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매파’ 기조 재확인에 뉴욕증시 혼조 마감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12% 하락한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16% 상승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0.38% 떨어져 1주일 반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9% 하락,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19% 상승했다.

2025년 7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hawkish)’ 발언이 투자 심리를 냉각시키며 장 초반의 오름세가 둔화됐다. 그는 “노동시장은 견조하며, 관세 인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면서 “현재의 다소 긴축적인 정책 스탠스가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5bp 오른 4.37%로 급등했고, 주식시장은 차익 실현 매물에 밀려 혼조세로 돌아섰다.

장 초반까지는 미국 경기 회복세를 확인하는 지표가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7월 ADP 민간고용10만4,000명 증가해 월가 예상치(7만6,000명)를 큰 폭 웃돌며 4개월 만의 최대폭을 기록했다. 또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잠정치는 연율 3.0% 성장해 예상치(2.6%)를 넘어섰다.

인플레이션 위험이 잔존하며 추가 관세가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고 있어 섣부른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다.”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9 대 2로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동결했다. 그러나 보우먼·월러 이사가 금리 인하에 찬성하며 1993년 이후 처음으로 이사 2명이 동시 반대 의견을 냈다. FOMC 성명서는 “경제 활동 증가는 상반기 동안 완화(mod­er­ated)됐다”고 평가하며 기존의 ‘견고했다(solid)’는 표현을 삭제해 성장 전망을 소폭 낮췄다.

물가·주택·소비 지표도 엇갈렸다. 2분기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전기 대비 +2.5%로 전망치(2.3%)를 상회했다. 6월 미결 주택매매는 전월 대비 -0.8%로 예상(+0.2%)을 빗나갔고, 같은 주 MBA 모기지 신청 건수는 -3.8% 감소했다. 30년 고정 모기지 평균금리는 6.83%로 소폭 하락했다.

재무부는 분기 환매계획에서 “향후 수 분기 동안 중·장기국채 발행 규모를 동결하고 2026년까지 단기증권 비중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는 재정 적자를 단기물 발행으로 메우겠다는 의미다.

무역정책 측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인도산 제품에 25% 관세를 예고하며,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에 대한 “추가 벌칙”도 시사했다. 나아가 7월 16일 발표한 ‘150개국 대상 일괄 관세’ 계획의 최저 세율을 15%로 상향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번 주 핵심 일정으로는 8월 1일까지의 무역협상 타결 여부가 주목된다. 7월 31일(목)에는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예상 22만3,000건), 2분기 고용비용지수(+0.8%), 6월 개인소득·지출, 근원 PCE 및 시카고 PMI가 발표된다. 8월 1일(금)에는 7월 비농업부문 고용(+10만9,000명), 실업률(4.2%), 평균 시간당 임금 등이 공개되며, 7월 ISM 제조업과 미시간대 소비심리도 예정돼 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47%, 10월 회의에서는 36%로 반영하고 있다.

실적 시즌 본격 돌입

이번 주는 S&P 500 종목의 38%가 실적을 발표해 전주 대비 두 배 규모다. ‘매그니피션트 7’로 불리는 빅테크 중 MS·메타가 7월 30일 장 마감 후, 애플·아마존이 7월 31일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3분의 1이 결산을 마친 가운데 82%가 순익 전망을 상회하며 2분기 전체 EPS 성장률+4.5%로 사전 예상(2.8%)을 웃돌고 있다.

해외 증시도 엇갈렸다. 유로스톡스 50은 +0.26% 올랐다.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최고치+0.17% 상승했고, 일본 니케이225는 -0.05% 하락했다.

채권시장 동향

9월물 미 국채 10년물 선물 가격은 11.5틱 하락했고 수익률은 4.370%로 5bp 올랐다. 장중 한때 3.5주 만의 저점(4.313%)에서 반등했으며, 견조한 고용·GDP 지표가 매도세를 부추겼다.

유럽에서는 10년 만기 독일 분트 수익률이 0.3bp 내린 2.706%, 영국 길트 수익률은 3bp 하락한 4.603%로 1주일 만의 저점이다. 유로존 2분기 GDP는 +0.1%(q/q)·+1.4%(y/y)로 예상을 상회했고, 7월 경기신뢰지수도 5개월 만의 최고치인 95.8을 기록했다.

스왑시장은 9월 11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14%로 반영 중이다.

용어 설명※투자자 참고

  • FOMC: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로, 연 8회 정례회의를 통해 금리·유동성 정책을 결정한다.
  • E-미니 선물: S&P 500, 나스닥100 등 지수를 소형 계약단위로 거래하는 파생상품이다.
  • 근원 PCE 물가지수: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에서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지표로,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측정 기준이다.
  • ADP 고용보고서: 민간 부문 고용 변화를 월 초에 발표해 정부의 비농업부문 고용 지표를 예측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주요 개별 종목

하락
체크포인트소프트웨어-14%, 엔테그리스-14%, 아이덱스-11%, 올드도미니언프레이트라인-9%, 트레인테크놀로지스-8%, GE헬스케어-7%, 몬델리즈-6%, 팔로알토네트웍스-5% 등.
상승
제너락홀딩스+19%, 테러다인+18%, 휴마나+12%, 마벨테크놀로지+7%, 번지글로벌+5%, 일렉트로닉아츠+5%, 익스팬드에너지+4%, 엣시+2% 등.

다음 발표 예정 실적에는 애플(AAPL), 아마존(AMZN), 마스터카드(MA),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Y) 등 50여 개 기업이 포함돼 있다.

본 기사 작성일 현재, 필자 Rich Asplund는 언급된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문서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