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두 요약】
뉴욕증시가 9월 CPI 둔화, 연준 완화 기조, 기대 이상의 3분기 실적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지 불과 일주일이 지났다. 그러나 트럼프발 100% 대중 관세 경고, 미·중 희토류 ‧ 농산물 딜,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라는 세 갈래 변수는 향후 1주일(단기) 동안 변동성의 스위치를 언제든 켤 수 있다. 본 칼럼은 지난주 쏟아진 핵심 뉴스·지표·기업 실적을 객관적 데이터로 재검증하고, ▲지수 밸류에이션 ▲섹터 로테이션 ▲파생시장 포지셔닝을 종합해 이번 주(10월 28일~11월 1일) 시장 방향성을 예측한다.
1. 최근 시장 상황 한눈에 보기
| 지수 | 10/25 종가 | 주간 등락 | 연초 대비 |
|---|---|---|---|
| S&P 500 | 6,814.27 | +1.4% | +15.5% |
| 나스닥 100 | 19,365.93 | +1.9% | +20.2% |
| 다우존스 30 | 39,948.11 | +1.0% | +7.8% |
| 러셀 2000 | 2,503.44 | −0.6% | +3.2% |
▲지수: 대형 기술주 중심의 S&P‧나스닥은 신고가, 소형주 러셀은 부진이 이어지는 편중 랠리가 지속된다.
▲채권: 미 10년물 수익률 3.99%로 FOMC 앞두고 4% 하회.
▲달러: DXY 98.8p로 한 주 만에 0.7p 하락, 관세·정치 리스크 완화 기대 반영.
2. 핵심 뉴스 5대 포인트
- CPI와 연준 완화 카드: 9월 CPI 전년 +3.0%로 2개월 연속 3%대 유지. 연준은 10월 30일 0.25%p 인하가 유력(확률 97%).
- 빅테크 실적: ‘매그니피센트 7’ 중 5개사가 이번 주 실적 공개. 컨센서스는 전년 대비 +16.6% EPS 성장.
- 무역 변수: 트럼프 “11월 1일 대중 100% 관세” 경고 ↔ 베센트 재무장관 “희토류·대두 딜 예비 합의”.
- 셧다운 4주차: 고용·소비 지표 발표 지연, 정책 불확실성이 변동성 뇌관.
- 파운드리·AI 설비투자 붐: 엔비디아·AMD·오라클 Capex 효과로 3분기 GDP +1.1%p 기여. 그러나 실물 소상공인은 관세·물가 압력.
3. 지표·실적·포지션 심층 진단
3-1. 매크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 GDPNow(애틀랜타 연준 예측): 4Q 추정 2.1%→2.3% 상향.
- ISM 제조업 PMI: 52.2(전월 52.0) – 4개월째 50 상회.
- AAII 투자심리: Bull 48 · Neutral 28 · Bear 24 – 낙관이 과열 영역에 근접.
- VIX 선물 커브: 1개월물 14.3→3개월물 16.1 (콘탱고 1.8p).
3-2. S&P 500 밸류에이션 스냅샷
| 현재 | 5년 평균 | 10년 평균 | |
|---|---|---|---|
| PER(12M Fwd) | 20.4배 | 19.2배 | 17.7배 |
| EPS 성장률(2025E) | +8.7% | +7.5% | +6.8% |
| 주당현금흐름(CF) | $256 | $235 | $218 |
⇒ 밸류에이션은 5·10년 평균보다 1~2σ 상단, ‘프리미엄 구간이지만 버블은 아님’.
3-3. 파생시장 포지셔닝
4. 단기(1주일) 시나리오별 주가 트리거
4-1. 베이스(60%) – 제한적 랠리 지속
전제: 연준 0.25%p 인하·빅테크 실적 컨센 부합·관세 연기 → +1.0%~+2.5% 추가 상승.
S&P 500 단기 목표 6,880~6,950p, VIX 13대 진입.
4-2. 불(20%) – ‘실적 서프라이즈 + 관세 딜’
전제: 애플·아마존이 가이던스 상향, 트럼프·시 합의문 발표. AI 설비투자 모멘텀 부각 → 패시브·CTA 매수 가속.
S&P 500 7,050p 돌파 가능. 단, RSI(14) 80 근접 시 기술적 과열 경계.
4-3. 베어(20%) – ‘관세 폭탄 + 실적 미스’
전제: 빅테크 매출 둔화·100% 관세 현실화·셧다운 추가 경색. 연준 기자회견에서 ‘통화 여력 제한’ 언급 → 위험자산 매도.
S&P 500 6,550p까지 급락, 러셀 2000 비중 축소 심화.
5. 섹터·테마별 투자 아이디어
5-1. 기술주 내부 로테이션
- 반도체 장비(AMAT·LRCX) – 파운드리 Capex 재개 & 18A 공정 투자 수혜.
- 클라우드 인프라(ORCL·MSFT Azure) – AI 서버 수요 견조, 2Q26 EBITDA 상향 여지.
5-2. 경기민감·리오프닝
- 호텔·항공(달러 강세 주춤) – AAL·MAR 단기 스윙, 단 손익분기 유가 70$.
- 건설자재 – 셧다운 타결 시 인프라 예산 집행 탄력.
5-3. 방어·고배당
- 헬스케어 장비(ISRG·ABT) – 임플란트·수술 로봇 수요 회복.
- 배당킹(ABBV·PG) – 실질금리 하락 시 상대 매력↑.
6. 기술적 분석 체크포인트
① 5일 EMA 6,765p, 20일 SMA 6,640p → 단기 상승 추세 intact.
② MACD(12,26) +44로 양(+) 영역, 그러나 히스토그램 축소 = 모멘텀 둔화 신호.
③ 볼린저 상단 6,850p 근접. 불 시나리오선 상단 돌파 여부 관찰.
7. 결론 및 투자 조언
종합하면, “연준 완화 + 실적 모멘텀”이 관세·셧다운 리스크를 당분간 상쇄할 확률이 더 높다. 단, 편중 랠리가 지수 밸류에이션을 20배 상단으로 밀어올렸다는 점에서, 단기 손절 라인을 엄격히 설정한 포지션 트레이딩이 필요하다. 개인 투자자는 (1) 빅테크 실적 발표 직후 과열 구간 매수 자제, (2) ETF 분산(스몰캡·인터내셔널) 비중 20% 이상 확보, (3) 채권 ETF(TLT·IEF) 10%로 금리 변동 헷지 전략을 권고한다.
“상승은 공포 속에서 태어나고, 회의 속에서 성장하며, 열광 속에서 죽는다.―존 템플턴”
현재 시장은 ‘회의와 열광의 경계’에 있다. 단기 랠리를 활용하되, 정책 불확실성에 대비한 현금·방어주 비중 유지는 필수다.
ⓒ 2025 Choi Jin-sik.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