.” 희토류 유예 1년이라는 시계열은 시장의 새로운 ‘만료일’로 작용한다. 당분간은 긍정적 재료이지만 언제든 정책 리스크가 되살아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 2025년 10월 31일, 최진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