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포인트
Tether, USDC, Ethena USDe, DAI, World Liberty Financial USD가 2025년 시가총액 기준 상위 5대 스테이블코인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Tether와 USDC가 선두 자리를 굳히는 가운데, 새로운 발행사들이 2026년 ‘톱5’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올여름 발효된 스테이블코인 관련 신법 (Genius Act)이 은행‧리테일‧핀테크‧실리콘밸리 테크기업 등 다양한 주체의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경쟁 구도가 빠르게 재편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순위 변동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면서도, 새 규제 환경이 안착되는 2026년에는 새로운 강자가 등장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1. 2025년 기준 상위 5대 스테이블코인
모틀리풀(Motley Fool) 리서치에 따르면, 상위 다섯 종목이 스테이블코인 전체 시가총액의 약 95%를 차지한다. 1위 Tether (USDT)는 약 1,640억 달러, 2위 USDC는 약 65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했다(8월 6일 기준).
이어 Ethena USDe(96억 달러), DAI(54억 달러), World Liberty Financial USD(22억 달러)가 후순위를 채웠다. Ethena USDe와 DAI는 복합 담보와 디파이(DeFi) 전략을 활용해 수익률을 추구하는 구조로, 일반 장기보유 투자자보다 수익 농사(Yield Farming) 등 고급 전략을 선호하는 이용자층에 적합하다.
World Liberty Financial USD는 트럼프 일가의 암호화폐 사업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 공식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으로, 2025년 초 출시 후 단숨에 상위권에 진입했다.
2. 2026년 순위 변동 가능성
시장 분석에 따르면 선두 Tether와 USDC의 지위는 견고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USDC가 규제 준수와 투명성 장점을 앞세워 Tether 점유율을 일부 흡수할 가능성은 거론된다.
반면 Ethena USDe와 DAI는 Genius Act가 요구하는 ‘1:1 달러 전액 현금‧현금성 자산 담보’ 규정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어, 미국 내 영업 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World Liberty Financial USD 역시 팬덤 중심의 한정적 수요로 인해 중장기 성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3. 부상하는 새 주자들
대체 후보로는 PayPal USD (PYUSD)와 Ripple USD (RLUSD)가 꼽힌다. 두 종목은 현재 시가총액 ‘톱10’에 속하며,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 및 리테일 결제 인프라를 기반으로 실사용 사례(Utility)를 꾸준히 늘리고 있다. 두 기업 모두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둔 미국 법인으로, Genius Act 규정을 충족하는 구조를 채택했다.
해외 발행사 중에서는 6위 First Digital USD(FDUSD, 홍콩 기반) 정도만이 존재감을 드러내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규제권 밖 스테이블코인이 단기간 급부상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한다.
4. 잠재적 ‘와일드카드’ – 빅테크와 대형 리테일
향후 12개월 안에 Amazon, Walmart, Meta Platforms, Apple 등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Amazon이 “자사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 3% 할인”을 제안할 경우, 이용자 유입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는 이들 빅테크가 보유한 방대한 생태계를 활용해 단번에 상위권에 진입할 잠재력이 높다고 본다.
5. 용어 해설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 가격 변동성이 큰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달러 등 법정화폐에 1:1로 연동해 가치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자산이다.
수익 농사(Yield Farming) – 디파이 플랫폼에 암호화폐를 예치하고 이자나 토큰 보상을 받는 투자 방식으로, 고수익을 노리지만 위험도 크다.
소프트 페그(Soft Peg) – 전액 현금 담보 대신 암호화폐·스마트컨트랙트 등 다양한 자산으로 가치를 지지하는 방식이다. Genius Act는 이를 제한하고 ‘하드 페그’(100% 현금·현금성 자산 담보)를 의무화한다.
6. 투자 관련 참고 정보
모틀리풀의 ‘Stock Advisor’ 모델 포트폴리오는 2025년 8월 4일 기준 *평균 1,046%의 수익률을 기록해 S&P 500의 181%를 크게 웃돌았다. 2004년 12월 17일 넷플릭스 추천 당시 1,000달러를 투자했다면 63만 5,544달러, 2005년 4월 15일 엔비디아 추천 당시 1,000달러를 투자했다면 109만 9,758달러를 달성했을 것이라는 계산이 제시됐다.
동사는 Amazon, Apple, Meta Platforms, PayPal, Walmart, XRP 등에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7년 1월 만기 42.50달러 콜옵션(롱)과 2025년 9월 만기 77.50달러 콜옵션(숏)을 각각 PayPal에 보유 중이라고 공시했다.
※ 상기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특정 자산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다. 투자 결정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