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상위 1%’ 소득 계층이 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급여가 필요할까. 자산관리 전문 매체 고뱅킹레이트(GOBankingRates)가 미국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SA)의 2023년 임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간 79만4,129달러를 벌어야 1%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1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집계는 2023년 가장 최신 임금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됐으며, 매달 약 6만6,178달러, 주당 약 1만5,272달러의 소득이 요구된다. 특히 상위 1% 진입 기준 금액은 전년 대비 3.30% 하락해, 상위 1%가 하위 99%만큼의 임금 상승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상위 5%·10% 소득 기준도 함께 공개됐다. SSA 자료에 따르면 상위 5%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연 35만2,773달러, 상위 10%에 들어서려면 14만8,812달러의 연봉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연 15만 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급여만으로도 미국 전체 임금 근로자 중 10% 안에 들 수 있다는 의미다.
“상위 10% 진입 기준은 엘리트 1%와 달리 대중에게 도달 가능한 ‘현실적 목표’로 여겨진다.”
전문가들은 이렇게 분석하며 ‘6자리’(six figures) 연봉 달성과 지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州(주)별 상위 1% 기준, 최대 75만 달러 격차
같은 미국 내에서도 주(州)에 따라 1% 소득 기준은 큰 차이를 보였다. 고뱅킹레이트가 2021년 데이터를 인플레이션율에 맞춰 2024년 물가로 환산한 결과, 코네티컷 주는 연 119만2,947달러가 필요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매사추세츠(115만2,992달러), 캘리포니아(107만2,248달러)가 뒤를 이었다. 반면 웨스트버지니아는 43만5,302달러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상·하위 주간 격차는 무려 75만 달러 이상이다. 이는 주별 생활비, 주택 가격, 세율 차이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예컨대 뉴욕·캘리포니아처럼 대도시 중심 주는 높은 주거 비용과 소비 수준이 상위 1% 기준을 끌어올리는 반면, 미시시피·웨스트버지니아처럼 생활비가 낮은 주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계값을 보인다.
‘상위 1%’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상위 1%는 미국 전체 임금 근로자 가운데 상위 1%에 해당하는 소득 구간을 뜻한다. 상위 1%에 오르면 자산 증식·투자 기회가 넓어질 뿐 아니라, 세금·상속 등 재무 전략 측면에서도 고유의 과제가 생긴다. 특히 미국 세법은 누진 구조이기 때문에 높은 소득에 대한 최대 37%의 연방 소득세율이 적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사회보장국(SSA)은 미국 국민의 노후·장애·유족 보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연방기관으로, 매년 근로자 임금 데이터를 집계해 사회보장세(보험료) 부과 기준 등을 산정한다. SSA 자료는 개인 세금신고 기록을 기반으로 하며, 근로소득(W2)뿐 아니라 자영업 소득(SE)도 포함한다.
전문가 조언: 상위권 소득자의 자금 운용 4대 원칙
재무 컨설턴트들은 상위 소득자가 되더라도 ‘돈이 돈을 버는 구조’를 만들지 않으면 부는 지속될 수 없다고 경고한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4대 원칙은 △다각화된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소득 대비 적정 부채비율 유지 △세후(real) 수익률 극대화 △리스크 관리다. 특히 부동산·주식·채권·사모(PE) 등 자산군 전반에 걸친 적절한 분산 투자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해외 사례와의 비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상위 10% 소득 문턱은 연 약 8,300만원 수준으로, 달러 환산 시 6만 달러 남짓이다. 미국 14만8,812달러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이는 각국의 물가, 환율, 세제, 사회안전망 차이에 기인한다.
전문가들은 미국 ‘상위 1%’ 문턱이 글로벌 금융·IT 기업 집중, 주식·옵션 보상이 일반화된 보상 체계, 그리고 벤처 투자 생태계 등과 맞물려 상대적으로 높다고 설명한다.
기자의 시각
이번 자료는 상위 1% 진입 문턱이 일부 하락했더라도, 여전히 일반 근로자가 도달하기에는 큰 격차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또한 주별 생활비·세제·주택 가격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명목 임계값’만으로 부(富)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인플레이션 추이, 기술 산업의 임금 구조 변화 등이 상위 1% 기준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결론적으로, 연봉 79만4,129달러는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는 높은 세율, 복잡한 자산 구조, 가파른 생활비 등과 맞물린 ‘고소득자의 숙제’를 함축한다. 따라서 상위 1%를 목표로 한다면 단순 소득 증가뿐 아니라 세무·투자·위험관리 전략을 동시에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