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보는 최근 시장 상황
미국 증시는 9월 CPI YoY +3.0% 발표 이후 S&P 500이 사상 첫 6,800선을 돌파하며 ‘엘리트 불마켓’에 진입했다. 그러나 ① 빅테크 5 실적 슈퍼위크, ②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결과, ③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④ 美 국채 30년물 4% 재하락 가능성 등이 맞물리며 단기 변곡에 다다랐다는 평가다.
🗺️ 기사 길잡이
- 거시 환경: 물가·금리·환율 업데이트
- 섹터 라운드업: AI, 소형주, 리오프닝 재정비
- 단기 테크니컬 신호: 옵션 감마와 선물 베이시스
- 펀더멘털 체크: 빅테크 실적 베이스라인
- 정책·지정학 변수: 무역·셧다운 시한표
- 종합 전망 및 포지셔닝 전략
1️⃣ 거시 환경
1) 물가와 연준 스탠스
“3%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면 단기에 추가 인하하기 어렵다.” – 마이크 푸글리에즈(웰스파고)
| 지표 | 7월 | 8월 | 9월 | 코멘트 |
|---|---|---|---|---|
| CPI (YoY) | 3.2% | 2.9% | 3.0% | 에너지·관세 압력 |
| Core PCE (QoQ SAAR) | 2.7% | 2.6% | 발표 예정 | 2% 목표 여전히 상회 |
| 실업률 | 3.8% | 3.9% | 4.0% | 소폭 상승 → 완화적 해석 |
연준은 10월 FOMC에서 ‘연속 인하 시사 –> 데이터 의존’ 수사를 반복하며 dovish pause를 택했다. 파월 의장은 “셧다운으로 지표 공백이 커져 통계 신뢰도 하락”을 우려했는데, 이는 12월 FOMC 25bp 인하 베팅(시카고 CME FedWatch 97%)을 실질적으로 허용한 셈이다.
2) 채권 스프레드와 달러 인덱스
- 10Y UST 수익률: 3.99% → 4.05% 반등 시도
- 2y/10y 역전폭: -38bp → -29bp 완화
- DXY 98.75 (+0.4 주간) – 관세 · 유로존 재정 악화 요인
채권 방향성은 단기적으로 ‘금리 하단 견인 vs. 디플레 고착 우려’ 사이에서 진폭이 제한될 전망이다.
2️⃣ 섹터 라운드업
가. AI 플랫폼 → 모멘텀 피로
지난 9거래일 동안 SOX 반도체 지수는 -2.3% 조정되며 연초 강세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트레이더블 뉴스는 다음과 같다.
- 엔비디아: 오픈AI 1000억 달러 GPU 발주 잭팟 기대 vs. BofA ‘정점 수주’ 경고
- AMD: FPGA → IBM 양자 오류정정 채택 6% 급등 후 수급 조정
- 브로드컴: ESUN 이더넷 아키텍처 공개 +5% 반등
모멘텀 ETF MTUM 내 AI 비중은 38% → 43%로, 일주일 새 5%p 증가했다. 감마 스퀴즈 포지션이 과거 최고 수준(2024년 3월) 대비 85%에 이르러 단기 과열 경향이 뚜렷하다.
나. 소형주 루키 모드
러셀 2000은 2,500 고지 돌파 후 이틀 조정에도 베어 플래그 파괴 없이 지지선을 구축했다.
| 지수 | YTD | 3개월 | 10월 초 저점 대비 |
|---|---|---|---|
| S&P 500 | +15.5% | +6.8% | +9.1% |
| Russell 2000 | +7.8% | +10.3% | +28.4% |
필자는 ① 금리 피크아웃, ② 공매도 커버, ③ AI 캡엑스 낙수 효과가 중소형주로 번질 가능성에 주목한다. 다만 하이일드 CDS 스프레드가 370bp→383bp로 반등해 변동성 관리 필요.
다. 방산·희토류 테마
미·중 협상에서 희토류 수출 규제 유예 잠정 합의가 전해지자 Lynas·MP Materials가 각각 -4%, -3% 하락했다. 그러나 HD현대중공업·헌팅턴 잉걸스 군함 파트너십, 미 국방 예산 상향 소식으로 Lockheed Martin, Northrop은 소폭 상승세를 유지했다.
3️⃣ 단기 테크니컬 신호
- 옵션 감마 포지션 : S&P 500 ~6,720 구간에 시장조성자 매도 감마 집중 → 이탈 시 5% 조정 가능성
- 선물 페어드 트레이드 : NQ(나스닥) 롱 vs. RTY(러셀) 숏 스프레드 10월 24일 기준 +2σ → 숏 커버 압력
- 뉴하이-뉴로우 스프레드 : NYSE (+420) – (-119) = +301 → 강세 지속 조건 충족
4️⃣ 펀더멘털 체크 – 빅테크 어닝 베이스라인
팩트셋 기준 컨센서스와 필자의 ‘실적 서프라이즈 밴드’를 비교했다.
| 기업 | EPS(컨센서스) | 매출(컨센서스) | ||
|---|---|---|---|---|
| 기대치 | 서프라이즈 밴드 | 기대치 | 서프라이즈 밴드 | |
| MSFT | $3.27 | $3.32~$3.45 | $62.3B | $63.0~65.0B |
| GOOGL | $2.28 | $2.35~$2.50 | $86.1B | $87.0~90.0B |
| AMZN | $0.74 | $0.79~$0.85 | $166.2B | $168~172B |
| AAPL | $1.45 | $1.48~$1.55 | $121.1B | $122~125B |
| META | $5.33 | $5.50~$5.70 | $40.7B | $41.5~43.0B |
광고 ROI (구글·메타) → 소비 경기에 민감, 클라우드 Growth (MSFT·AMZN) → AI 인프라 캡엑스 의존. 특히 애플은 iPhone 17 ‘조기 완판’ 데이터로 서프라이즈 폭이 가장 크게 확장될 가능성.
5️⃣ 정책·지정학 타임라인
| 날짜 | 이벤트 | 시장 내재 시나리오 |
|---|---|---|
| 10/28(화) | 트럼프–시 정상회담 | 휴전 연장(+), 100% 관세 발표(-) |
| 10/30(목) | FOMC 의사록 공개 | ‘데이터 의존’ 재확인 → 완화 기대 |
| 11/01(토) | 관세 데드라인 | 연장 or 발효 |
| 11/05(수) | 대법원 관세 합헌 판결 | 관세 폐기(-) / 유지(+) |
| 11/08(토) | 연방정부 셧다운 4주 차 | 수치상 GDP -0.2%p 차감 |
6️⃣ 종합 전망 및 포트폴리오 전략
■ 시나리오 매트릭스
| 변수 조합 | 주가지수 반응(단기) | 섹터 수혜 | 권장 액션 |
|---|---|---|---|
| ① 빅테크 서프라이즈 + 관세 휴전 | S&P 500 +2~3% | AI, 반도체, 소형주 | 콜 스프레드, 러셀 롱 |
| ② 실적 혼조 + 휴전 | 지지선 6,600 테스트 |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 방어주 로테이션 |
| ③ 실적 부진 + 관세 발효 | 5% 급락 리스크 | 방산, 금, 달러 | 풋 버터플라이, 채권 롱 |
■ 필자의 단기 뷰
옵션 시장 60 delta 콜/풋 스큐가 2024년 11월 고점 수준으로 확대됐다는 점에서, ① 시나리오가 우세하더라도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판다’식 변동성 매압(賣押)이 동반될 개연성이 높다. 이에 따라 스프레드 콜 매수 후 delta 헤지 전략을 추천한다.
소형주 러셀 롱은 gamma cover 효과를 노리는 스윙 트레이딩에 적합하나, 비선형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RTY 풋 버퍼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 결론: “단기 리스크 대비, 구조적 강세 유지”
연준 완화 시그널, AI 캡엑스 붐, 관세 휴전 기대라는 세 기둥이 당분간 하방 완충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빅테크 실적·정책 이벤트가 밀집된 이번 주는 파생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쌓인 상황이라 작은 변수에도 흔들릴 수 있다. ‘엘리트 불마켓’을 유지하려면 ① 빅테크 실적 최소 컨센서스 부합, ② 100% 추가 관세 연기, ③ 셧다운 타임라인 축소가 전제된다.
따라서 투자자는 단기 조정을 현금 유동성 확대와 섹터 리밸런싱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책·실적 이벤트 직후 변동성 완화 국면에서 분할 매수, 옵션 프리미엄 고평가 시 콜 스프레드·버터플라이 등 vanna drift 친화적 전략을 병행하라.
© 최진식 | 데이터·차트 출처: FactSet, CBOE, Bloomberg, NHC, CNBC (2025.10.26 마감 데이터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