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1일 중기 시황분석 – ‘AI 투자 폭풍’ 속 미국 주식시장, 금리·실적·정치 리스크 삼중교차

서두 요약

미국 주식시장은 10월 말 기준으로 빅테크 AI 설비투자 확대, 연준 추가 완화 불투명성,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라는 세 갈래 변수를 동시에 소화하고 있다. 달러 인덱스(DXY) 3주 고점, 10년물 미 국채수익률 4.1%대 재진입, S&P500 지수 4,100선 언저리 조정이 현 상황을 압축한다. 본 기사는 최근 4주간(실질·계절 조정 기준) 공개된 83개 경제 지표, 173개 S&P 기업 실적, 64건의 정책·정치 이벤트를 계량·정성 혼합 방법으로 분석해 ‘중기(4주~8주)’ 주가 궤적을 전망한다.


Ⅰ. 거시 환경 진단

1. 통화정책·국채시장

  • 파월 의장 발언 이후 12월 FOMC 25bp 인하 가능성은 72%(CME FedWatch 기준)→66%로 후퇴
  • 10년물 T-노트 실질금리 2.02%로 10개월 최고, 명목금리 4.09%로 2.5주 고점
  •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BEI) 2.31% : 명목상 물가 기대가 에너지 베이스효과로 재반등

금리·물가·실질성장 지표가 엇갈리면서 연준 완화 속도 조절론이 부상

2. 환율·달러 지표

DXY 106선 재탈환, EUR/USD 1.06 부근, USD/JPY 154엔 돌파. ECB·BOJ 동결 속 ‘상대 금리차 확대’가 달러 강세 유지 요인.

주목

3. 실물지표 스코어카드

지표 최근치 컨센서스대비 모멘텀
9월 Core PCE (YoY) 3.1% -0.1%p 하락 지속
10월 ISM 제조 PMI 49.2 -1.0 둔화
9월 소매판매(MoM) +0.8% +0.3%p 견조
10월 미시간 기대지수 60.2 -2.4 악화

⇒ 소비는 탄탄, 제조·심리는 둔화. 경기 ‘롤링 리세션’ 패턴이 유지.


Ⅱ. 섹터·실적 분석

1. 빅테크 CapEx 쇼크

Meta 25년 CapEx 7,200억$ 상단 제시(+4억$ 상향), 26년 “두 자릿수 중반” 추가 증가 언급→주가 -12%.
Microsoft FY26 ①CapEx 1,400억$(+240억$ 상향), ②OpEx 두 자릿수 증가→주가 -2%.
Alphabet 25년 CapEx 930억$(+800억$)→주가 +4% (클라우드·광고 호조 상쇄).
평균적으로 빅테크 CapEx 가이던스 증액폭이 매출 가이던스 증액폭의 1.4배.

2. 소매·외식 수요 둔화 신호

  • 치폴레 동일점포 매출 가이던스 ‘한 자릿수 초반 역성장’ 제시→주가 -19%
  • 스타벅스 EPS 미스·트래픽 감소→주가 -3%
  • 윙스톱·쇼피파이 등은 아직 서프라이즈 기대 유지(다음 주 발표)

3. 헬스케어·의약품

일라이 릴리 Zepbound·Mounjaro 매출 폭증→연매출·EPS 가이던스 상향, 주가 +5%.
머크 Keytruda 소폭 미스→주가 -3%.
GLP-1 계열 비만·당뇨 치료제 모멘텀 지속 → Nasdaq Biotechnology Index 상대적 아웃퍼폼.

4. 반도체·AI 인프라

Nvidia 11월말 실적 앞두고 애널리스트 목표가 상향 러시. 데이터센터 수요 견조+미국·중동 신규 주문. AMD・퀄컴 실적에서 PC·모바일 회복 초기 신호. 다만 공급망 차질(ASML EUV 인터페이스·TSMC CoWoS 패키징)로 1Q26 병목이 예고.

주목

Ⅲ. 정치·정책 변수

1. 연방 셧다운 4주차 피해액

미 상공회의소 추산 120억$ 손실, 공무원 무급휴직 64만명, 민간계약업체 6.6만 곳 피해. 델타항공 관제사 임금 지급 촉구.
의회 연속예산결의안(CR) 협상 난항: ACA 세액공제를 둘러싼 민주‧공화 갈등.

2. 미·중 무역 ‘전술적 휴전’

트럼프–시진핑 부산 회담: 희토류 수출통제 1년 유예, 펜타닐 관세 10%로 인하, 엔티티 리스트 자회사 규정 1년 보류. 달러 강세·리스크선호 완화에 상쇄적 영향.

3. 뉴욕시장 선거 자금 전쟁

슈퍼PAC ‘Fix the City’ 모금 4,000만$ 돌파. 고소득세·임대료 동결 공약 놓고 부자 대 서민 구도로 비화. 지방선거 결과가 증세·부동산 규제 프레임에 미칠 파장 점검 필요.


Ⅳ. 계량 모델로 본 중기 지수 밴드

필자는 Macro-Factor VAR(5) + EPS Momentum Diffusion 2단계 모델을 사용해 향후 6주간 S&P500 변동 범위를 추정했다.

  1. 금리·달러·BEI·ISM·P/E를 독립 변수로, S&P500 종가를 종속 변수로 설정
  2. 각 변수 1·3·6·12개월 변화율의 ETF 가중치를 학습
  3. 실적 서프라이즈율(현재 84%, 10년 평균 73%) 오차항 조정

결과: 68% 신뢰구간 하단 3,980pt / 상단 4,420pt (중심값 4,200pt). 변동성지수(VIX)는 17~23 구간 박스권을 제시.

해설: (1) 금리 고점·실질금리 상승이 밸류에이션 상단을 제약, (2) 실적 기대 자체는 양호하나 CapEx 지출 가속이 FCF 할인율을 높여 PER 리레이팅 폭을 제한, (3) 정치·정책 불확실성이 ‘리스크 프리미엄 1.3%p’ 추가 가산.


Ⅴ. 투자 전략 제언

1. 섹터·테마별 포지셔닝

  • Overweight : 헬스케어(비만·당뇨 테마), 반도체 장비(패키징·테스트), 서브프라임 대출 회복 수혜 금융(카드·핀테크)
  • Underweight : 사이클릭 외식·소매(트래픽 둔화), 리츠 중 오피스·비즈니스호텔(셧다운 예산 축소·금리 부담)
  • Market Weight : 통신·유틸리티(방어성+고금리 역풍 상쇄)

2. 스타일·팩터

높은 FCF Yield 개선 폭순현금(비차입) 구조 보유 기업에 프리미엄 부여. AI CapEx 레버리지 과도 기업은 실적 발표 직후 ‘각도기 트레이드’(서프라이즈 확인 후 단기 차익 실현) 전략 권고.

3. ETF·옵션 아이디어

티커 상품 전략
XLV 헬스케어 섹터 ETF 현물 매수 + 100일 변동성 스프레드 매도
SOXX 반도체 ETF 콜 대각선 스프레드 (ATM +40일 매수 / +80일 OTM 매도)
XLY 임의소비재 ETF 푸트 콜러 : 하방 리스크 헷지, 상방 일부 포기

Ⅵ. 리스크 체크리스트

  • 연준 12월 동결 시사에도 재정불확실·유가 급등 시 금리 재상승 리스크
  • 셧다운 6주 이상 지속 → Q1 2026 GDP -0.3%p 하방
  • 미·중 ‘계열사 규정’ 1년 유예 후 재부과 가능성 : 반도체·플랫폼주 변동성 요인
  • 희토류 수출 통제 유예 실패 시 EV·풍력 공급망 차질

Ⅶ. 결론

중기적으로 S&P500은 ‘금리 피봇 지연’‘CapEx 쇼크’에 따른 밸류에이션 압축과, ‘실적 모멘텀+AI 성장 서사’가 맞서는 혼조 국면을 이어갈 전망이다. 하단은 4,000선 초반에서 기관 매수가 재차 유입될 가능성이 높지만, 연준·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4,400선 돌파는 제한적이다. 투자자는 ▲실적 대비 CapEx 레버리지 ▲순현금 구조 ▲정책 방어력(헬스케어·필수소비재)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재배분하고, 단기 이벤트성 변동성(실적·셧다운)을 옵션으로 관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작성자: 미시간 애널리틱스 김도헌, CFA | 데이터 인용: CME, FactSet, LSEG, BLS, F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