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매파 발언에 뉴욕 증시 혼조 마감

■ 뉴욕 3대 지수, 금리 전망 경계 속 엇갈린 흐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SPX)는 30일(현지시간) 전장 대비 -0.12% 하락한 채 거래를 마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38% 떨어져 1주 반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반면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16% 상승 마감했다.

선물 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 선물(ESU25)은 -0.09% 밀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19% 올랐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이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조하며, 최근 관세 인상 움직임이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고 있어 현재의 다소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적절하다”

고 밝힌 직후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4.37%까지 5bp 상승했고, 이에 따라 주식시장은 장중 상승분을 반납했다.


■ 경기 지표 탄탄… 그러나 금리 인하 기대는 후퇴

장 초반에는 미국 경제의 건전성 신호에 힘입어 매수세가 유입됐다. 민간 고용동향을 보여주는 7월 ADP 고용지표가 +10만4,000명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7만6,000명)를 웃돌고, 2분기 국내총생산(GDP)도 전기 대비 연율 +3.0%로 컨센서스(+2.6%)를 상회해 미국 경기 회복세가 확인됐다.

같은 날 개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9대2의 표결로 기준금리(연 4.25~4.50%)를 동결했다. *보우먼·월러 이사는 금리 인하에 찬성하며 1993년 이후 처음으로 이사 2명이 동시 반대 의견을 냈다.

FOMC 성명서는 “순수출 변동성이 여전히 크지만, 최근 지표는 상반기 경제활동 성장세가 둔화된 것으로 시사한다”며 경제 평가를 한 단계 낮췄다.


세부 경제·주택 지표

2분기 핵심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기 대비 +2.5%를 기록해 예상치(+2.3%)를 상회했다. 6월 주택 매매계약(펜딩 홈세일즈)은 전월 대비 -0.8%로 시장 기대치(+0.2%)를 빗나갔다.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7월 25일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는 -3.8% 감소했다. 30년 고정금리 평균은 6.83%로 1bp 하락했으나 여전히 7%에 근접한 수준이다.

재무부는 분기별 차환(리펀딩) 계획에서 “향후 수 개 분기 동안 중·장기 국채 발행 규모를 동결하고, 2026년까지는 초단기물 발행 비중을 늘려 재정적자를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 관세 변수 확대… 트럼프 전 대통령 ‘8월 1일 데드라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인도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아울러 “러시아산 에너지 도입분에 추가 요금제를 적용할 것”이라며 관세 폭을 15~50%로 상향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시장에서는 8월 1일까지 추가 무역협상 타결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 선물은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 47%, 10월 회의에서 36%를 각각 반영 중이다.


주간·월간 경제 이벤트 캘린더

7월 31일(목)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3,000건으로 6,000건 증가하고, 2분기 고용비용지수(ECI)가 분기 대비 +0.8%로 예상된다. 6월 개인소비는 +0.4%, 개인소득은 +0.2% 증가 전망이다.

또한 6월 근원 PCE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로 예측되며, 7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2.0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8월 1일(금) 발표되는 7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10만9,000명, 실업률은 4.2%로 각각 상승이 예상된다. 7월 제조업 ISM 지수는 49.5,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1.8로 전망된다.


■ 2분기 어닝시즌 ‘피크 위크’ 돌입

이번 주 S&P500 기업의 38%가 실적을 내놓는다. 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는 30일 장 마감 후, 애플·아마존은 31일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기준, 2분기 S&P500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가운데 82%가 시장 추정치를 상회했다.


■ 해외 증시 및 금리 동향

유럽 유로 Stoxx 50 지수는 +0.26% 상승, 중국 상하이종합 지수는 9.5개월 만의 최고치로 +0.17% 올랐다. 일본 닛케이225는 -0.05% 소폭 하락했다.

유로존 10년물 독일 분트 금리는 -0.3bp(2.706%) 내렸고, 영국 길트 10년물은 1주 내 최저치(4.575%)를 기록하며 -3bp 하락했다. 유로존 2분기 GDP는 전기 대비 +0.1%, 전년 대비 +1.4%로 예상치를 상회했다.

한편 스와프 시장은 9월 유럽중앙은행(ECB) 25bp 인하 확률을 14%로 반영하고 있다.


■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

체크포인트소프트웨어(CHKP) -14%: 2분기 조정 EPS(2.37달러)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매출 성장 둔화 우려 부각.
엔테그리스(ENTG) -14%: 2분기 조정 총마진 44.6%로 컨센서스(45.1%) 하회.
IDEX(IEX) -11%: 연간 EPS 가이던스 하향(7.85~7.95달러) 발표.
올드도미니언(ODFL) -9%: 2분기 EPS 1.27달러로 예상(1.29달러) 밑돌아.
트레인 테크놀로지스(TT) -8%: 매출 부진.
GE 헬스케어(GEHC) -7%: “하반기 중국 지역 수요 둔화 전망” CEO 발언.
몬덜리즈(MDLZ) -6%: 북미 유기적 매출 -3.4%, 예상 -1.8% 하회.
팔로알토네트웍스(PANW) -5%: 사이버아크 250억달러 인수 합의.

제너랙(GNRC) +19%: 매출 서프라이즈(10.6억달러)·이익률 가이던스 상향.
테러다인(TER) +18%: EPS 0.57달러(예상 0.54달러) 기록.
휴마나(HUM) +12%: EPS 6.27달러로 시장(5.74달러) 상회, 연간 가이던스 상향(17달러).
마벨테크놀로지(MRVL) +7%: 모건스탠리 목표가 80달러로 상향.
벙지글로벌(BG) +5%: EPS 1.31달러로 예상(1.11달러) 상회.
일렉트로닉아츠(EA) +5%: 순예약 13억달러(예상 12.4억달러) 달성.


■ 용어·개념 해설

E-미니 선물: 시카고상업거래소(CME)가 거래하는 소형 주가지수 선물계약으로, 대형 선물 대비 계약 단위가 1/5 수준이어서 개인·기관 모두 유동성 있게 활용한다.

ADP 고용지표: 민간 급여업체 ADP가 발표하는 비농업 부문 고용 변동치로, 공식 고용보고서(NFP) 발표 전 노동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선행 지표로 인식된다.

코어 PCE: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에서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핵심 물가지표로, 연준이 목표물가 결정 시 선호하는 지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