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주목받은 옵션 거래: Avis Budget, 펩시코, 헤이워드 홀딩스

화요일 러셀3000 지수 구성 종목 옵션 거래 대량 발생

미국 증시 옵션 시장에서 거래량이 평소보다 크게 증가한 종목이 다수 포착됐다. 특히 렌터카 업체 Avis Budget Group Inc.(티커: CAR), 글로벌 음료·스낵 기업 PepsiCo Inc.(티커: PEP), 그리고 수영장 장비 제조사 Hayward Holdings Inc.(티커: HAYW)가 큰 관심을 끌었다.

2025년 10월 2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세 종목 모두 최근 한 달 평균 주식 거래량을 웃도는 100% 이상의 옵션 거래량을 기록했다. 옵션 시장 참여자들은 장기 만기 콜·풋옵션에 집중적으로 베팅하며 향후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1) Avis Budget Group(CAR): 200달러 콜옵션에 집중

이날 CAR 종목의 전체 옵션 거래량은 9,439 계약으로 집계됐다. 이는 기초주식 약 943,900주에 해당하며, 최근 30일 평균 주식 거래량(736,360주)의 128.2%에 달하는 수치다.

주목

특히 $200 행사가콜옵션(만기 2026년 1월 16일)에서 1,410 계약이 체결됐다. 이는 기초주식 약 141,000주에 해당하며, 공격적인 상승 베팅으로 해석된다.

CAR 12개월 차트


2) PepsiCo(PEP): 135달러 풋옵션 폭증

PEP 종목의 총 옵션 거래량은 78,941 계약으로, 기초주식 약 7.9 백만주 규모다. 이는 최근 30일 평균 주식 거래량(7.2 백만주)의 109.6%로 집계됐다.

가장 눈에 띈 계약은 $135 행사가 풋옵션(만기 2026년 1월 16일)으로, 무려 40,030 계약이 거래됐다. 이는 약 4.0 백만주에 해당하며, 하락 리스크에 대비하려는 수요가 한꺼번에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주목

PEP 12개월 차트


3) Hayward Holdings(HAYW): 16달러 콜옵션 매수세

HAYW 종목은 15,046 계약이 거래돼, 기초주식 약 1.5 백만주 규모를 나타냈다. 이는 최근 한 달 평균 주식 거래량(1.5 백만주)의 102.2%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이 가운데 $16 행사가 콜옵션(만기 2025년 11월 21일)에서 6,021 계약(약 602,100주)이 체결돼 눈길을 끌었다. 해당 행사가가 최근 주가 대비 소폭 높은 점을 고려하면, 중기 상승 모멘텀을 기대하는 투자자가 적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HAYW 12개월 차트


옵션·지수 용어 풀이

콜옵션(Call Option)은 특정 기초자산을 미래 일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매수할 권리를 뜻한다. 투자자는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 콜옵션을 매수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레버리지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반대로 풋옵션(Put Option)은 미래에 정해진 가격으로 주식을 매도할 권리로, 주가 하락에 대비하는 헤지(위험회피) 수단으로 활용된다.

러셀3000 지수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상위 3,000개 기업을 시가총액 기준으로 편입한 광범위 지수다. 대형주부터 소형주까지 미국 주식 시장 전반의 움직임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며, 기관투자자의 벤치마크로 자주 쓰인다.

또한 옵션 한 계약은 일반적으로 기초주식 100주에 대응한다. 따라서 CAR의 1,410계약은 141,000주, PEP의 40,030계약은 4,003,000주와 같은 방식으로 환산된다.


시장 해석 및 전문가 의견*

“장기 만기 옵션에 대규모로 자금이 몰렸다는 점은 투자자들이 단기적 변동성보다는 2년 내외의 중장기 흐름에 베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장 일각에서는 CAR의 200달러 콜 매수를 “포스트 팬데믹 여행 수요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해석한다. 반면 PEP의 135달러 풋 대량 매수는 “치솟는 원가 부담과 소비 둔화 우려”를 반영한 방어적 포지션으로 읽힌다. HAYW의 16달러 콜 거래 증가는 “주택 개·보수 수요 회복에 따른 수혜 기대”로 연결된다.

다만 옵션 거래량 급증이 반드시 주가 방향성을 담보하지는 않는다. 시장 전문가들은 “알고리즘·고빈도 트레이더가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집중시켰을 가능성”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본 기사에 포함된 분석 및 평가는 공시된 거래 데이터에 기반한 기자의 객관적인 해석이다.


종합 전망

세 종목 모두 평소 대비 100% 이상의 옵션 거래량을 기록하며 개인·기관의 관심이 동시에 유입된 모습이다. 대규모 장기 옵션 포지셔닝이 이어질 경우, 해당 종목들은 실적 발표·거시 변수에 따라 단기간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는 옵션 프리미엄·만기·거래량뿐만 아니라 기초주식의 펀더멘털을 함께 점검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