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완화적(도비시) 신호를 보낸 데 힘입어 일제히 급등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1.52% 급등한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89% 뛰어오르며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도 1.54% 상승했다.
2025년 8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고용 시장의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통화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의 발언 후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1주일 만의 최저치(4.24%)로 떨어졌고, 연방기금선물시장에서 9월 29~30일 FOMC 회의 때 25bp(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은 기존 71%에서 81%로 급등했다.
■ 주요 지수·선물 동향
• S&P500(E-Mini 9월물) +1.52%
• 나스닥100(E-Mini 9월물) +1.55%
• 10년 만기 T노트 수익률 -7.2bp(4.256%)
• 독일 10년물 국채 -3.5bp(2.722%)
• 영국 10년물 국채 -3.7bp(4.693%)
“실업률이 안정적이지만 위험 균형이 변화하고 있다. 정책금리가 제약적 수준에 있는 만큼 통화정책 기조를 재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같은 날 보스턴 연은의 수전 콜린스 총재는 “성장은 둔화되고 있지만 경제 기초 체력은 견조하며, 인플레이션에 상방 위험이 남아 있다”며 다소 매파적(호크시) 입장을 내놨다.
■ 미·러·우크라 평화협상 동향
미국의 벤스 부통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과 러시아가 점유하지 않은 영역까지 포함한 영토 문제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회담을 추진 중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성사가 되면 삼자 정상회담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관세 확대 조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부터 오토바이·자동차 부품·가구·식기류 등 400여 개 소비재에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확대 적용했다. 그는 반도체에 최대 100%~300% 관세를 예고하며, 미국 내 생산 기업에는 면제를 약속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은 15.2%로 뛰어 2024년(2.3%) 대비 6배 이상으로 높아진다.
■ 기업 실적·수급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S&P500 2분기 순이익 증가율이 9.1% 전년 동기 대비로, 시즌 전 기대치(2.8%)를 크게 웃돌았다고 집계했다. 94%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82%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1) 반도체 섹터 강세
• ON세미컨덕터 +6%
• 글로벌파운드리즈, 인텔 +5% 이상
• NXP, 마이크로칩 +4% 이상
• AMD·TI·마벨·ASML·퀄컴 +2% 이상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 업황 회복 기대와 파월 의장의 금리 인하 시사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2) ‘매그니피센트 7’ 메가캡 기술주
테슬라 +6%·구글·아마존 +3%·메타 +2%·애플·엔비디아 +1%↑·마이크로소프트 +0.59% 등 대형 기술주가 동반 상승해 지수 상승 폭을 키웠다.
3) 여행·레저 및 주택 관련주
• 노르웨이지안·아메리칸항공·알래스카에어 +7% 이상
• 카니발·델타·로열캐리비안 +6% 이상
• 10년물 금리 하락 덕에 주택 건설주(빌더스퍼스트소스 +8%, 모호크 +7% 등)가 강세를 보였다.
4) 개별 종목 이슈
• 통신 섹터 부진: AT&T·T-모바일 -2%↓, 버라이즌 -1%↓
• 인튜이트 -5%: 2026회계연도 실적 가이던스 실망
• 줌 +12%: 2분기 매출 $12.2억 → 컨센서스 상회, 2026년 매출 전망 상향
• 유비퀴티 +29%: 4분기 매출 $7.59억 → 예상치($6.21억) 웃돌아
■ 국채·금리 시장
10년물 T노트 선물은 19틱 상승, 수익률은 4.256%로 7.2bp 급락했다. 파월 발언으로 연준의 9월 인하 가능성(81%)이 급등하며 채권 가격을 끌어올렸다. 반면, 10년 기대인플레이션(BEI)은 2.421%로 3주 최고치를 기록해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하다.
유럽 국채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3.5bp 급락해 2.722%를 기록했고,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759%에서 4.693%로 내려섰다. 한편, 독일의 2분기 GDP 성장률은 이전 발표(-0.1% q/q)보다 낮은 -0.3% q/q로 하향 수정됐다.
■ 용어 설명*
* bp(베이시스 포인트)는 0.01%p를 의미하며, 25bp는 0.25%p다.
*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로, 보통 연 8회 열린다.
* 잭슨홀 회의는 전 세계 중앙은행 총재들이 매년 8월 미국 와이오밍주에 모여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행사다.
■ 향후 일정
연방기금선물은 10월 28~29일 FOMC에서 두 번째 25bp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 중이다. 8월 25일 예정된 HEICO, NAPCO, PDD, 셈텍 등 주요 기업 실적에도 시장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실제로 9월에 금리를 내린다면 주택·성장주·원자재 등 금리 민감 종목의 랠리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인플레이션 재가열과 관세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