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ea Peter Lynch Strategy Daily Upgrade Report]
투자 리서치 업체 발리디아(Validea)가 피터 린치(Peter Lynch) 전략에 따라 산출한 중·소형주 업그레이드 목록을 6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캐봇(Cabot Corp·CBT), 셈러 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SMLR), 숄스 테크놀로지스 그룹(Shoals Technologies Group·SHLS) 등 세 종목이 90% 이상의 고득점을 기록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발리디아의 ‘P/E(주가수익비율)·성장(PEG) 투자자 모델’은 기업의 실적 성장률 대비 주가 수준이 합리적인지와 재무 건전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통상적으로 점수 80% 이상이면 매수 관심 대상으로, 90% 이상이면 강력 매수 후보로 간주된다.
1. 캐봇 코퍼레이션 — 화학 산업의 중형 가치주
CBT는 화학 제조(일명 스페셜티 케미컬) 업종의 미드캡(Value) 종목이다. 이번 점수는 74%에서 93%로 19%p 급등했다. 캐봇은 카본 블랙·퓨미드 실리카·에어로젤 등 고성능 소재를 전 세계에 공급하며, 사업부는 ‘Reinforcement Materials’와 ‘Performance Chemicals’ 두 갈래로 나뉜다.
“재고 대비 매출(INVENTORY TO SALES)·PEG·EPS·부채비율 등 핵심 지표에서 모두 PASS를 받았고, 자유현금흐름(FCF)과 순현금 부문은 ‘중립(NEUTRAL)’이었다.”
리포트는 특히 1지속적인 타이어·자동차 수요에 힘입어 E2C(Engineered Elastomer Composites) 솔루션이 성장 동력으로 부각된다고 평가했다.
2. 셈러 사이언티픽 — 의료기기 소형 가치주
SMLR은 의료 장비 및 소모품 업종의 스몰캡이다. 점수가 0%에서 단숨에 93%로 뛰며 ‘깜짝 업그레이드’를 기록했다. 대표 제품 ‘콴타플로 (QuantaFlo)’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말초동맥질환(PAD) 조기 진단 기기다. 센서 클램프를 손가락 또는 발가락에 부착하면 혈류 파형을 즉시 분석해 심혈관계 사망·MACE* 위험을 예측한다.
*MACE: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주요 심혈관 부작용)를 뜻하는 의료 통계 용어다.
발리디아 모델은 셈러 사이언티픽이 PE·매출 비율을 제외한 대부분의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진단했다. 회사는 또한 비트코인을 재무 자산으로 채택해 재무 다각화를 시도 중이다.
3. 숄스 테크놀로지스 그룹 — 재생에너지 소형 성장주
SHLS는 전자 제어·계측 부문에서 태양광 EBOS(전기 Balance of System) 솔루션을 제조한다. 이번 점수는 87%에서 91%로 상승하며 90%대를 돌파했다. EBOS는 태양광 패널이 생산한 전력을 2인버터를 거쳐 그리드로 전달할 때 필요한 케이블·커넥터 등 핵심 부품군을 말한다.
숄스의 주력 제품은 ‘솔라 BLA(Big Lead Assembly)’, ‘콤바이너 박스’,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며, 최근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 솔루션을 추가해 시장을 확대 중이다. 리포트는 PEG·재고 회전·EPS 성장률·부채비율에서 호평했으나, 자유현금흐름은 개선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피터 린치 전략이란 무엇인가
피터 린치는 1977~1990년 피델리티 매젤런 펀드를 운용하며 연평균 29.2% 수익률을 달성해 ‘월가의 전설’로 불렸다. 그가 강조한 핵심 원칙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라”는 상식적 접근이다.
린치 전략의 지표 구성은 1) PEG(주가수익성장비율), 2) EPS 성장, 3) 재고/매출, 4) 부채비율, 5) FCF 등이다. PEG는 1 이하일수록 저평가로 해석된다. 발리디아는 이들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해 0~100% 점수를 산정한다.
전문가 시각 및 시장 함의
최근 연준의 통화 완화 기대와 미국 장단기 금리 하향 안정이 가치·성장 혼합 전략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캐봇처럼 실물·소재주는 공급망 재편 흐름에서 시클리컬 반등이 예상된다. 의료·IT 융합을 표방하는 셈러는 디지털 헬스케어 테마와 비트코인 노출로 변동성이 높지만, 고령화 시대의 구조적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숄스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보조금 수혜로 미국 태양광 설치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EBOS 시장의 ‘픽앤드 셔블(Picks & Shovels)’ 수혜주로 지목된다.
다만 세 종목 모두 자유현금흐름 및 순현금 지표가 ‘중립’으로 표기된 만큼, 금리 재반등 시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특히 소형주는 유동성 위축 시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므로, 분할 매수·적정 포트폴리오 비중 관리가 요구된다.
발리디아와 참고 링크
발리디아는 워런 버핏·벤저민 그레이엄·마틴 츠바이그 등 ‘투자 구루’ 모델 포트폴리오를 추적·제공하는 구독형 리서치 플랫폼이다. 이번 보고서는 각종 추가 리포트(‘Guru Analysis’, ‘Factor Report’) 링크를 함께 제시해 투자자들이 심층 자료를 검토하도록 돕고 있다.
※ 본 문서에 제시된 의견은 기사 작성자의 견해이며 나스닥 (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