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마켓 인사이트
Ⅰ. 서두 요약 — ‘팽팽한 줄다리기’ 속 단기 방향성 모색
미국 증시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와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를 동력 삼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빅테크(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 실적과 미·중 무역 협상, 이스라엘–이란 지정학 리스크가 겹치며 상방·하방 요인이 복합되는 국면이다. 필자는 데이터를 종합해 단기(향후 거래 주 중반까지) 시장이 ‘방향성 없는 급등·급락 스위치 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하며, 하단 지지 → 변동성 급등 → 숨 고르기 → 재상승 시도의 순환 패턴이 유력하다고 본다.
Ⅱ. 최근 시장 상황 — 숫자로 보는 ‘리스크–온(ON)’ vs ‘리스크–오프(OFF)’
| 지표 | 현재치 | 1주 변화(%) | 코멘트 |
|---|---|---|---|
| S&P 500 | 6,791.69 | +1.9 % | CPI 둔화·AI 기대 동력 |
| 나스닥 종합 | 23,204.87 | +2.4 % | 빅테크 프리미엄 재부각 |
| 10년물 美 국채 | 3.997 % | -26 bp | 인하 예상치 97 % 반영 |
| CME FedWatch | 25 bp 인하 97 % | +13 %p | ‘연내 2회 인하’ 가격 |
| VIX 변동성 | 14.8 | -12 % | 저점 경신 직후 반등 시도 |
| WTI 원유 | $81.30/bbl | -4.5 % | 중동 헤드라인 완화 |
자료 = Bloomberg, CME, BLS, 2025년 10월 25일 종가 기준
Ⅲ. 섹션별 심층 분석
1️⃣ 물가·금리 — ‘CPI 둔화 = 인하’ 단순논리의 함정
- CPI 헤드라인 3.0 % → 2% 목표와의 간극 : 물가가 빠르게 식는 듯 보이지만, 주거비·서비스임금 핵심이 여전히 4 %대다.
- 근원 PCE·Truflation 실시간 지표 : 에너지·식품 변동 제외 기준은 2.7 %에서 탄력 둔화가 미미하다.
- 채권 포지셔닝 : CTA·델타 헤지가 10년물 4 % 레벨에 롱 포지션을 과도하게 구축, 작은 헤드라인에도 금리 50 bp 재점프 위험이 상존한다.
2️⃣ 빅테크 실적 — ‘강력한 CAPEX, 아직은 성장의 씨앗’
- 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 모두 3분기 CAPEX 40 ~ 60 % YoY 증가 예상.
- 시장은 AI 인프라 지출 → 단기 FCF 희석보다 FSD·Copilot·클라우드 GPU 임대 등 신규 수익화 파이프라인에 주목.
- 경계 포인트는 “AI 구독 전환율 공개 여부”. 숫자가 부진하면 ‘모멘텀→실적’ 서프라이즈 소멸 경로.
3️⃣ 무역·정책 — 미·중 ‘틀 합의’, 관세 카드 유예
베센트 재무장관은 “100 % 추가관세 철회 + 중국 대두 재구매 + 희토류 수출통제 연기” 틀을 시사. 단기 시장은 공급망완화 → 비용 감소를 선반영했으나, 실질 서명까지 변수 :
- 틱톡·반도체 수출규제는 유지 → 테크섹터 밸류에이션 상단 제한.
- 공화·민주 대선 레이스가 ‘중국 때리기’ 카드로 재부상 가능.
4️⃣ 지정학 — 이스라엘·이란 리스크 완화, 유가 $80선 시험
WTI –4 % 하락에도 브렌트 $82~85 박스권 지지. 전면전 확전 리스크 프리미엄 7 ~ 10 $/bbl 남아 있어, 단기 급락 폭은 제한적.
Ⅳ. 퀀트·파생 뷰 — 옵션데이터로 본 ‘단기 스윙 박스’
| 만기 | S&P Gamma Exposure | Max Pain | CTA 트리거 |
|---|---|---|---|
| 11/1 주간옵션 | -3.2 B$ | 6,700p | 6,880↑ / 6,620↓ |
| 11/15 월간옵션 | +1.1 B$ | 6,600p | 7,020↑ / 6,480↓ |
의미 : ① 주간옵션은 숏 감마 → 지수 급등 땐 마켓메이커 매수·급락 땐 매도로 ‘σ(시그마) 확장’ 우려, ② 11월 월물은 +감마 → 큰 틀 하단 지지.
Ⅴ. 실적·지표 일정 캘린더 (단기 5 영업일)
- 10/28(화) : MSFT·GOOGL 실적, S&P 케이스실러 주택가격
- 10/29(수) : FOMC 금리결정, ADP 민간고용, AMD·V 실적
- 10/30(목) : GDP 1차 수정, META·AMZN·INTC, 미·중 정상회담
- 10/31(금) : PCE물가, 시카고 PMI, 에너지 재고, CAT·CHEVRON 실적
- 11/1(월) : ISM 제조업, 테슬라 주주총회(머스크 보상안), 비농업공장 주문
Ⅵ. 리스크 시나리오 매트릭스
| 리스크 | 발동 확률(1주) | 가격 반응(지수 기준) | 헤지 아이디어 |
|---|---|---|---|
| FOMC ‘동결’ 및 매파 발언 | 15 % | S&P –2 % / VIX +5p | 10y T-Note 숏, VIX 콜 |
| 빅테크 실적 컨센 하회 | 25 % | 나스닥 –3 % | QQQ 풋 스프레드 |
| 이스라엘–이란 군사 충돌 확대 | 10 % | WTI +10 $/bbl | 에너지 콜, 항공주 숏 |
| 미·중 회담 결렬 | 20 % | S&P –1.5 %, CNY ·위안 약세 | USDCNH 롱, 반도체주 헷지 |
Ⅶ. 단기(향후 1주) 전망 — 『스텝다운–페이지업』 패턴
종합하면, ① FOMC 인하 선반영 → ② 실적·정책 이벤트 노이즈 → ③ 11월 첫 주 재랠리 순서를 예상한다.
구체 수치 가이던스 :
- S&P 500 : 6,630 ~ 6,860 포인트 박스권 → 11/4 직전 6,900 상향 돌파 시도
- 나스닥 100 : 23,000 지지, 23,450 돌파엔 옵션 숏커버 트리거
- 10년물 금리 : 3.9 % 지지 ↔ 4.15 % 저항(‘4 % +/– 15 bp’)
- WTI : $78 ~ $85 레인지, 단기 하단은 선물 기준 200일선
▶ ‘스텝다운 패닉’ 매수 전략 : S&P 선물 6,640 ± 20p 영역 분할 롱, 손절 6,560 이탈
▶ 빅테크 실적 전 후행 양방향 : GOOGL / MSFT 양쪽 ±5 % 콜·풋 스트랭글, FOMC 직전 청산
▶ 리오픈 트레이드 : 중국 ADR·ETF (KWEB) 2 % 선제 매수, 회담 결과에 따라 4 ~ 5 % 트레일링 스톱 적용
Ⅷ. 결론 — ‘자이로 장세’에 필요한 두 줄 요약
① 단기 방향성은 FOMC 결과 + 빅테크 가이던스가 결정한다.
② 상승 트리거가 선반영된 만큼 “급등엔 차익, 급락엔 분할매수” 기계적 리밸런싱이 유효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파월의 언어 온도와 MSFT·GOOGL 실적표다. 파월이 “추가 완화는 데이터·디에페던트” 정도 톤을 유지하고, 빅테크가 CAPEX 공격 투자에도 FCF 가이던스 ±5 % 이내를 방어한다면 ‘연말 랠리’ 가속 시나리오에 무게를 둘 수 있다.
반대로, 파월 매파·빅테크 실적 미스·미·중 회담 결렬·중동 재격화 중 2가지 이상 동시 충격이 발생하면 6,480 ~ 6,520 지수 구간 테스트 가능성이 열려 있다. 단기적으론 변동성 활용이 관건이며, 현금 10 ~ 15 %를 유지한 채 구조적 테마(클라우드·AI·에너지 인프라) 저가 매수를 병행하는 전략이 합리적이다.
본 칼럼은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