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 에너지·상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3명이 T모바일(T-Mobile US Inc.)이 트럼프 조직(Trump Organization)과 추진 중인 신규 이동통신 서비스 ‘트럼프 모바일(Trump Mobile)’ 제휴에 대해 공식 문제를 제기했다.
2025년 7월 23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들 의원은 마이크 시버트(Mike Sievert) T모바일 최고경영자(CEO)에게 서한을 보내 파트너십의 구체적 내용과 잠재적 이해충돌 여부를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했다.
서한은 프랭크 팔론(Frank Pallone) 하원 의원(위원회 민주당 간사)을 비롯해 같은 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두 명의 공동 명의로 7월 23일(현지시간) 발송됐다.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재직 중인 상황에서 T모바일이 트럼프 조직과 사업을 영위하는 것은 미국 국민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이해충돌을 야기할 것”이라는 문구가 포함돼 있다.
의원들은 499달러(약 65만 원)로 책정된 자체 브랜드 스마트폰을 포함해 트럼프 모바일 서비스 출시 일정, 판매 구조, 수익 배분 방식 등 일체의 세부 정보를 요구했다. 특히 정부 정책·규제에 직·간접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기업과 대통령 일가 간 계약이 적절한 윤리적 장치 없이 성사될 경우, 사익 추구와 정책 왜곡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해충돌(Conflict of Interest)은 공직자 또는 공공기관과 연관된 인물이 사적 이익을 얻기 위해 공식 직무를 이용할 가능성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행정부 윤리 규정에 따라 대통령 본인과 가족이 관여된 사업이 연방 정부와 거래하거나 공공 정책과 연계될 때 엄격한 감시를 받는다.
이번 사안의 쟁점은 두 가지다. 첫째, T모바일이 연방 통신위원회(FCC) 등 정부 기관의 규제를 받는다는 점이다. 둘째, 트럼프 조직이 브랜드 이름을 직접 사용해 통신 요금제·단말기를 판매하므로, 대통령 가족의 경제적 이익이 통신 정책 결정과 얽힐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의원들은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치권 압박이 단기적으로 T모바일 주가에 불안 요인이 될 가능성을 언급한다. 한편, 트럼프 조직 입장에선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지지층을 대상으로 ‘충성형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유·무형의 지렛대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T모바일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 관측통들은 통신사와 대통령 일가 간 거래가 진행될 경우, 의회 청문회 또는 연방 윤리국(Office of Government Ethics) 조사가 뒤따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현재 T모바일은 미국 3대 이동통신사 가운데 하나로, 2024년 매출 780억 달러를 기록했다. 경쟁사 버라이즌(Verizon)과 AT&T처럼 5G 투자 확대에 집중하고 있으나, 정치적·윤리적 이슈가 불거질 경우 규제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모바일의 구조*신규 서비스
이동통신 서비스는 MVNO(모바일 가상망 사업자) 형태로 추정된다. MVNO는 물리적 망을 소유하지 않고 기존 통신사 망을 빌려 요금제를 판매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트럼프 조직이 T모바일의 무선 주파수·인프라를 임대해 브랜드만 별도 운영하는 모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점에서 MVNO 파트너십 자체는 드문 사례가 아니다. 그러나 현직 대통령과 직계 가족 기업이 참여한다는 점은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정치적 특수성 때문에 기업 거버넌스 및 규제 투명성에 대한 투자자 요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서한을 주도한 프랭크 팔론 의원은 2019년에도 AT&T의 타임워너 합병 과정에서 반독점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그는 “통신·미디어 업계는 공공재 성격이 강하므로 회색 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검증이 필수”라고 수차례 강조해 왔다.
전문가 시각에 따르면, 만약 T모바일이 의회 질의에 불성실하게 대응하거나 윤리 검증 절차를 간소화하려 한다면, 주주 행동주의 펀드가 이사회 개입을 시도할 여지도 있다. 이는 곧 기업 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경영진의 신중한 대처가 요구된다.
한편, 트럼프 조직은 2021년 이후 부동산 외에도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 등 브랜드 확장 전략을 이어 왔다. 이동통신 진출은 이 같은 다각화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향후 전망
정치권 질의서는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답변 미제출 시 청문회 소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T모바일은 법규 준수·윤리성 검증 등을 강조하며 적극 해명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투자자들은 정치 리스크가 5G 투자와 고객 성장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향후 주가 변동성과 옵션 프리미엄 상승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번 사안은 ‘기업과 정치 권력의 이해충돌’이라는 고전적 과제를 재조명한다. 통신·미디어 산업의 공공성, 그리고 최고 권력과 민간 기업 간 계약의 투명성이 얼마나 보장될 수 있는지가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