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최대ㆍ3위 시중은행,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 동반 인하
호주 시가총액 1위 은행인 커먼웰스은행(Commonwealth Bank of Australia, CBA)과 3위 은행 웨스트팩뱅킹(Westpac Banking Corp)이 기준금리 인하 직후 표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Standard Variable Home Loan) 금리를 각각 25bp(basis point·0.25%p) 낮추기로 결정했다.
2025년 8월 12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두 은행의 이번 조치는 호주중앙은행(RBA)이 전날 이틀 일정의 통화정책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현금금리, Cash Rate)를 3.85%에서 3.60%로 25bp 인하한 데 따른 것이다.
RBA는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와 노동시장 완화 흐름을 감안해 통화 완화를 단행했지만, 향후 추가 완화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을 유지한다”
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CBA의 인하분은 8월 22일부터 적용되며, 웨스트팩은 8월 26일부터 동일 폭을 반영한다. 이번 결정은 2025년 들어 세 번째 RBA 기준금리 인하를 추종한 것으로, 최근 수년간 고점까지 올랐던 차입비용이 완만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 시각: 순이자마진 압박 vs. 대출 성장 촉진
금융시장 애널리스트들은 대출 금리 인하가 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에 단기 부담을 줄 수 있지만, 경기 둔화 국면에서 주택 수요 회복과 대출 성장률 개선을 통해 장기적으로 수익성 방어에 기여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부동산 가격 조정이 한계를 드러내고 실질 가처분소득 개선 기대가 커지는 상황에서, 조달금리 하락분을 적극적으로 대출금리에 반영함으로써 시장점유율을 방어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엿보인다.
용어 풀이 및 배경
표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은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함께 조정되는 상품으로, 주요 시중은행의 모(母)금리 역할을 한다. 호주 주택대출 시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며, RBA 결정에 금융소비자가 체감하는 금리 변동이 신속히 반영되는 특징을 가진다.
bp(베이시스포인트)1bp = 0.01%p는 중앙은행·금융시장에서 금리 변동 폭을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한 단위다. 예컨대 ‘25bp 인하’는 금리가 0.25%p 낮아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시장 반응 및 전망
이번 발표 직후 호주채권시장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40% 수준으로 반영하며 10년물 국채수익률이 소폭 하락했다. 반면, ASX 금융주 지수는 장 초반 약보합세를 보였다가 낙폭을 줄이는 흐름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완화와 중국 경기부양책 등 외부 변수까지 감안할 때, RBA가 올해 안에 추가 완화에 나설 가능성은 있지만 그 속도·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 실제로 RBA는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를 면밀히 관찰하겠다”며 물가 안정 재확인을 우선순위로 제시했다.
실물경제 및 가계 영향
가계부채 비중이 높은 호주에서는 변동형 대출이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약 70%를 차지한다. 따라서 0.25%p 금리 인하는 연간 수천 호주달러의 이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이는 가계 소비 여력 확대와 부동산 거래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일부 주택시장 컨설팅업체는 “절대 금리수준이 여전히 역사적 평균보다 높은 만큼, 대출자 입장에서는 상환계획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은행별 일정 및 세부 조정 내역
CBA는 8월 22일부터 모든 신규·기존 표준 변동형 주택대출에 25bp 인하를 적용한다. 웨스트팩은 8월 26일 동일 조정 폭이 반영되며, 법인·투자용 상품에도 동시 적용된다.
두 은행은 공식 성명을 통해
“고객의 부담을 신속히 경감하고 책임 있는 대출 관행을 이어가겠다”
고 밝혔다.
기자 관전평
이번 동시 인하는 RBA와 시중은행 사이의 정책 전달 메커니즘이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NIM 축소와 자본규제 강화가 맞물리면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압박이 가시화될 수 있다. 결국 은행들은 수수료 기반 비이자 수익 확대와 디지털 뱅킹 고도화를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호주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DTI(총부채소득비율) 규제 등을 재정비할 경우 금리 인하 효과가 부분적으로 상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2025. 본 기사 내용은 원문(Reuters)을 번역·재구성한 것이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