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완화 기대·AI 랠리 속 변동성 전운

서론: 10월 막판, 완화 기대와 AI 열풍이 교차하다

뉴욕 월가는 10월 마지막 주 들어 ‘완화적 연준’‘AI 슈퍼사이클’이라는 두 갈래 기류가 뒤엉키며 뜨겁게 요동치고 있다. S&P500과 나스닥100은 장중 사상 최고치를 다시 깼지만, 변동성 지수(VIX)는 오히려 14선에서 꿈틀거린다. 단기(향후 영업일 기준 약 한 주) 전망을 가르며 가장 큰 변수가 된 것은 ① 연준의 두 번째 인하 이후 시나리오, ② 미국 정부 셧다운 장기화가 초래한 ‘데이터 블랙아웃’, ③ AI 테마 편중·실적 피크아웃 논쟁이다.


1. 거시 환경 스냅샷

지표 현재 수준 1주 전 대비 주요 해설
연준 정책금리(FF Upper) 4.00% ▼0.25%p 100% 선반영된 두 번째 인하 단행
10년 국채금리 3.97% ▼17bp QT 종료 기대+AI 테마 자금 유입
S&P500 5,132p ▲1.8% Mag-7 중심 랠리 지속
WTI유가 $60.2 –2.3% 美 재고 증가+OPEC+ 증산 가능성
30년 고정 모기지금리 6.30% ▼7bp 4주 연속 하락, 재융자 수요 폭증

위 데이터만 놓고 보면 ‘골디락스’라고 부를 만하다. 물가 정체·금리 하락·주가 상승이 동시에 들어맞는다. 그러나 세부를 파고들면 ‘완화적 서프라이즈’ 밑에 숨어 있는 불확실성은 작지 않다.


2. 연준 리뷰 & 포워드 가이던스

2-1. 일단 꺾은 금리, 그러나 길게 보면 쉼표

이번 FOMC에서 25bp 추가 인하는 이미 연방기금 선물이 100% 가격에 반영했다. 시장은 더 나아가 12월과 내년 1·3·4월까지 ‘4회 연속’ 완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 모두발언 첫 문장에서 “우리는 데이터 의존적 접근법을 고수한다”며 속도 조절을 암시했다.

주목
  • 노동시장 둔화: 4주 이동평균 신규실업수당청구 24만 건으로 상승.
  • 물가 정체: CPI YoY 3.0%로 석 달째 박스권.
  • 셧다운 변수: 고용·소매판매 통계 공백이 정책 판단을 흐릴 수 있음.

2-2. QT(양적긴축) 중단, 11월 or 12월?

레포 시장 금리가 SRF 상단을 침범한 사례가 세 차례 나오자 연준 내부에서도 “Ample Reserve 체계가 균열” 의견이 고개를 들었다. 라이트슨·JP모건·UBS 등 주요 프라이머리딜러 하우스 16곳 중 9곳이 11월 즉시 중단, 6곳이 12월 중단, 1곳은 “2026년 1분기까지 유지” 의견을 제시했다. 필자는 11월~12월 사이 ‘속도 조절→중단’ 2단계 시나리오를 채택한다.

단기 함의: QT 속도 저하는 장기물 금리 하방 압력·주식 밸류에이션 상향·달러 약세로 이어지며 위험자산에 우호적이다. 그러나 유동성 감산이 멈추면 통화정책 ‘탄환’이 줄어든다는 역설도 동반한다.


3. AI 랠리, 언제까지 유효한가?

3-1. 엔비디아 시가총액 5조 달러 임박

젠슨 황 CEO는 GTC2025에서 AI 데이터센터 매출 5,000억 달러 로드맵을 발표했다. BoA·UBS·씨티 등이 목표주가를 줄줄이 상향하며, 주가는 장중 5% 폭등했다. Mag-7 편중도(압축 비중) 35.4%는 2000년 닷컴버블 직전 29%를 이미 넘어섰다.

3-2. 리스크 체크리스트

  1. 커스텀 ASIC 추격: 빅테크 자체 칩이 GPU 의존도를 얼마나 잠식할까?
  2. 중국 수출 규제: 트럼프-시진핑 회담에서 블랙웰 칩 허용 범위가 재조정될 가능성.
  3. 전력 인프라: 200MW 이상 AI 팩토리 건설 붐 속 전력망 병목·규제 리스크.

단기적으로는 초과수익이 지속 가능하지만, 실적 기저 효과가 높아지는 2026년부터 성장률 둔화 리스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주목

4. 섹터 스코어카드

※색상: 초록=긍정, 회색=중립, 빨강=부정(단기 기준)

  • 반도체: AI·HBM 수요 견조, 공급 병목 완화 시 추가 랠리.
  • 의료·바이오: GLP-1 계열, TAVR 등 혁신 테마 강세.
  • 리테일: 타깃·웨이페어 리브랜딩 모멘텀 vs 소비둔화 충돌.
  • 에너지: 유가 60달러, OPEC+ 증산 변수로 역풍.

5. 단기 시장 시나리오 & 전략

베이스(60%)

QT 속도 조절만 발표, S&P500 5,150~5,250 박스권. AI 주도 제한적 상승. 모기지 금리 6.2%대 진입, 주택구입 대출 +3% 추가 증가.

강세(25%)

QT 즉시 중단+12월 추가 인하 강력 시사. 나스닥100 18,500 돌파, 반도체 ETF 10% 스파이크. 달러 지수 102 붕괴, 금·비트코인 동반 랠리.

약세(15%)

파월 매파적 스탠스+QT 유지. 장기금리 재상승, Mag-7 차익실현 매물. VIX 18 이상, S&P500 4,900선 테스트.


6. 투자 체크리스트

  1. 11월 5일 美 대법원 ‘상호주의 관세’ 구두변론 – 관세 환급 가능성, 소비주 변동성 유발.
  2. ‘빅테크 5’ 실적 가이던스 – AI Capex 지속 여부가 주가 재료.
  3. 양적긴축 세부 속도 발표 – 주식·채권 동시 방향성 결정.
  4. 모기지 신청 트렌드 – 주택 ETF·가구주 민감도 점검.

7. 결론: ‘기대한 완화, 불거진 숙제’

단기 시장은 ‘정책 완화에 대한 신뢰’가 위험자산을 떠받치고 있다. 그러나 QT 종료 시점·AI 편중·정책 공백 등 구조적 과제도 눈앞에 놓여 있다. 투자자는 ①유동성 탄력에 베팅하되 ②섹터 로테이션을 병행하는 바벨 전략이 유효하다. AI 핵심 수혜주·고품질 성장주와 함께, 의료·바이오·필수소비재 같은 내수 방어주를 비중 조절해 ‘지속 가능한 초과수익’을 노릴 시점이다.

© 2025 최진식.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