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NBC 시트콤 ‘더 오피스’를 본 시청자라면, 주인공 마이클 스콧이 만회할 수 없는 어음에 서명한 뒤 “I declare bankruptcy!”라고 외치는 장면을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파산은 그렇게 한마디 외친다고 이뤄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은 파산이 눈에 띄게, 한순간 눈사태처럼 닥치는 사건이라고 오해한다.
2025년 8월 10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파산·부채 전문 변호사 애슐리 모건(Ashley Morgan)은 “파산 위험을 알리는 신호는 생각보다 훨씬 미묘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 버지니아주 허든(Herndon)에 소재한 Ashley F. Morgan Law, PC를 운영하며, 개인·기업을 포함해 1,000건 이상의 파산 사건을 대리해 온 인물이다.
모건 변호사는 “단순히 한두 달 자금 사정이 나빠졌다고 바로 파산으로 직행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다음 네 가지 징후가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이미 파산으로 가는 ‘경사면’ 위에 서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1) ‘최소 결제’만 반복하고 있다
모건은 신용카드 혹은 각종 대출 원리금을 최소 결제액만 납부하며, 동시에 남은 한도를 다시 사용해 생활비를 충당하고 있다면 “명백한 적신호”라고 설명했다. 특히 6개월 이상 최소 결제만 지속되고, 매달 부채 총액이 전혀 줄지 않는다면 예산 구조 자체가 이미 ‘마이너스 순환 고리’에 들어갔다는 의미다.
“예산이 너무 빠듯해 한 푼도 원금을 상환하지 못한다면, 파산·채무조정 등 구조적 해결책을 검토해야 한다.” ― 애슐리 모건
※ 용어 풀이: ‘최소 결제’란? 카드사·대출기관이 요구하는 당월 최소 납부액만 내는 방식이다. 연체는 막을 수 있지만 이자 부담이 불어나 장기적 상환 능력을 갉아먹는다.
2) 큰 폭의 인생 이벤트에 직면했다
실직·이혼 등 예상치 못한 사건은 소득 감소와 자산 분할, 법적 비용을 동반해 가계 재정을 단숨에 취약하게 만든다. 모건은 “충분한 비상자금(Emergency Fund)을 미리 마련해 두지 않으면, 짧게는 수주, 길게는 수개월 사이에 파산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혼의 경우, 동일한 소득이 두 가구로 분리되면서 생활비와 주거비 부담이 배로 늘어난다. 모건은 “법적 수수료와 자산 분배 과정을 거치고 나면 파산 보호를 고려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3) 다른 법적 분쟁에 휘말려 있다
소송 피소, 임금 가압류, 차량 압류, 주택 차압(Foreclosure)과 같은 절차가 이미 진행 중이라면, 법원의 판결·명령에 따라 예기치 못한 현금 유출이 발생한다. 모건은 “임금 가압류가 시작된 순간부터는 소득의 절대적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파산 제도가 사실상 유일한 방어벽이 되기 쉽다”고 지적했다.
4) 현 부채를 3년 내 갚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가진 총부채를 현실적으로 계산했을 때 36개월 이내 상환 전망이 없다면 파산 상담을 고려해야 한다고 모건은 권고했다. 그는 “3년은 개인이 경제적 자율성을 회복하기 위한 현실적 시간표”라며, 이 기간을 넘어선다면 이자 부담으로 인해 채무총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파산 전에 먼저 챙길 ‘3대 방어막’
모건은 위 징후를 인지했다면 즉각 ① 고금리 부채 구조조정 ② 비상자금 재확보 ③ 지출 구조 점검에 착수할 것을 조언했다. 이 가운데 ‘비상자금’은 고수익 예금(High-Yield Savings Account)에 분산 예치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이미 소송 절차가 진행 중이라면, 파산 전문 변호사와 상담해 챕터 7·챕터 13 등 미 연방 파산법상의 구제 수단을 사전에 검토해야 돌발 변수를 줄일 수 있다.
※ 용어 풀이: 챕터 7 vs 챕터 13
챕터 7은 채무자의 재산 일부를 처분해 부채를 탕감받는 ‘직접 청산형’이며, 챕터 13은 일정 기간(통상 3~5년) 분할 상환 계획을 제출해 ‘재편성형’으로 보호받는 방식이다.
결론
모건 변호사는 “최소 결제의 늪, 예기치 못한 충격, 법적 압박, 장기 상환 불가능이라는 네 가지 경고등이 모두 꺼져 있어야 재정이 정상 궤도에 오른 것”이라며, “반대로 하나라도 점멸하고 있다면 전문가와 상의해 피해를 최소화하라”고 당부했다.