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베를린] 유럽연합(EU)이 대외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인도를 비롯한 주요 신흥국과의 포괄적 무역협정 체결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5년 9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은 같은 날 독일 경제계 지도자들과의 회의 자리에서 “연말 이전에 인도와의 협상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전날(17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가진 전화 통화에서 “양측 모두 연내 타결을 목표로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유럽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전략적 자율성(strategic autonomy)을 확보하려면 공급원 다변화가 필수”라며,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 변화가 EU로 하여금 전통적 교역 파트너를 넘어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게 만들었다고 진단했다.
<배경 설명>
• 수입 관세(import tariffs)란 외국 상품이 자국 시장에 들어올 때 부과되는 세금으로, 관세가 높아지면 해당 품목 가격이 상승해 교역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 EU는 미국·중국 중심의 무역 구조에 대한 “과도한 편중”을 줄이기 위해, 2022년 이후 ‘오픈 전략적 자율성(Open Strategic Autonomy)’을 핵심 정책 기조로 채택했다.
위원장은 이어 “EU는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말레이시아·아랍에미리트(UAE) 등과도 협정 초안을 논의 중”이라며, 이러한 복수 협상이 “경제적 충격 완충장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는 단일국가나 단일 지역에 종속되지 않는 가치 사슬을 구축해야 한다.”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전문가 분석> 본지 취재진이 복수의 통상 전문가에게 확인한 결과, EU·인도 간 협정이 체결되면 EU 자동차·의료기기·재생에너지 기업은 14억 인구 시장에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진출할 수 있고, 인도는 기술·투자 유치 측면에서 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디지털 서비스세(DST) △농산물 관세 △지식재산권 보호 등 민감 의제가 남아 있어 세부 문구 조율이 변수로 남아 있다.
또한 글로벌 관세 환경이 ‘블록화’ 양상으로 전개되는 상황에서 EU의 다자적 협정 전략은 중장기적으로 주력 산업의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용어 정리>
• 전략적 자율성(Strategic Autonomy) : 공급망·국방·에너지 등 핵심 영역에서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고 정책 독립성을 확보하려는 EU의 장기 전략.
• 다각적 무역 협정 : 기존 양자 협정 외에 복수 국가가 참여하는 협상으로, 시장 접근성과 규제 조화 수준이 높다.
한편, 집행위는 올해 11월 브뤼셀에서 열릴 EU-인도 정상회담을 ‘사실상 마감 시한’으로 설정한 상태다.
취재·정리 │ Investing.com Korea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