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로이터)—네일 매켄지(Nell Mackenzie)와 아니르반 센(Anirban Sen) 발(發) 보도에 따르면, 주식 트레이더를 포함한 헤지펀드가 2025년 10월 말까지 연초이후(YTD) 기준 13%를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의 11월 3일자 고객 노트 및 각 펀드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의 전언을 종합한 결과이며, 대형 멀티스트래티지 헤지펀드 다수의 성과를 소폭 앞서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2025년 11월 7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10월 한 달 동안 주식 선별형(stock pickers) 헤지펀드의 성과는 +1.75%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S&P 500 지수가 +2.3% 상승한 것에는 다소 미달했으며, 섹터 및 종목 선택의 변별력이 성과 차이를 좌우한 것으로 해석된다.
“과밀 트레이드(crowded trades), 헬스케어·기술주에 대한 집중 투자, 그리고 변동성이 10월의 긍정적 수익에 보탬이 됐다.”—골드만 삭스, 11월 3일자 고객 노트
골드만 삭스는 이어 헤지펀드가 2개월 연속 글로벌 주식 비중을 확대했으며, 개별 종목에 대한 장기적 낙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섹터별 성과에서는 기술이 10월 가장 돋보였고, TMT(기술·미디어·통신) 특화 펀드는 +2.1%를 기록했다. 헬스케어 특화 펀드는 5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으며, 10월에만 +8.4% 급등했다.
다만, 그 이후 기술주에는 압박이 가해졌고, 기술주 비중이 높은 주식시장은 금요일 기준으로 최근 7개월 중 가장 큰 주간 하락으로 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는 10월 호조 이후 단기 모멘텀 둔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스타일·전략별 성과 차도 확인됐다. 10월은 시스템매틱(systematic) 펀드와 퀀트(quant) 펀드에 도전적인 달이었다. 숏 포지션(공매도) 노출이 일부 손실 요인으로 작용하며 성과에 부담을 줬다.
반면, 시스템 전략을 활용하는 거래를 포함한 매크로 펀드는 전반적으로 더 나은 수익을 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는 월가 상위 3대 프라임 브로커리지 중 한 곳의 임원이 익명을 전제로 고객 성과에 대해 설명한 내용이다.
골드만 삭스는 또, 더 큰 베팅 사이즈로 집행된 거래와 미국·중국에서의 포지션이 주식 선별형 및 시스템매틱 펀드 모두에 손실을 초래한 구간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는 리스크 예산 확대가 단기 변동성 국면에서 수익 변동을 키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운데, 대형 멀티스트래티지 헤지펀드인 시타델(Citadel), 밀레니엄 매니지먼트(Millennium Management), 발야스니 애셋 매니지먼트(Balyasny Asset Management) 등도 10월 플러스 성과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해당 사안에 정통한 인사들의 설명에 따른 것이다.
핵심 포인트 정리해설
1) 연초이후(YTD) 성과: 주식형을 포함한 헤지펀드는 2025년 10월 말 기준 +13%대 이상을 달성했다. 이는 대형 멀티스트래티지 펀드의 평균을 소폭 상회하는 흐름으로, 종목 선별력과 섹터 배분이 유효했음을 시사한다.
2) 10월 월간 성과: 주식 선별형은 +1.75%로, S&P 500의 +2.3%에는 미치지 못했다. 벤치마크 대비 언더퍼폼이지만, 종목·테마 집중에 따라 성과 분화가 컸음을 의미한다.
3) 섹터 수익률: TMT 특화 펀드 +2.1%, 헬스케어 특화 펀드 +8.4%(5개월 연속 플러스). 과밀 트레이드 및 변동성이 수익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4) 전략별 차별화: 시스템매틱·퀀트는 숏 노출 탓에 역풍을 맞았고, 매크로는 비교적 양호했다. 미국·중국에서의 대형 베팅은 일부 손실을 유발했다.
5) 대형 멀티스트래티지: 시타델·밀레니엄·발야스니 등도 10월 플러스를 기록했다는 소식통 전언이 나왔다.
용어 해설참고
헤지펀드Hedge Fund: 다양한 전략으로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를 의미한다. 레버리지, 롱·숏, 파생상품 등 폭넓은 도구를 활용한다.
주식 선별형(스톡 피커)Stock Picker: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 분석을 바탕으로 종목을 고르는 전략으로, 롱숏 구조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시스템매틱/퀀트Systematic/Quant: 정량 모델과 알고리즘에 기반해 신호대로 거래하는 전략을 말한다. 감정 개입 최소화가 특징이다.
매크로 펀드Global Macro: 금리, 환율, 원자재, 주가지수 등 거시 변수에 대한 톱다운 포지셔닝으로 수익을 노린다.
과밀 트레이드Crowded Trades: 다수의 자금이 같은 방향으로 쏠린 포지션을 뜻한다. 청산 시 변동성 확대를 유발할 수 있다.
프라임 브로커리지Prime Brokerage: 헤지펀드에 증거금 대출, 주식대차, 거래 중개 등을 제공하는 대형 투자은행의 서비스 라인이다.
TMTTech, Media, Telecom: 기술·미디어·통신을 묶은 섹터 분류다. 성장주 성격이 강하며 경기·금리 민감도가 높다.
맥락과 함의분석
이번 집계는 10월 기준으로 헬스케어와 기술이 헤지펀드 수익 견인차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헬스케어 특화 펀드의 +8.4% 급등과 5개월 연속 플러스는 테마 지속성을 시사하지만, 보도에 따르면 그 이후 기술주에는 압박이 가해져 주간 기준 7개월래 최대 하락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는 전략·섹터 간 성과 분산과 시기별 변동성의 상호작용을 재확인시키는 대목이다.
또한, 숏 노출은 상승장 구간에서 성과를 깎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대형 베팅은 기여도와 위험을 동시에 확대한다. 골드만 삭스가 지적했듯 미국·중국 관련 포지션은 특정 시점에 손실로 작용했다. 한편, 매크로가 비교적 선전했다는 평가와 시타델·밀레니엄·발야스니 등 멀티스트래티지의 플러스 성과는 전략 다변화가 유효했음을 방증한다.
정리하면, 10월 헤지펀드 지형은 섹터 회전, 포지션 과밀도, 변동성이 수익을 가르는 핵심 축이었고, 연초이후 성과는 여전히 +13%대로 견조하다. 다만, 단기 기술주 압력과 숏·대형 베팅 리스크는 향후 성과 변동의 잠재 요인으로 남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