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연준 QT 종료 임박, 단기 변동성 속 AI·금리민감주 재조명

서두 요약

미국 증시는 연준이 10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높게 가격에 반영한 가운데 ‘대차대조표 축소(QT) 조기 종료’ 논의가 급부상하며 단기 방향성을 탐색 중이다. 다우·S&P 500·나스닥은 사상 최고치 근처에서 박스권 흐름을 보이지만, 단 하루에도 수급이 급변하는 모습을 고려하면 투자자는 이번 주 남은 두~세 거래일방향 결정을 앞둔 교착 국면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1. 최신 뉴스&데이터 하이라이트

  • 연준, 레포시장 경색 신호에 QT 중단 시사 – 2년물 국채금리 4.07% → 3.89%
  • 엔비디아, GTC서 누적 5,000억 달러 매출 가이던스·노키아 6G 협력 발표 – 주가 연이틀 급등
  • GM·CVS·파라마운트 등 대형 기업 구조조정(합계 해고 5,000명↑) – 실물 경기 기대치 하향 압박
  • 30년 모기지 금리 13개월 만의 최저 – 주택 건설·리츠 단기 반등
  • 달러 인덱스 DXY 106.40→105.90 하락, 금·은 선물 3% 반등 – 안전자산 스프레드 확대

2. 시장 전광판(10월 29일 마감 기준)

지수 종가 1일 변동 YTD
S&P 500 5,324.18 +0.32% +14.7%
나스닥 100 18,924.55 +0.47% +21.3%
다우 39,841.77 +0.40% +10.1%
10Y 미 국채 3.99% +1.7bp -58bp
WTI(12월) $60.87 +1.2% -9.4%

3. 거시 변수 심층 분석

3.1 연준·단기금리

레포(RP) 금리가 SRF(상설 레포) 상단에 근접하면서 준비금 부족 가능성이 제기됐다. 2019년 경험에 비춰보면, 연준은 ▲QT 즉시 중단 ▲단기국채 매입 재개 ▲SRF 조건 완화 중 최소 두 가지를 채택할 공산이 크다. QT 중단→2년물 금리 추가 하락→밸류에이션 재평가라는 단기 ‘완화 체인’이 다시 작동할 수 있다.

3.2 실물·소비

어닝 시즌 초반(180개사) 기준 매출 서프라이즈율은 42%로 2022년 이후 최저지만, EPS 서프라이즈율은 78%로 양호하다. 비용 절감·자사주 매입이 이익 방어를 뒷받침했으나 내수 수요 정체 징후도 뚜렷하다. GM·Fiserv·Paramount 대량 해고 뉴스는 고용지표 래그를 감안할 때 11월 이후 비농업고용 서프라이즈 둔화를 시사한다.

주목

3.3 수급·파생

옵션 델타 중립 펀드의 콜 롱·풋 숏 포지션이 시총 상위 10종목에 집중돼 있어, 단 하루의 변동성 확대가 체인 리액션을 부를 리스크도 공존한다. VIX는 13p 언저리나 Skew 지수는 142p(3개월 최고)로, 표면 변동성과 심층 헤지 비용 간 괴리가 커져 있다.


4. 섹터·테마 단기 포지셔닝

4.1 AI 슈퍼사이클 – 반도체·통신 인프라

엔비디아·AMD·마이크론·SK하이닉스 ADR 등은 FOMC 직후 레버리지 롱이 몰릴 가능성이 높다. 다만 커스텀 ASIC(아마존·구글 자체 칩) 뉴스 플로우를 체크해 엔비디아 단독 체인 독점 내러티브 변질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4.2 금리 민감주 – 리츠·건설·배당 유틸리티

2년물 금리가 3.7%대로 내려가면 지난 10월 고점 대비 VNQ 누적 하락분의 절반 이상을 되돌릴 수 있다. 주택지표 반등, 모기지 금리 6.2%대가 현실화될 경우 LEN·DHI·NVR 등 주택주 단기 로테이션이 유효하다.

4.3 경기 방어·알파 – 보험·PBM·헬스케어

CVS는 EPS 가이던스 상향 후에도 3년 평균 PER 9배 수준으로 거래된다. 방어적 섹터이지만 연말 가이던스 라운드업에서 추가 상향 가능성이 남아 있어 보험·PBM 바스켓(UNH·ELV·CI·CVS) 보유 여부를 점검할 시점이다.

주목

5. 체크리스트 – 남은 주 초단기 변수

  1. 10/30(수) 14:00 ET FOMC 성명·파월 발언
    키워드: QT, dot plot 부재 보완, SRF 스프레드
  2. 10/31(목)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키워드: 관세 완화 vs 희토류 유예, 엔비디아 ‘슈퍼두퍼 칩’ 수출 가능성
  3. 10/31~11/1 실적: 애플·아마존·메타·팔란티어·데이터독
  4. 11/1(금) ISM 제조업·JOLTS, 주간 실업수당 – 노동시장 경로점검
  5. 발행: 11/4(월) 美 재무부 분기별 차입계획(QRA) – 국채 발행 스케줄→단기금리 재차반등 가능성

6. 리스크 맵

◎ 상방 변수 – QT 종료, 중국 관세 완화, AI 수요 가속, 달러 약세
◎ 하방 변수 – QT 지속, 정부 셧다운 재연장, 장단기 금리 재상승, 파생 델타 언와인딩


7. 투자 아이디어 요약

  • 전술적(1주 안팎) – 2년물 금리 3.8% 하향 이탈 시 VNQ·LEN 콜옵션(OTM 3%), 엔비디아 단기 모멘텀 트레이드(풋 가드 필요).
  • 스윙(1개월±) – QT 조기 종료+달러 약세 베팅 ETF(UUP 숏) + 금·은 선물 롱. 리츠·배당 ETF 30% 비중으로 방어적 커브.
  • 대차대조표 리스크 헤지SRF>RP 스프레드 5bp 이하 지속 시 SOFR 인버스 ETN 트랙.

8. 결론 및 조언

이번 주 남은 거래일은 ‘중간 결산’이 아닌 ‘미래 시나리오 베팅’의 무대다. 시장은 연준의 QT 카드미·중 정상회담 결과를 통해 다음 달 랠리 혹은 조정의 방향타를 얻을 것이다. 투자자는 금리 민감주·AI 모멘텀주·방어주를 혼합한 바이너리 포트폴리오로 변동성을 기회로 삼는 전략이 필요하다. 무리한 레버리지는 금물이며, 10월말~11월초 옵션 만기 집결 구간에서 변동성 급등→강제 언와인딩 리스크를 경계해야 한다.

© 2025 Choi Jin Sik.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