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소 선물 강세 출발…비육우가 상승세 주도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소 선물 시장이 30일(현지시간) 화요일 개장과 함께 전반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특히 비육우(Feeder Cattle) 선물이 선두에서 상승 흐름을 견인하며, 옥수수 선물 가격이 약보합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2025년 9월 30일, 나스닥닷컴이 인용한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생우(Live Cattle) 10월물은 전일 대비 30~60센트 상승했고, 비육우 10월물은 3.40달러 급등했다. 거래소 밖 현물(cash) 시장에서는 이번 주 아직 본격적인 매매가 이뤄지지 않은 채 대기 물량(showlists)만 집계되고 있다. 직전 주 북부 지역 현물 가격은 1백 파운드(약 45.4㎏)당 232~235달러, 남부 지역은 235~237달러에서 마감됐다.

옥수수 선물 가격이 소폭 하락하면서 사료비 부담이 다소 완화된 점이 비육우 선물의 랠리를 뒷받침했다. CME 비육우 지수(Feeder Cattle Index)는 9월 26일 기준 2.57달러 오른 367.61달러를 기록했다. 오클라호마시티(OKC) 현지 주간 경매에서는 4,496마리가 거래됐으며, 비육우는 보합에서 3달러 하락, 송아지는 5~10달러 하락한 가격대에 낙찰됐다.

주목

USDA(미국농무부) 쇠고기 도매가격 지표도 주목할 만하다. 화요일 오전 집계에서 초이스(Choice)급 박스비프는 파운드당 370.63달러로 0.05달러 하락했고, 셀렉트(Select)급은 2.03달러 떨어진 346.83달러를 기록했다. 두 등급 간 가격차(Chc/Sel 스프레드)는 23.80달러까지 벌어졌다. 연방 검사 대상 도축(head) 물량은 월요일 113,000마리로, 전주 대비 3,000마리 늘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 6,928마리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Oct25 Live Cattle 차트

다음은 30일 종가 기준 주요 선물 가격이다.

단위: 1백 파운드(약 45.4㎏)당 달러

  • 2025년 10월물 생우: 231.650달러 (+0.325)
  • 2025년 12월물 생우: 234.425달러 (+0.600)
  • 2026년 2월물 생우: 236.725달러 (+0.500)
  • 2025년 10월물 비육우: 359.600달러 (+3.400)
  • 2025년 11월물 비육우: 357.550달러 (+3.675)
  • 2026년 1월물 비육우: 351.100달러 (+3.750)

용어 해설 및 시장 의미

• 비육우(Feeder Cattle): 체중 600~800파운드(약 270~360㎏)의 중·대형 송아지를 뜻하며, 도축 전 사육 시설로 이동돼 사료를 집중 급여하는 단계의 가축이다. 곡물 가격과 직접적으로 연동되기 때문에 옥수수 선물 변동이 비육우 선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주목

• CME 비육우 지수: 주요 현물 경매장의 비육우 평균가를 가중평균해 산출한 지수로, 비육우 선물 최종 결제 가격 산정의 기준이 된다.

• Choice/Select 박스비프 스프레드: 고급육인 Choice 등급과 중간 등급인 Select 간 가격 차이로, 쇠고기 수급 상황과 소비자 선호를 반영하는 지표다. 스프레드가 커지면 고급육 수요가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뜻이다.


기사 작성자인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됐으며, 투자 자문이 아님을 명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 공시 정책(Disclosure Policy)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