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두 : 최근 시장 상황 일별 브리핑
10월 마지막 주 미국 증시는 “호실적 랠리와 비용 공포”라는 정반대 뉴스가 뒤엉키며 하루 1% 내외의 널뛰기 장세를 반복했다. 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메타·엔비디아 등 빅테크가 일제히 ‘어닝 서프라이즈’를 내놓았음에도, AI 인프라 투자를 위한 CapEx 상향이 단기 매도압력으로 작용했다. 동시에 트럼프–시진핑 회담에서 희토류 수출 통제 1년 유예가 합의되자, 관련 소재·방산주는 급등 랠리를 연출했다.
- 다우지수 주간 +1.1%, S&P500 +0.9%, 나스닥 +0.7%
- 10년물 美 국채수익률 4.65%→4.72% (AI 투자 부담→채권 매도)
- WTI 유가 82달러 유지, 달러인덱스 105선 공고
■ 핵심 이슈 ① AI 슈퍼사이클 : ‘투자 공포 vs 성장 체감’
CapEx 쇼크라는 헤드라인만 보면 시장은 비관적이다. 그러나 숫자를 뜯어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 기업 | FY25 CapEx | FY26 가이던스 | CapEx/매출 비중 | AI 백로그(잔여 수행의무) |
|---|---|---|---|---|
| 마이크로소프트 | $113B | ‘가속될 것’ | 22% | $310B |
| 알파벳 | $92B | $91–93B | 18% | $155B |
| 메타 | $70–72B | FY26 ‘두 자릿수 중반 증가’ | 25% | 비공개 |
즉, AI 주문잔고가 CapEx 증가 속도를 앞선다. 이는 2026~2027년 수익 현실화 가능성을 높여 중기 시계(2~4주 이상)에서는 오히려 견고한 밑받침이 될 수 있다.
중기 시그널 : ① RPO‧Bookings 성장률이 둔화되지 않는 한 빅테크 주가 하방은 제한적이다. ② GPU 공급 병목이 완화되는 1분기부터 AI 서버 매출 인식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 핵심 이슈 ② 희토류 휴전 : 소재·방산 섹터의 ‘숨 고르기 반등’
중국이 추가 희토류 수출 규제를 1년간 유예하기로 하면서 MP Materials, Energy Fuels, Lynas US 등 미국·호주 생산기업이 평균 15% 급등했다.
“장기적 디커플링은 계속된다. 단기 유예는 美 광물 전략주에 저가 매수 기회를 주었을 뿐이다.” – S&P 글로벌 마이닝팀
중기 시그널 : ① 희토류 유예는 12개월짜리 ‘타이머’다. 이 기간 동안 미국 광업법 인센티브(IRA 광물 세액공제) 통과 여부가 주가의 다음 레그를 결정한다. ② 방산주(RTX, LMT)는 공급망 위험 완화로 마진 방어가 가능해졌다.
■ 경제지표 & 연준 파월 발언 해석
• 미 3분기 실질 GDP 연율 4.9% – 재고·수출 기여도가 60% 이상, 지속성 의문.
• 9월 PCE 근원 2.4% YoY – 연준 목표(2%) 근접, ‘최종 금리’ 논의 부각.
• 파월 의장(29일 시카고 연설) : “고금리 장기화의 부작용 주시…‘충분히 제약적’이라는 단어 재사용.”
중기 시그널 : 11월 FOMC 동결 가능성 95% (시카고 연방기금선물), 연내 마지막 25bp 인상 확률 25% 미만. 국채 변동성 (VIX Bonds) 하락→ 디스카운트 밸류 주식 반등 여지.
■ 섹터별 2~4주 전략 체크리스트
1) 빅테크·반도체
- 현금흐름·백로그 vs CapEx 속도 모니터링
- 엔비디아 11/19 실적 : H200 GPU 수주 가이던스 주목
- AI 서버 체인(AMD, TSMC, ASML) – 추격 매수보단 눌림 공략
2) 소재·방산
- 희토류 : 11/4 美 하원 광물 세제 청문회
- 방산 – 우크라·이스라엘 변수로 펀더멘털 탄탄, RTX 엔진 리콜 이슈 진전 확인 필요
3) 소비재·레저
- 고금리·학자금상환 재개로 소매판매 QoQ 감속
- 10/31 애플 실적 – 아이폰 Air 수요가 고가 소비 기축 역할 판가름
- 선택소비주 중 ‘가격전가력’ > ‘트래픽 의존’ 기업 선별
4) 바이오·헬스케어
- GLP-1 (릴리·노보) – 11/8 FDA 당뇨·비만 공동 자문위
- 머크 키트루다 특허만료(2028) 대응 비임상 파이프라인 학회 일정 체크
■ 투자 아이디어 : ‘중기 포트폴리오 3선’
① MSCI USA AI リ밸런싱 ETF(가칭) – 빅테크 + AI 수혜 반도체를 시총 가중 40/60으로 혼합.
② CRMA 희토류 밸류체인 픽커 – MP Materials(공급)·Tesla Megapack(수요) 페어 트레이드.
③ UsDividend Guard – S&P 500 저변동 배당 30선 : 고금리 완화 국면에서 방어+Income.
■ 결론 : 2~4주 ‘불안한 청신호’
• AI CapEx 공포는 “가파른 산”이지만, 산 아래에는 천문학적 RPO가 기다린다.
• 희토류 휴전은 “12개월짜리 모래시계”. 광물 디커플링 전략주는 여전히 구조적 기회.
• 연준은 데이터 디펜던트 기조를 재확인, 장단기 금리 피크아웃 가능성으로 P/E 디스카운트 회복 여지.
따라서 코어 자산(빅테크 ETF·S&P500), 테마 알파(AI·희토류), 방어 배당(헬스케어·필수소비)에 분산 비중을 유지하되, 큰 조정 시 AI 서버·GPU 체인의 눌림매수, 국채 변동성 하락 시 고배당 가치주 리밸런싱 전략이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 2025 MidTerm Market Insight.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