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피츠버그 남쪽 교외 클레어턴(Clairton)에 위치한 U.S. 스틸 코크스 공장에서 대형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제철 산업의 핵심 공정 중 하나인 코크스 생산 설비에서 폭발과 함께 화염이 치솟으면서 10여 명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현장에서는 소방대원들이 맹렬한 화염과 짙은 검은 연기를 뚫고 진화 작업을 벌였다. 클레어턴 시(市) 리치 라탄치(Rich Lattanzi) 시장은 기자들에게 “대략 12명 가까운 인원이 심각한 상처를 입은 것으로 보이며, 한 명이 실종된 것으로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
구급차·경찰·언론이 곳곳을 가득 메웠다. 클레어턴에 최악의 날이 찾아왔다. 피해가 눈에 보이는 것보단 덜하길 기도한다
”고 말했다.
앨러게니 카운티 대변인 애비게일 가드너(Abigail Gardner)는 “현재까지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인력이 무너진 구조물에 매몰됐다는 신고가 잇따르면서 구조대가 투입돼 수색에 나섰다.
코크스 공장이란?※제철 필수공정
코크스(Coke)는 석탄을 고열·무산소 상태에서 가열해 휘발 성분을 제거한 뒤 얻는 고체 연료다. 제철 공정에서 철광석과 함께 용광로에 투입돼 쇳물 온도를 높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만큼 생산 과정은 고압·고열 위험이 뒤따르며, 화재·폭발 가능성이 상시 존재한다.
이번 사고가 난 클레어턴 코크 웍스(Clairton Coke Works)는 U.S. 스틸이 1900년대 초부터 운영해 온 북미 최대 규모의 코크스 공장 중 하나다. 특히 지난해 말 일본 닛폰제철(Nippon Steel)이 U.S. 스틸을 인수하며 미국 산업 경쟁력과 해외 자본의 첨예한 이해관계를 상징하는 시설로 주목받아 왔다.
당국·정치권 대응
펜실베이니아주 조시 샤피로(Josh Shapiro) 주지사는 X(구 트위터)에 “주 정부가 현지 당국과 긴밀히 협조 중”이라며 “현장은 여전히 위험하니 주민들은 당국 지시에 따를 것”을 당부했다.
이처럼 주 정부 수장이 즉각 개입한 것은,① 제철·철강산업이 펜실베이니아 경제의 동맥이기 때문이며,② 유해 배출물 확산 시 인근 수만 명의 호흡기 건강을 위협할 수 있어서다.
전문가 시각과 구조 전망
산업안전 컨설턴트 마이클 셰퍼드는 “코크스 공정 폭발이 일어나면 잔불·가스 재폭발 위험이 크다”며 “구조대는 화재 진압과 동시에 가스 농도·열원·붕괴 위험을 계측해가며 진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노후 설비 관리·노동 안전·환경 규제라는 삼중 과제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U.S. 스틸은 최근 5년간 클레어턴 공장에서만 3건 이상의 화재·가스 누출 사고로 벌금과 민사 합의를 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닛폰제철 인수가 확정된 만큼 자본·운영 구조가 전환되는 과도기에 안전투자 공백이 발생했을 가능성
을 지적한다.
향후 일정
당국은 화재 원인 조사와 산업안전보건국(OSHA) 등 연방 기관 합동 조사를 예고했다. 조사가 본격화되면 ①설비 결함 여부 ②작업 절차 준수 ③긴급 대응 매뉴얼이 핵심 점검 대상이 될 전망이다.
지역 주민들은 폭발 후 발생한 미세먼지·황산가스·벤젠 등 유해 물질이 대기·하천으로 퍼질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대기 중 독성 농도가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대피령·휴교령 등 추가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현재까지 집계된 부상자 수는 지속적으로 변동되고 있으며, 병원 응급실은 화상·흡입 손상 환자 치료를 위해 지역 외과·흉부외과 전문의를 긴급 소집한 상태다.
기자 해설
피츠버그는 20세기 초 ‘강철 도시(Steel City)’로 불리며 미국 제조업의 상징적 도시로 군림했다. 하지만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과 환경 규제 강화로 쇠퇴의 길을 걸었고, 최근 첨단 제조·친환경 산업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폭발 사고는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전통 제조업의 구조적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특히 닛폰제철의 U.S. 스틸 인수는 미·일 양국 간 산업 파트너십 강화를 상징하지만, 안전 관리·노조 관계·환경 책임 등 복합 과제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자본과 지역사회 간 긴장을 부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고는 미국의 산업안전 규제 체계가 여전히 허점을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인수·합병(M&A) 과정에서 노후 공정 현대화 투자가 지연될 경우, 현장 노동자와 지역사회가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는다는 교훈이 재확인됐다. 정부·기업·노동계가 함께 위험평가·투명성과 정부 감독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