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물·선물 시장에서 소값 랠리 지속, 사상 최고가 경신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비육우(라이브 캐틀) 선물 가격이 30일(현지시간)에도 급등세를 이어가며 전월물 전 구간에서 3달러 이상 상승, 사상 최고가를 다시 썼다. 특히 8월물은 전장 대비 3.350달러 오른 233.075달러에 마감되며 심리적 저항선으로 거론되던 230달러대를 단숨에 돌파했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현물(캐시) 시장에서도 캔자스주(KS) 거래 가격이 전주 대비 3~5달러 오른 $235에 형성돼 선물 시장 랠리에 힘을 보탰다. 텍사스주(TX)와 KS를 대상으로 중앙스톡야드(Central Stockyards)가 운영하는 Fed Cattle Exchange 온라인 경매에서는 오전에 출품된 1,526두 가운데 215두가 $237에 체결됐다.

피더 캐틀(Feeder Cattle) 선물 역시 2.60~2.75달러 올라 다수 월물이 장중 340달러 선 위로 치솟았다가 종가는 소폭 낮춘 338~339달러대에 안착했다. 비육 전 단계 송아지·육용우를 의미하는 피더 캐틀 지수(CME Feeder Cattle Index)는 7월 29일 기준 0.83달러 오른 333.03달러로 집계됐다.


도축 및 도매 지표

미 농무부(USDA)가 발표한 도매 ‘박스드 비프(Boxed Beef)’ 가격은 이날 오후 보고서에서 다시 하락했다. 선호 부위인 초이스(Choice) 박스 가격은 2.20달러 내린 361.99달러, 세컨드 그레이드인 셀렉트(Select)는 1.57달러 빠진 340.91달러였다. 이에 따라 초이스·셀렉트 간 가격차(스프레드)는 21.08달러로 좁혀졌다.

USDA 잠정 집계 기준 이날 미국 전체 소 도축 두수는 112,000두로, 주간 누적 333,000두를 기록했다. 이는 전주 대비 2,000두 증가했으나 전년 같은 주와 비교하면 24,395두 적다.


선물 종가 현황(단위: 달러/100파운드, 전일 대비)

비육우(라이브 캐틀)
Aug 25 : 233.075 (▲3.350)
Oct 25 : 229.725 (▲3.275)
Dec 25 : 229.900 (▲3.150)

피더 캐틀
Aug 25 : 338.950 (▲2.750)
Sep 25 : 339.750 (▲2.675)
Oct 25 : 338.550 (▲2.650)

August Live Cattle 차트

August Feeder Cattle 차트


용어·시장 동향 해설

박스드 비프(Boxed Beef)’는 정육업체가 특정 중량·규격으로 잘라 포장한 쇠고기를 말한다. 도매 단계 지표로서 소값(생체)과 소매가(구이용) 사이 전반적인 수급을 가늠하는 선행 신호로 간주된다. ‘Fed Cattle’은 사료를 집중적으로 먹여 출하 직전 살을 찌운 비육우이고, ‘Feeder Cattle’은 체중 600~800파운드의 중간 단계 가축을 가리킨다. 두 상품 모두 CME에 상장돼 있으며 헷지·투기 수요가 활발하다.

최근 소값 강세 배경에는 가뭄 장기화로 인한 암소 도축 증가 → 송아지 생산량 감소라는 구조적 공급 부족이 있다. 여기에 미국 독립기념일(7월 4일) 이후 바비큐 성수기가 끝나면서 수요 둔화가 나타날 것이란 우려도 있었으나, 도축 두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나면서 가격은 오히려 상승세를 굳혔다는 분석이다.

전문가 시각과 향후 전망

시카고의 한 선물 중개업체 관계자는 “선물 가격이 급등했음에도 현물 거래가 동반 강세를 보인 만큼, 단기 조정이 나오더라도 구조적 타이트(공급 부족) 환경이 지속되면 240달러 선 안착 시도도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계절적 비수기가 다가오는 만큼 미국 경제지표 부진, 소비심리 둔화가 겹칠 경우 박스드 비프 가격 조정이 선물 시장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됐다.


저작권·투자 고지

본 기사는 투자 참고용 일반 정보이며, 작성자인 오스틴 슈로더는 기사 게재 시점에 언급된 상품에 대해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세부 사항은 바차트(Barchart) 공개정책(Disclosure Policy)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