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버라—호주 정부가 전국 대형마트에서 판매된 수입 기저귀 속에서 카프라 딱정벌레(khapra beetle) 유충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해충은 저장 곡물을 갉아먹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악명이 높아, 국내 곡물 저장시설로 확산될 경우 호주 180억 호주달러(미화 약 120억 달러) 규모 곡물 산업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5년 9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호주 농업·수산·산림부(DAFF)는 9월 7일 뉴사우스웨일스주(NSW)에서 처음 신고를 접수한 뒤, 수입업체·유통업체와 공조해 해당 기저귀의 회수·격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줄리 콜린스 농업장관은 호주 공영방송 ABC와의 인터뷰에서 “총 2,000개 상자 중 약 1,500개를 추적해 확보했으나, 아직 시중에 남아 있는 제품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그는 “해충이 국내에 정착하기 전에 완전히 회수·박멸하겠다”고 강조했다.
카프라 딱정벌레는 무엇인가*1
카프라 딱정벌레는 인도 원산으로 몸길이 3mm 안팎의 갈색 바구미류다. 애벌레(larvae) 단계는 4.5mm까지 자라며 황갈색에 털이 많아 ‘털애벌레’로도 불린다. 곡물·콩류·견과류 등 저장 식품을 갉아먹어 분진과 껍질 조각을 남기고, 심하면 식품 전체를 폐기해야 한다. 미량이라도 오염이 확인되면 수입국들이 즉각 통관을 거부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은 해당 해충을 검역 최우선 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유통 경로 및 회수 현황
유충이 발견된 제품은 ‘리틀 원스 울트라 드라이 내피 팬츠 워커 5호’(Little One’s Ultra Dry Nappy Pants Walker Size 5)이며, 이는 호주 최대 슈퍼마켓 체인 울워스(Woolworths)가 단독 판매하는 기저귀다. 제품 공급사는 벨기에 제조업체 온텍스(Ontex)로 확인됐다. 울워스 측은 해당 제품의 미판매 재고를 즉각 철수·격리했으며, 이미 구매한 소비자에게는 “제품을 밀봉한 후 당국에 신고해 달라”고 권고했다.
온텍스는 18일 성명을 통해 “제조 단계에서 유충이 유입됐다는 증거는 없다”면서 “시드니 이스턴크리크 공장 및 물류창고 가동을 잠정 중단하고 전면 점검 중”이라고 밝혔다.
곡물 산업에 미칠 파장
호주는 전 세계 주요 밀·보리·수수 수출국으로, 곡물 산업 규모만 연간 180억 호주달러에 달한다. 농업부는 “카프라 딱정벌레가 정착할 경우, 교역 상대국이 호주산 곡물·식품 전반에 대해 수입 금지나 검역 강화 조치를 취해 연쇄적 경제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뉴사우스웨일스 농민단체(NSW Farmers)의 자비에 마틴 회장은 “가축 질병 ‘구제역’에 필적하는 재앙이 될 수 있다”며 “정부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조기 박멸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가 이 해충을 억제·근절하지 못한다면, 피해 규모는 상상을 초월할 것” — 자비에 마틴 NSW Farmers 회장
정부 대응 및 소비자 행동 지침
농업부는 ‘National Khapra Beetle Eradication Program’을 가동해 ▲제품 회수 ▲창고 및 운송 컨테이너 소독 ▲소비자 신고센터 운영 등을 진행 중이다. 관계자는 “유사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밀봉해 1800-959-400번으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문가 시각
해충·병해 전문가들은 카프라 딱정벌레가 고온·건조 환경에서 번식력이 뛰어나 ‘경작지 침투’보다 ‘저장시설 잠입’이 더 위험하다고 지적한다. 호주처럼 내륙 물류 거점에 수천 톤 규모 사일로가 집중된 국가는 초기 소규모 침입을 간과할 경우 빠르게 전국적 확산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곡물 수출에 의존하는 농가 비중이 높아, 국제 곡물 가격 변동과 연계된 경제적 충격도 배가될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팬데믹 이후 컨테이너 해상 물류량 증가와 검역 인력 부족이 맞물려 해충·병해 유입 리스크가 상승했다”며, 항만·터미널 차원의 선제적 모니터링 강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1 카프라 딱정벌레(Dermestes khapra 또는 Trogoderma granarium)는 국제식물보호협약(FAO IPPC)에서 ‘가장 위험한 저장 해충’으로 지정한 종으로, 알·유충·성충 모두 곡물 및 건조 식품을 섭취한다. 저항성이 매우 강해 살충제 처리에도 생존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