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위 1% 소득 기준 연 79만4,129달러…주별 격차 최고 75만 달러

“상위 1%”라는 표현은 미국 사회에서 경제적 최정점을 상징하는 단어다. 연소득 6자릿수를 훌쩍 넘겨야 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았지만, 실제로 1%에 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봉은 얼마일까.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SA)이 공개한 2023년 임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1%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연봉 79만4,129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달러 기준으로 월 6만6,178달러, 주간 1만5,272달러에 해당한다.

흥미로운 점은 해당 수치가 전년도 대비 3.30%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물가 상승과 고용 시장 호조로 중하위 계층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올랐음을 시사한다.


상위 5%·10% 기준은?

연 79만 달러 이상을 벌지 못하더라도 여전히 높은 소득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SSA 자료에 따르면 상위 5% 진입 임계치는 35만2,773달러, 상위 10% 임계치는 14만8,812달러다. 즉, 연봉 15만 달러만 돼도 미국 가구 중 90%보다 높은 소득을 올리는 셈이다.

이에 대해 재정 전문가들은 “상위 10%에 속한다고 해서 곧바로 ‘부자’로 분류되지는 않는다”고 설명한다. 주택 가격, 교육비, 의료비 등 생활비가 급등한 최근 환경에서는 지리·세제 요인에 따라 실제 체감 부는 크게 차이를 보인다.


주(州)별 상위 1% 진입 장벽

미국은 연방 국가인 만큼 거주 지역에 따라 소득 수준과 생활비가 극단적으로 달라진다. 온라인 재정 플랫폼 GOBankingRates는 2021년 데이터를 물가 수준에 맞춰 2024년 기준으로 조정해 각 주별 1% 진입 기준을 산출했다.

wealth image

가장 높은 상위 10개 주는 다음과 같다.

1. 코네티컷: 119만2,947달러
2. 매사추세츠: 115만2,992달러
3. 캘리포니아: 107만2,248달러
4. 워싱턴: 102만4,599달러
5. 뉴저지: 101만0,101달러
6. 뉴욕: 99만9,747달러
7. 콜로라도: 89만6,273달러
8. 플로리다: 88만2,302달러
9. 와이오밍: 87만2,896달러
10. 뉴햄프셔: 83만9,742달러

반면 소득 기준이 가장 낮은 10개 주는 다음과 같다.

41. 오하이오: 60만1,685달러
42. 아이오와: 59만1,921달러
43. 앨라배마: 57만7,017달러
44. 인디애나: 57만2,403달러
45. 오클라호마: 55만9,981달러
46. 아칸소: 55만0,469달러
47. 켄터키: 53만2,013달러
48. 뉴멕시코: 49만3,013달러
49. 미시시피: 45만6,309달러
50. 웨스트버지니아: 43만5,302달러

최고치인 코네티컷과 최저치인 웨스트버지니아 간 연소득 격차는 무려 75만7,645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차이는 지역별 산업 구조, 부동산 가격, 세제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용어 설명 및 배경

미국 사회보장국(SSA)은 우리나라 국민연금공단에 해당하는 연방 기관으로, 근로자가 신고한 임금을 바탕으로 해마다 ‘전국 임금 통계’를 발표한다. 여기에는 모든 근로소득 신고자가 포함되므로 현실적인 소득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위 1%”라는 개념은 세전(稅前) 소득만을 기준으로 한다. 실질 구매력을 말할 때는 세후 소득, 자산 가치, 거주 지역의 물가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전문가 시각

전문가들은 “명목 소득만으로 재정적 안정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예컨대 상위 1% 소득자라도 실리콘밸리·맨해튼 등 고가 지역에 거주하면, 주택 구입·자녀 교육·세금 지출로 인해 순자산 증식 속도가 둔화될 수 있다.

반대로 웨스트버지니아나 미시시피처럼 생활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는 상위 10% 수준의 소득으로도 ‘체감 부(富)’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재무 설계 전문가들은 “소득 구간보다는 순자산(자산−부채)과 현금흐름 관리가 장기 부(富)를 결정한다”고 조언한다.

extra money


시사점

이번 통계는 미국 내 소득 불균형의 지역별 양상을 드러낸다. 특히 고소득 주(州)와 저소득 주 간 격차가 확대되면서, 기업·인재·자본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상위 1% 진입 기준이 작년보다 낮아진 것은 인플레이션 환경에서도 최상위 계층의 임금 상승이 주춤했음을 의미한다. 이는 기술 업종 감원, 보너스 축소 등 거시경제 조정이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궁극적으로 “얼마를 버느냐” 못지않게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쓰고 투자하느냐”가 장기 재무 건전성을 결정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