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만의 BCOM 편입…코코아 선물 가격 급등

코코아 선물 가격이 1일(현지시간) 급등했다. ICE 뉴욕 12월물 코코아(CCZ25)는 전일 대비 93포인트(+1.54%) 오른 6,130달러에, ICE 런던 12월물 코코아(CAZ25)는 84포인트(+1.94%) 상승한 4,416파운드에 각각 마감했다.

2025년 11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블룸버그 상장지수상품 관리사(Bloomberg Index Services Ltd.)는 블룸버그 상품지수(BCOM)에 코코아를 20년 만에 다시 포함하기로 결정했으며, 편입 시점은 2026년 1월이다.

BCOM은 원유·금·옥수수 등 24개 내외 원자재로 구성된 세계적 벤치마크 지수다. 2024년 말 기준 BCOM을 추종하는 자금 규모는 1,090억 달러에 달한다. 코코아는 1.7% 비중으로 편입될 예정인데, 파생상품 전문 리서치 업체 피크 트레이딩 리서치(PT Research)는 “향후 80일 동안 약 19억 달러 규모의 코코아 선물 순매수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목

영국 파운드 급락·환율 효과

런던 시장에서 상승 폭이 확대된 배경에는 외환시장이 있다. 1일 파운드/달러(GBPUSD)는 6.5개월 만의 저점으로 떨어졌으며, 파운드 약세는 파운드화로 표시된 코코아 가격을 상대적으로 높여 수급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재고·생산·수출 동향

수급 측면의 호재도 겹쳤다. 1일 기준 ICE가 모니터링하는 미국 항만 재고는 181만 5,627포대로 7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계 최대 생산국 코트디부아르는 10월 1일 새 회계연도가 시작된 후 10월 26일까지 수출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21만 5,219t에 그쳤다.

초콜릿 기업 몬덜리즈는 최근 웨스트아프리카 열매 수 확인 결과가 5년 평균 대비 7% 높아 “지난해보다 현저히 양호하다”고 밝혔다. 주산지 아이보리코스트의 본격 수확이 막 시작됐으며, 현지 농가들도 품질에 낙관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ICE NY Cocoa Chart

주목

수요 둔화 경계감

다만 지난 두 달간 코코아는 8.75개월 최저치까지 밀렸던 바 있다. 가격 급등과 관세 부담이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서카나(Circana)에 따르면 북미 지역 초콜릿 캠디 판매량은 6월~9월 7일까지 21% 급감했다.

해외 분쇄(그라인딩) 지표도 부진하다. 아시아 코코아협회는 10월 17일 3분기 아시아 그라인딩이 전년 대비 17% 감소해 9년 만의 최저치인 18만 3,413t에 머물렀다고 발표했다. 유럽 코코아협회 역시 3분기 유럽 그라인딩이 10년 만 최저치인 33만 7,353t으로 4.8% 줄었다고 밝혔다.

허쉬 최고경영자(CEO)는 10월 31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2025년 할로윈 시즌 초콜릿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주요 산지별 공급 변수

세계 2위 생산국 가나의 상황은 상반된다. 8월 5주차까지 네 달 동안 가나 항만에 도착한 코코아는 5만 440t으로 전년 동기 1만 1,000t을 크게 상회해 가격 하락 압력을 가중했다. 반면 5위 생산국 나이지리아는 2025/26 시즌 생산이 11% 감소한 30만 5,000t으로 예상된다. 나이지리아 코코아협회는 “고령화 농가와 병해충 피해가 생산 차질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의 전망

ICCO는 5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년 세계 코코아 공급 부족이 49만 4,000t에 달해 60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추정했다. 생산은 4,380만t으로 13.1% 감소했고, 재고/소비(그라인딩) 비율도 27%로 46년 최저치로 떨어졌다. 다만 2024/25년에는 14만 2,000t 흑자를 예상하며, 생산이 7.8% 늘어난 4,840만t에 달할 것으로 봤다.

투자자 주의 및 면책

기사 작성자 리치 애스플런드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증권에 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는다.


용어 해설

BCOM(블룸버그 상품지수)는 1998년 도입된 ▲에너지 ▲금속 ▲농산물 등을 포함하는 시가총액 가중 상품지수다. 기관투자가들은 이를 추종하는 ETF·인덱스펀드를 통해 원자재에 간접투자한다. 편입 비중이 높아질수록 해당 품목의 선물을 자동 매수하는 구조라 가격에 영향을 준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미국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글로벌 선물거래소다. 뉴욕·런던·싱가포르에 코코아, 커피, 설탕 등 소프트 상품(Soft commodities) 선물을 상장 중이다.

그라인딩은 카카오 원두를 분쇄해 코코아매스·코코아버터를 추출하는 공정을 말한다. 분쇄량은 초콜릿 수요와 직결되는 핵심 지표다.

ICE London Cocoa Chart


전문가 시각

편입 효과 자체는 선반영됐다는 의견과 아직 매수세가 초기 단계라는 견해가 공존한다. 다만 불과 2년 만에 100% 이상 상승한 코코아 가격은 수요 파괴(demand destruction) 위험을 상존시킨다. 본격적인 인덱스 자금 유입이 시작되는 2026년 1월 이전까지, 재고 동향·통화가치·소비지 그라인딩 지표가 가격 변동성을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