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지수 급등] 달러 인덱스(DXY)가 29일(현지시간) 2주 만에 최고치로 상승하며 0.62% 오른 채 마감했다. 글로벌 교역 긴장 완화, 특히 미국-한국 간 선박 건조 투자·관세 상한 합의와 중국산 제품 관세 인하 기대가 성장 전망을 지지했다.
2025년 10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과 한국은 이날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업 투자 및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를 15%로 제한하는 최종 합의를 발표했다. 동시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 문제 해결을 전제로 중국산 제품 관세를 낮출 가능성
을 시사해 시장의 위험선호를 높였다.
이러한 추세에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25bp(0.25%p) 인하해 3.75%~4.00% 구간으로 조정하고, 12월 1일부로 양적 긴축(QT) 종료를 예고했다. 그러나 제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12월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foregone conclusion가 아니다).”
라고 강조하며 매파적(통화 긴축적) 신호를 보냈다. 그 결과 달러 매수세가 강화됐다.
1. 연준의 정책 결정과 시장 기대
연준 성명서는 최근 몇 달간 고용의 하방 위험이 커졌다
면서도 인플레이션은 연초 대비 상승했으며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
이라고 평가했다. 파월 의장의 경고로 연방기금선물시장은 12월 회의에서 69% 확률로 추가 25bp 인하를, 2026년 말까지 총 72bp 인하(4.12%→3.40%)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한편 미국 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될수록 성장 둔화와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진다는 점은 달러에 잠재적 부담으로 남아 있다. 9월 미국 잠정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변화가 없으며(+0.0%) 시장 기대치(+1.2%)를 하회해 경기 우려를 부각시켰다.
2. 외환시장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달러 강세에 0.60% 하락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사실상 금리 인하 사이클을 마감한 반면, 연준은 2026년까지 1%p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어 통화정책 차별화가 이어지고 있다. 스와프시장은 ECB가 10월 30일 회의에서 25bp 인하할 확률을 불과 1%로 보고 있다.
달러/엔(USD/JPY)은 0.56% 상승했다. 일본 국채 수익률이 파월 발언 후 급등하면서 엔화 매도 압력이 강해졌다. 같은 날 일본 10월 소비자신뢰지수는 35.8로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엔화에 단기 호재로 작용했으나, 전반적 통화정책 전망은 엔화 약세 방향으로 기울었다. 시장은 이번 주 일본은행(BOJ)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50%로 동결할 확률을 86%로, 인상 확률을 14%로 본다.
3. 귀금속·원자재 시장
12월물 COMEX 금은 1온스당 17.60달러(+0.44%), 은은 0.589달러(+1.24%) 상승하며 전일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FOMC 발표 전 숏커버링이 유입된 덕분이다. 그러나 파월 의장의 매파 발언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자, 시간외 거래에서 금 가격은 온스당 40달러 이상 급락했다.
최근 미국-중국 간 잠정 합의 발표, S&P500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등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감소하면서 금·은 가격은 3주 및 1개월 저점 부근에서 압박을 받았다. 동시에 금·은 상장지수펀드(ETF) 보유량도 각각 3년·3.25년 최고치에서 감소세로 전환돼 기술적 매도 요인이 강화됐다.
4. 미·중·한 통상 뉴스가 환율·상품시장에 미치는 영향
주말 말레이시아 협상에서 미국·중국 대표단은 희토류 수출 제한 1년 유예, 미국산 대두 대량 구매, 선적비용 개선, 펜타닐 전구체 단속 등에 잠정 합의했다. 스티븐 베슨트 재무장관은 11월 1일 예정됐던 대중 100% 관세가 사실상 철회됐다
고 밝혔다. 이는 APAC 정상회의 기간 트럼프·시진핑 회담에서 최종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에서는 해당 합의가 달러의 안전통화 프리미엄을 일부 약화시켜왔으나, 파월 의장의 강경한 인플레이션 방어 의지가 달러 랠리를 재점화했다고 평가한다. 결국 단기 환율 방향성은 연준의 ‘추가 인하 여부’와 미·중·한 통상 리스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될 전망이다.
5. 용어 설명
DXY: 1973년 뉴욕선물거래소(ICE)에서 산출하기 시작한 달러 인덱스로, 유로·엔·파운드·캐나다달러·스웨덴크로나·스위스프랑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 변동을 가중평균해 표시한다.
양적 긴축(QT): 중앙은행이 보유자산(주로 국채·MBS)을 매각하거나 만기 상환분을 재투자하지 않아 대차대조표를 축소함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이다. 12월 1일 종료는 사실상 유동성 공급 확대(완화)로 해석된다.
펜타닐: 강력한 합성 아편계 진통제로, 미국 내 약물 과다복용 사망 증가의 주원인이다. 미국은 중국발 펜타닐 및 전구체 수출 제한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6. 기자의 시각
이번 FOMC 결과는 ‘금리 인하 싸이클이 끝나지 않았다’는 점과 동시에 ‘속도 조절에 착수했다’는 두 메시지를 동시에 담고 있다. 파월 의장의 한 마디가 달러, 국채, 금·은 등 복합자산 가격에 연쇄 충격을 주는 현실은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중·한 삼각 무역 변수가 달러 지수, 원자재 가격, 아시아 통화의 상관관계를 뒤흔들고 있다. 한국 투자자라면 Fed 추가 인하 베팅만으로는 환율·자산 가격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정부 셧다운과 대선 국면까지 겹치면, 11~12월 외환·금융시장은 변동성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요컨대 달러 롱 포지션은 파월의 매파 발언이 이어지는 동안 상대적 우위를 유지하겠지만, 미·중 협상 진전이나 미국 경기 지표 급락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당한 되돌림이 불가피하다. 환 헤지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