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완화적 발언으로 뉴욕 3대 지수가 일제히 급등했다.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S&P500지수는 +1.62%,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93%, 나스닥100지수는 +1.81% 상승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선물(ESU25)은 +1.5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1.75% 올랐다.
이날 시장을 뒤흔든 촉매는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이었다. 파월 의장은 “실업률의 안정세 덕분에 정책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며 “위험 균형이 바뀌고 있어 통화정책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1주일 만에 최저치인 4.25%까지 밀렸고, 9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은 발언 전 71%에서 90%로 급등했다.
① 용어 해설: ‘E-미니 선물’과 ‘bp’
E-미니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소형 지수선물 계약이다. 표준 계약보다 규모가 작아 개인 투자자도 접근하기 쉽다. 1bp(basis point)는 0.01%p로, 25bp는 0.25%p에 해당한다.
② 연준 인사 발언 엇갈려…콜린스 총재는 ‘매파’
보스턴 연은의 수전 콜린스 총재는 “미국 경제 성장세는 둔화 중이지만 기초체력은 견조하다”며 “물가 상방 위험과 고용 하방 위험이 공존한다. 현재의 다소 제약적인 통화정책은 적절하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적(완화적) 메시지와 대비돼 ‘매파(긴축 선호)’ 발언으로 해석됐다.
③ 지정학·무역 변수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위한 협상도 주목받았다. 미국 빈스 부통령은 “안전보장과 영토 문제가 핵심 쟁점”이라며 “푸틴·젤렌스키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이 진전되면 3자 정상회의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무역 측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오토바이·자동차 부품 등 400여 소비재로 확대 적용했다. 또 반도체에 최대 100% 관세를 검토 중이며, 미국 내 생산으로 이전하는 기업에는 예외를 둘 방침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계획이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④ 채권·해외 시장 동향
9월물 10년 국채선물(ZNU5)은 17틱 상승, 수익률은 전일 대비 5.6bp 하락한 4.2716%를 기록했다. 유럽 채권시장도 동반 강세를 보였으며 10년 독일 국채금리는 –2.8bp, 영국 길트금리는 –2.2bp 하락했다. 독일 2분기 GDP는 전기 대비 –0.3%로 하향 수정됐다.
유럽 스톡스50 지수는 5개월래 최고치로 +0.67%,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최고치로 +1.45% 상승 마감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1.5주 만의 저점을 회복하며 +0.05%로 마쳤다.
⑤ 종목별 등락 — ‘반도체·주택건설주 강세’
반도체 업종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MCHP)·온세미컨덕터(ON)·NXP(NXPI)가 6% 이상 뛰었고, 글로벌파운드리즈(GFS)가 5%대, ARM·마벨(MRVL)·인텔(INTC)이 4%대 급등했다. 램리서치(LRCX)·마이크론(MU)·TI(TXN)·ADI·ASML도 3% 이상 상승했다.
10년물 금리 하락으로 주택건설 및 건축자재 주가도 들썩였다. 빌더스퍼스트소스(BLDR)는 S&P500 상승률 1위(+8%), 모호크인더스트리(MHK)는 +7%를 기록했다. 레너(LEN)·펄티(PHM)·DR호튼(DHI)·톨브러더스(TOL)가 5%대 상승했다.
그 외 유비쿼티(UI)는 예상치 상회 매출로 +19%, 줌커뮤니케이션스(ZM)는 가이던스 상향으로 +9% 급등했다. 반면 인튜이트(INTU)는 2026 회계연도 이익 전망이 기대에 못 미치며 –5% 하락, CSX는 BNSF와의 합작 발표에도 –4% 약세를 보였다.
⑥ 시장 전망과 전문적 통찰
“금리가 실질적으로 제한적 수준을 넘어선 만큼, 9월 인하는 시기 문제일 뿐 확률 문제는 아니다”
라는 견해가 월가에서 힘을 얻고 있다. 필자는 미국 10년물 수익률이 4% 초반대로 추가 하락할 경우, 주택·소비 관련 섹터에 자금 유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본다. 다만 철강·반도체 관세 확대와 같은 무역 불확실성이 인플레이션 기대를 다시 자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연준이 실제로 2차례 연속 인하(9월·10월)를 단행할지 여부가 향후 시장 변동성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또한 기업 실적 측면에서 2분기 S&P500 EPS 성장률이 +9.1%로 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한 점은 긍정적이다. 93%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3%가 예상치를 상회했다는 점도 주가 상승의 기초체력을 강화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완화적 연준’과 ‘견조한 실적’이라는 쌍두마차가 당분간 위험자산 랠리를 견인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매파적 발언, 관세 리스크, 지정학 변수 등 반전 요인도 상존해 동시에 리스크 관리가 필수라는 점을 투자자들은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