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된 실적 속 뉴욕증시 소폭 하락 마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18일(현지시간) 혼조된 2분기 실적과 헬스케어 섹터 약세에 눌리며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0.01% 하락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32%, 나스닥100 지수는 -0.05% 밀렸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10% 하락했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장 초반까지는 주택 지표 호조와 양호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S&P500과 나스닥100이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으나, 넷플릭스·헬스보험주 약세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EU 관세 발언이 투자심리를 억눌렀다.

S&P500 intraday chart
넷플릭스(NFLX)는 연간 영업이익률 전망치(29.5%)가 시장 컨센서스(29.7%)에 못 미친다는 소식에 5% 넘게 급락하며 기술주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헬스보험 대장주인 몰리나 헬스케어(MOH)가 -10% 급락한 것을 비롯해 유나이티드헬스(UNH)·시브이에스(CVS) 등도 2~3% 하락해 지수를 끌어내렸다.


무역 리스크 재부상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EU와의 무역협상에서 15~20% 최소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EU 집행위 마로슈 셰프초비치 통상담당 부위원장은 워싱턴에서 열린 회담 결과를 EU 대사들에게 보고하며 “협상 전망이 밝지 않다”고 평가해 시장에 부정적 재료로 작용했다.

경제 지표가 보여준 경기 회복 신호

미 상무부가 발표한 6월 주택착공은 전월 대비 4.6% 증가한 132만1,000호로 시장 예상치(130만호)를 상회했다. 건축허가도 전월 대비 0.2% 늘어난 139만7,000호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미시간대 7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1.8로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예상치(61.5)를 웃돌았다.

연준 완화 시그널로 채권금리↓

전날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2%) 근처에 근접했고 상방 위험도 제한적이므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0.25%p) 인하를 지지한다”고 발언했다. 이 영향으로 10년물 국채수익률은 2bp 내린 4.43%에 마감했다.

FOMC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다. E-미니 선물은 CME거래소에서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축소한 주가지수 선물 계약이며, T-노트는 만기 2~10년 미국 국채를 말한다.


트럼프발 관세 공세 확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150여 개국에 10~15% 일괄관세 부과 서한을 예고했고, 8월 1일부터 EU·멕시코산 제품에 30% 관세, 캐나다 일부 제품에 35% 관세를 적용할 것이라 밝혔다. 또한 구리 반제품에는 50%, 제약사 해외 생산품에는 최대 200%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7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 9월 회의에서는 58%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 은행好·보험株 부진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2분기 S&P500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할 전망으로, 실적 시즌 돌입 전 예측치(2.8%)를 상회한다. 그러나 11개 섹터 중 6개만 이익 증가가 예상돼 2023년 1분기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은행주 대표로 시티·JP모건 등은 호실적을 내놓았지만 보험주 약세가 이를 상쇄했다. 휴마나(HUM)는 메디케어 보너스 삭감 소송에서 패소했고, 이로 인해 주가는 1% 넘게 빠졌다.


해외 증시·채권동향

유럽 Stoxx50은 -0.33%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50%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2.5주 최고치에서 -0.21% 되돌림을 보였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95%로 2bp 상승했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684%로 1.5개월 만의 최고치다. 유로존 5월 건설생산은 전월 대비 -1.7% 급감해 2년 반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주요 개별 종목 등락

  • 넷플릭스 -5%: 영업이익률 전망 하향.
  • 몰리나 헬스케어 -10%: 보험 섹터 최약체.
  • 3M -3%: 올해 유기적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 2%로 축소.
  • 사렙타 테라퓨틱스 -36%: 유전자 치료제 시험 중 사망 사례 추가.
  • 탈렌 에너지 +24%: 펜실베이니아·오하이오 가스 화력발전소 35억 달러 인수.
  • 인베스코 +15%: QQQ 트러스트 개방형 전환 추진.
  •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7%: 순이자수익 서프라이즈.

다음 주 주요 실적 일정(7월 21일)

버라이즌(VZ), 도미노피자(DPZ), 앨릭산드리아 리얼에스테이트(ARE), NXP반도체(NXPI) 등 16개 기업이 실적을 내놓을 예정이다.

본 기사를 작성한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는 기사 작성 시점 기준 기명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2025 Barch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